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아의 육아지원기관 이용시작시기와 평일이용시간이 놀이방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Entry Age of Childcare Institutions and Hours of Usage Per Day on the Play Disturbance Behavio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53883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생활시간과 문제행동의 각 하위변인의 관계를 살펴보고, 육아 지원기관의 이용시작시기와 평일이용시간의 영향이 문제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으며,...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생활시간과 문제행동의 각 하위변인의 관계를 살펴보고, 육아 지원기관의 이용시작시기와 평일이용시간의 영향이 문제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으며, 남녀 성별에 따라서는 어떠한 양상을 보이는지를 분석하였다. 그 연구 결과로는 첫째, 육아지원기관 이용시작시기가 빠를수록 유아의 놀이방해행동이 높으며, 육아지원기관 평일이용시간이 길수록 유아의 놀이방해행동이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남아가 여아보다 놀이방해행동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놀이방해행동에서, 전체 유아와 남아 모두 육아지원기관 이용시작시기보다 육아지원기관 이용평일이용시간이 더 높게 나타났다. 셋째, 전체유아와 남아의 경우, 육아지원기관 이용시작시기가 빠를수록, 육아 지원기관 평일이용시간이 길수록 유아의 놀이방해행동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전체 유아와 남아의 경우, 육아지원기관 이용시작시기보다 육아지원기관 평일이용시간이 놀이방해행동이 높은 유아와 낮은 유아를 구별하는데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현재 육아지원정책의 방향이 진정한 ‘유아 존중의 정책’인지에 대한 반성을 촉구하였으며, 더불어 유아들이 장시간 또는 장기간 육아지원기관에 머무는 것에 관해서 다측면적 접근이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fant’s use of support center for infant childcare and sub-variables of behavior problem. Specifically, we analyze how time spending at the center (i.e., first day of the usage and hours of usage per...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fant’s use of support center for infant childcare and sub-variables of behavior problem. Specifically, we analyze how time spending at the center (i.e., first day of the usage and hours of usage per day) affects the infant child’s play disturbance behavior and see how gender can moderate this relationship.
      First, we find that the earlier the usage of the support center, the higher infant child’s play disturbance behavior. In addition, longer hours of usage during a day implies more disturbance behavior of child. In particular, male child shows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the disturbance behavior compared with the female child.
      Second, the effect of hours of usage are stronger than that of starting day of usage of both total children and male children.
      Third, for the case of total children and male children, earlier the first day of usage results in the higher level of play disturbance behavior. Longer hours of the usage per day also presents the same results.
      Lastly, hours of the usage per day rather than the first day of the usage play significant role for distinguishing children with the high level of disturbance behavior from the ones with the low level among total children and the males.
      Based on the results following suggestions were presented. We urge to reflect whether the present direction of infant child care supporting policy is really appropriate. In addition it is asserted that multifaceted approaches about infants` long-term stay in institution are need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송진영, "학령전환기 유아의 문제행동에 관한 생태학적 변인 탐색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2011

      2 오경희,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유아기 인성교육에 관한 탐색: ‘돌봄’의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7 (17): 323-347, 2013

      3 박화윤, "종일제와 반일제 유치원 프로그램의 유아 스트레스 행동" 18 (18): 135-155, 1998

      4 장영숙, "종일제와 반일제 유치원 유아들의 문제행동 특성 연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9 (9): 81-101, 2005

      5 조윤진, "유치원의 질적수준에 따른 유아의 놀이실 행동" 延世大學校 敎育大學院 1993

      6 박은혜, "유치원 정보공시 자료를 통해 본 전국 유치원 운영시간 현황 분석" 교육과학연구소 44 (44): 97-118, 2013

      7 황윤세, "유치원 운영시간에 따른 유아 행동과 적응 간의 관계"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9 (9): 187-203, 2010

      8 오경희, "유아의 젠더 형성과정에 관한 교육사회학적 탐색" 14 (14): 129-150, 2005

      9 우수경, "유아의 성, 기질, 사회적 능력 및 자기통제가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 14 (14): 427-452, 2007

      10 Campbell, S. B., "유아의 문제행동" 시그마프레스 2007

      1 송진영, "학령전환기 유아의 문제행동에 관한 생태학적 변인 탐색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2011

      2 오경희,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유아기 인성교육에 관한 탐색: ‘돌봄’의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7 (17): 323-347, 2013

      3 박화윤, "종일제와 반일제 유치원 프로그램의 유아 스트레스 행동" 18 (18): 135-155, 1998

      4 장영숙, "종일제와 반일제 유치원 유아들의 문제행동 특성 연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9 (9): 81-101, 2005

      5 조윤진, "유치원의 질적수준에 따른 유아의 놀이실 행동" 延世大學校 敎育大學院 1993

      6 박은혜, "유치원 정보공시 자료를 통해 본 전국 유치원 운영시간 현황 분석" 교육과학연구소 44 (44): 97-118, 2013

      7 황윤세, "유치원 운영시간에 따른 유아 행동과 적응 간의 관계"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9 (9): 187-203, 2010

      8 오경희, "유아의 젠더 형성과정에 관한 교육사회학적 탐색" 14 (14): 129-150, 2005

      9 우수경, "유아의 성, 기질, 사회적 능력 및 자기통제가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 14 (14): 427-452, 2007

      10 Campbell, S. B., "유아의 문제행동" 시그마프레스 2007

      11 황현주, "유아교육기관의 질과 유아의 사회적 행동 : 종일제 유아교육기관을 중심으로"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1

      12 김숙령, "유아교육기관과 가정의 협력관계에 대한 토론"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53-59, 1997

      13 김희형, "유아교육 기관의 운영 시간에 따른 유아들의 스트레스 및 친사회적 행동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14 정희영, "유아 인성교육 관련 연구동향 분석" 한국유아교육학회 32 (32): 277-296, 2012

      15 이순자, "유아 문제행동에 대한 연구 동향 및 유아 문제행동 관련 변인 분석- 국내학회지 및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6 (16): 127-156, 2012

      16 박성연, "영아 보육 및 가족변인이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미치는영향" 대한가정학회 41 (41): 91-106, 2003

      17 김미자, "영·유아기 탁아경험이 사회정서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梨花女子大學校 敎育大學院 1996

      18 김현주,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정서행동문제 관계에 관한 연구"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19 양혜영, "양육환경과 기관의 질이 유아의 스트레스 행동에 미치는 영향" 20 (20): 141-158, 1999

      20 이순형, "아동의 성별, 부모의 이혼 및 아동의 부모 양육행동 지각이 아동의 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 24 (24): 181-192, 2006

      21 김혜경, "시간연장 보육아동의 스트레스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회 (45) : 207-225, 2006

      22 임병순, "시간 연장제 유치원의 질적 수준에 따른 유아의 사회적 행동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23 보건복지부, "보육통계" 2012

      24 하영례, "기관변인에 따른 5세 유아의 문제행동" 한국영유아보육학회 (57) : 171-191, 2009

      25 장영숙, "교사가 지각한 유아의 문제행동과 유아의 성별, 연령, 기질 및 교사기질과의 관계 연구" 7 (7): 97-119, 2000

      26 조정애, "교사가 지각한 유아의 문제행동과 유아기질 및 교사기질과의 관계연구"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27 오경희, "계층이 다른 두 유치원 또래문화의 젠더특성 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 경계와 공유의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유아교육학회 27 (27): 51-76, 2007

      28 Foucault, M., "감시와 처벌" 나남출판 2003

      29 박영미, "가족지원 서비스에 대한 보육시설 부모의 요구 조사"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13 (13): 239-255, 2009

      30 Ahnert, L., "Transition to child care : Associations of infant-mother attachment, infant negative emotion and cortisol elevations" 75 : 639-650, 2004

      31 Corsaro, W., "The sociology of childhood" Pine Forge Press 1997

      32 Barron, A. P., "The relation of temperament and social factors to behavior problems in three-year-old children" 25 : 22-33, 1984

      33 Slee, P. T., "The relation of temperament and other factors to children's kindergarten adjustment" 17 : 104-112, 1986

      34 Fagan, J., "The intevention between child sex and temperament in predicting behavior problem of preschool-age child in daycare" 59 : 2-12, 1990

      35 Gullo, D. F., "The changing family context : implication for the development of all-day kindergartens" 45 (45): 35-39, 1990

      36 김석우, "SPSS AMOS활용의 실제" 학지사 2010

      37 Grossman, H., "Gender Issues in education" Allyn and Bacon 1994

      38 Harman, D., "Extended-day kindergarten vs. half-day kindergarten achievement difference"

      39 Parsons, T., "Education, economy, and society: A reader in the sociology of education" Free Press 1965

      40 Bernstein, B, "Class, codes and control, 1" R. K. P 1973

      41 보건복지부, "2010년 보육통계" 201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4 1.64 1.7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1 1.61 1.952 0.3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