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지방독성 간세포 모델 확립 및 이를 활용한 치료표적 발굴 연구 = Establishment of in vitro model and therapeutic target identification for the hepatic lipotoxic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544114

      • 저자
      • 발행사항

        광주 : 조선대학교 대학원, 2020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조선대학교 대학원 , 약학과 , 2020. 2

      • 발행연도

        2020

      • 작성언어

        영어

      • DDC

        615.2 판사항(21)

      • 발행국(도시)

        광주

      • 형태사항

        vi,27p. : 삽도 ; 26cm.

      • 일반주기명

        조선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Establishment of in vitro model and therapeutic target identification for the hepatic lipotoxicity
        지도교수:기성환
        참고문헌: p.25-27

      • UCI식별코드

        I804:24011-200000278833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조선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지방독성은 과도한 지질 축적으로 인해 비지방조직에 지질이 축적되어 세포의 기능장애 및 사멸로 이어지는 대사 증후군의 대표적인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 몸에 들어온 지질은 저장을 위해 지질 중간체로 전환될 수 있는데 전환된 지질 중간체들은 일차적으로 지방세포에 축적이 된다. 지방세포가 포화 상태가 되면 쌓인 지질들이 비지방세포에 영향을 미치게 되고 결국 지방독성을 일으키게 된다. 지질이 과다 축적된 비지방세포는 지방독성으로 인해 혈장 내 유리 지방산 수치를 상승시켜 인슐린 민감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근육 내 지질 중간체의 축적으로 미토콘드리아의 기능장애를 유발하며, 간 손상을 초래한다. 간세포에서의 과량의 지질 축적은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발하여 활성산소종을 생성하고 세포 사멸과 염증 그리고 비알콜성 지방간과 같은 간 질환을 초래한다. 하지만 이러한 간 지방독성 연구에 적합한 세포 (in vitro) 모델이 확립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여러 간 세포주에 지방독성을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진 Palmitic acid를 처리하여 지방독성 연구에 가장 적합한 세포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또한 지방간을 유발하는 에탄올 식이 모델과 고콜레스테롤 식이, 고지질 식이 모델의 간 조직에서 REDD1 단백질의 발현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REDD1은 활성산소종, 세포 내 에너지 결핍, DNA 손상 등 다양한 스트레스에 반응하여 세포 생존에 관여하는 단백질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간세포에서 과량의 지질 축적에 의해 유발되는 지방독성에 대한 REDD1의 역할과 조절 기전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본 연구에서 지방독성을 유도하는 Palmitic acid를 처리하였을 때 REDD1의 발현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Palmitic acid에 의한 REDD1 발현의 증가는 전사적 활성화에 의해 조절되었다. 더 나아가 REDD1을 세포 내에 과발현 시켰을 때 지방독성을 유도하는 Palmitic acid로 인한 세포사멸을 방어하여 세포 생존율을 증가시키며 지질 축적을 감소시켰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보았을 때 REDD1이 간 지방독성 및 이로 인한 간질환의 새로운 치료 표적이 될 수 있을것이다.
      번역하기

      지방독성은 과도한 지질 축적으로 인해 비지방조직에 지질이 축적되어 세포의 기능장애 및 사멸로 이어지는 대사 증후군의 대표적인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 몸에 들어온 지질은 저장...

      지방독성은 과도한 지질 축적으로 인해 비지방조직에 지질이 축적되어 세포의 기능장애 및 사멸로 이어지는 대사 증후군의 대표적인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 몸에 들어온 지질은 저장을 위해 지질 중간체로 전환될 수 있는데 전환된 지질 중간체들은 일차적으로 지방세포에 축적이 된다. 지방세포가 포화 상태가 되면 쌓인 지질들이 비지방세포에 영향을 미치게 되고 결국 지방독성을 일으키게 된다. 지질이 과다 축적된 비지방세포는 지방독성으로 인해 혈장 내 유리 지방산 수치를 상승시켜 인슐린 민감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근육 내 지질 중간체의 축적으로 미토콘드리아의 기능장애를 유발하며, 간 손상을 초래한다. 간세포에서의 과량의 지질 축적은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발하여 활성산소종을 생성하고 세포 사멸과 염증 그리고 비알콜성 지방간과 같은 간 질환을 초래한다. 하지만 이러한 간 지방독성 연구에 적합한 세포 (in vitro) 모델이 확립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여러 간 세포주에 지방독성을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진 Palmitic acid를 처리하여 지방독성 연구에 가장 적합한 세포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또한 지방간을 유발하는 에탄올 식이 모델과 고콜레스테롤 식이, 고지질 식이 모델의 간 조직에서 REDD1 단백질의 발현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REDD1은 활성산소종, 세포 내 에너지 결핍, DNA 손상 등 다양한 스트레스에 반응하여 세포 생존에 관여하는 단백질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간세포에서 과량의 지질 축적에 의해 유발되는 지방독성에 대한 REDD1의 역할과 조절 기전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본 연구에서 지방독성을 유도하는 Palmitic acid를 처리하였을 때 REDD1의 발현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Palmitic acid에 의한 REDD1 발현의 증가는 전사적 활성화에 의해 조절되었다. 더 나아가 REDD1을 세포 내에 과발현 시켰을 때 지방독성을 유도하는 Palmitic acid로 인한 세포사멸을 방어하여 세포 생존율을 증가시키며 지질 축적을 감소시켰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보았을 때 REDD1이 간 지방독성 및 이로 인한 간질환의 새로운 치료 표적이 될 수 있을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CONTENTS…………………………………………………………i
      • LIST OF FIGURES………………………………………………ⅲ
      • ABBREVIATIONS………………………………………………ⅳ
      • CONTENTS…………………………………………………………i
      • LIST OF FIGURES………………………………………………ⅲ
      • ABBREVIATIONS………………………………………………ⅳ
      • ABSTRACT (Korean)……………………………………………ⅴ
      • I. INTRODUCTION……………………………………………1
      • II. MATERIALS AND METHODS……………………………3
      • 1. Materials ……………………………………………………………3
      • 2. Cell culture……………………………………………………………3
      • 3. Animal and diet………………………………………………………3
      • 4. PA preparation…………………………………………………………4
      • 5. MTT assay………………………………………………………………4
      • 6. RNA isolation and RT-PCR analysis ……………………………………4
      • 7. Plasmid transfection and Luciferase assay ………………………………5
      • 8. Immunoblot analysis ………………………………………………………5
      • 9. Preparation of recombinant adenovirus…………………………………5
      • 10. Oil red O staining…………………………………………………………6
      • 11. Measurement of ROS production …………………………………………6
      • 12. Statistical analysis…………………………………………………………7
      • III. RESULTS……………………………………………………8
      • 1. Cytotoxicity induced by PA in hepatocytes ………………………8
      • 2. Lipid accumulation by PA in hepatocytes………………………11
      • 3. Expression of REDD1 in in vivo fatty liver model……………………14
      • 4. Increased expression level and transcriptional regulation of REDD1 by PA…………………………………………………………………… 17
      • 5. The cytoprotective effect of REDD1 against lipotoxicity………………20
      • IV. DISCUSSION………………………………………………23
      • V. REFERENCES……………………………………………2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