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영국의 형벌제도 개관 = A study on the penal system in England and Wal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51711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범죄와의 투쟁은 비단 영국뿐만이 아니라 전 세계의 모든 문명국가의 가장 중요한 정책의 하나임을 부인할 수 없다. 즉 형벌에 관련된 모든 법률들은 대부분 범죄에 대한 대응의 하나로서 입법화되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특히 영국의 CJA2003와 기타법률에서 규정되고 있는 현행 영국의 형벌의 종류와 내용을 살펴보기로 한다. CJA 2003는 형벌의 종류와 내용에 대해서도 많은 변화를 가져온 법률로서 영국과 웨일즈의 양형을 적절성의 원칙에 기초한 모델로부터 심각할 정도로 이동시켰다고 할 수 있을 정도로 영국의 형사사법시스템 전반에 큰 개혁의 기초를 제공하였음을 부인할 수 없다. 즉 새로운 제도인 보호관찰조건부구금형의 선고와 장기수형자에 대한 조기석방규정의 정비는 수형인구를 줄이고 증대된 사후적 보호관찰을 통해서 재사회화의 확실한 달성을 목표로 하는 노력의 일환으로 실제로 복역하여야 하는 구금형의 비율을 줄이려는 정부와 의회의 의식적인 노력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다만 그 시행의 효과와 사후적 평가를 하기에는 아직 이르다는 것이 일반적인 관점이다. 다만 우리의 입장에서 수용할 수 있는 부분도 있는 듯하다. 즉 교도소의 과밀화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주말구금형이나 보호관찰조건부구금은 고려할 만하며, 확정벌금제도의 도입도 검토할 만 하다고 생각한다.
      번역하기

      범죄와의 투쟁은 비단 영국뿐만이 아니라 전 세계의 모든 문명국가의 가장 중요한 정책의 하나임을 부인할 수 없다. 즉 형벌에 관련된 모든 법률들은 대부분 범죄에 대한 대응의 하나로서 ...

      범죄와의 투쟁은 비단 영국뿐만이 아니라 전 세계의 모든 문명국가의 가장 중요한 정책의 하나임을 부인할 수 없다. 즉 형벌에 관련된 모든 법률들은 대부분 범죄에 대한 대응의 하나로서 입법화되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특히 영국의 CJA2003와 기타법률에서 규정되고 있는 현행 영국의 형벌의 종류와 내용을 살펴보기로 한다. CJA 2003는 형벌의 종류와 내용에 대해서도 많은 변화를 가져온 법률로서 영국과 웨일즈의 양형을 적절성의 원칙에 기초한 모델로부터 심각할 정도로 이동시켰다고 할 수 있을 정도로 영국의 형사사법시스템 전반에 큰 개혁의 기초를 제공하였음을 부인할 수 없다. 즉 새로운 제도인 보호관찰조건부구금형의 선고와 장기수형자에 대한 조기석방규정의 정비는 수형인구를 줄이고 증대된 사후적 보호관찰을 통해서 재사회화의 확실한 달성을 목표로 하는 노력의 일환으로 실제로 복역하여야 하는 구금형의 비율을 줄이려는 정부와 의회의 의식적인 노력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다만 그 시행의 효과와 사후적 평가를 하기에는 아직 이르다는 것이 일반적인 관점이다. 다만 우리의 입장에서 수용할 수 있는 부분도 있는 듯하다. 즉 교도소의 과밀화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주말구금형이나 보호관찰조건부구금은 고려할 만하며, 확정벌금제도의 도입도 검토할 만 하다고 생각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hat is punishment? It may be more useful to distinguish punishment from other forms of pain or sufferin such as a painful treatment for a medical condition where the harm is not an expression of moral condemnation, and not a response to our misdeeds. What distinguish punishment is its expressive function. Punishment has a symbolic significance largely missing from other kinds of penalties. Punishment is 'a symbolic way of getting back at the criminal, of expressing a kind of vindictive resentment'. And a futher distinguishing feature of punishment is that it seems from an authoritative source, usually the state. And the focus of the penal police stands at the 'what to punish, how to punish, and how much to punish'. These three dimensions of penal policy shape policy outcomes.
      There are four main categories of punishment : custodial sentences, community sentences, fines, and other miscellaneous sentences. Specially Criminal Justice Act 2003 provides various custodial sentences. These are Custody Plus, intermittent custody. Also Criminal Justice Act 2003 provides various order which judge can impose on the community sentence. These are ' an unpaid work requirement, an active requirement, a programme requirement, a prohibited requirement, a curfew requirement, an exclusion requirement, a residence requirement, a mental health treatment requirement), a drug rehabilitation requirement, an alcohol requirement, a supervision requirement, an attendance centre requirement'.
      번역하기

      What is punishment? It may be more useful to distinguish punishment from other forms of pain or sufferin such as a painful treatment for a medical condition where the harm is not an expression of moral condemnation, and not a response to our misdeeds....

      What is punishment? It may be more useful to distinguish punishment from other forms of pain or sufferin such as a painful treatment for a medical condition where the harm is not an expression of moral condemnation, and not a response to our misdeeds. What distinguish punishment is its expressive function. Punishment has a symbolic significance largely missing from other kinds of penalties. Punishment is 'a symbolic way of getting back at the criminal, of expressing a kind of vindictive resentment'. And a futher distinguishing feature of punishment is that it seems from an authoritative source, usually the state. And the focus of the penal police stands at the 'what to punish, how to punish, and how much to punish'. These three dimensions of penal policy shape policy outcomes.
      There are four main categories of punishment : custodial sentences, community sentences, fines, and other miscellaneous sentences. Specially Criminal Justice Act 2003 provides various custodial sentences. These are Custody Plus, intermittent custody. Also Criminal Justice Act 2003 provides various order which judge can impose on the community sentence. These are ' an unpaid work requirement, an active requirement, a programme requirement, a prohibited requirement, a curfew requirement, an exclusion requirement, a residence requirement, a mental health treatment requirement), a drug rehabilitation requirement, an alcohol requirement, a supervision requirement, an attendance centre requiremen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
      • II. 구금형
      • III. 벌금형
      • IV. 사회내 처분(Community Sentence)
      • V. 기타 혼합적 형벌
      • I. 서론
      • II. 구금형
      • III. 벌금형
      • IV. 사회내 처분(Community Sentence)
      • V. 기타 혼합적 형벌
      • VI. 결론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The Criminal Justice Act and Police Act 2001 s.2"

      2 Susan Easton, "Sentencing and Punishment; The Quest for Justice"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3 Mathew Gullick, "Sentencing and Early Release of Fixed-Term Prisoners"

      4 "Sentencing Statistics 2006 in England and Wales"

      5 "R v Warden[1962] 2 Cr App R 269"

      6 "R v O'Toole(1971) 55 Cr App R 206"

      7 "PCC(S)A 2000, s.13(1)(6)"

      8 "PCC(S)A 2000, s.129"

      9 "PCC(S)A 2000, s.12(1)(b)"

      10 "PCC(S)A 2000, s.12(1)(a)"

      1 "The Criminal Justice Act and Police Act 2001 s.2"

      2 Susan Easton, "Sentencing and Punishment; The Quest for Justice"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3 Mathew Gullick, "Sentencing and Early Release of Fixed-Term Prisoners"

      4 "Sentencing Statistics 2006 in England and Wales"

      5 "R v Warden[1962] 2 Cr App R 269"

      6 "R v O'Toole(1971) 55 Cr App R 206"

      7 "PCC(S)A 2000, s.13(1)(6)"

      8 "PCC(S)A 2000, s.129"

      9 "PCC(S)A 2000, s.12(1)(b)"

      10 "PCC(S)A 2000, s.12(1)(a)"

      11 "Mair and May, Offenders on Probation"

      12 Andrew von Hirsch, "Legislating Sentencing Principles" 2004

      13 Catherine Elliott, "English Legal System" Pearson Longman 2004

      14 "CJA 2003"

      15 "2007/2008 Criminal Litigation and Sentencing" Oxford University Press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1-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6-02-1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LAW JOURNAL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5-27 학회명변경 한글명 : 법학연구소 -> 법학연구원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3 0.73 0.8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9 0.8 0.912 0.3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