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간호사가 경험하는 수평적 폭력이 간호사의 소진과 환자에 대한 공감에 미치는 영향: 의사소통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간호사가 경험하는 수평적 폭력이 간호사의 소진과 환자에 대한 공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의사소통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이차자료분석을 활용한 횡단적 서술연구이다. 일...

      본 연구는 간호사가 경험하는 수평적 폭력이 간호사의 소진과 환자에 대한 공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의사소통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이차자료분석을 활용한 횡단적 서술연구이다. 일개 대학병원에 재직 중인 직원들을 대상으로 2019년 5월 20일부터 2주 간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 중 직장에서 수평적 폭력을 경험한 간호사 211명의 자료를 위계적 다중회귀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의사소통의 조절효과는 수평적 폭력과 소진 간 관계에서 유의하게 나타났으나, 수평적 폭력과 환자에 대한 공감 간 관계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다. 따라서, 수평적 폭력으로 인한 간호사의 소진을 경감시키기 위해 의사소통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ckground: Horizontal violence or lateral violence among nurses is a critical social issue given its global prevalence and frequency.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effects of lateral violence on nurses’ burnout and empathy with patients by examini...

      Background: Horizontal violence or lateral violence among nurses is a critical social issue given its global prevalence and frequency.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effects of lateral violence on nurses’ burnout and empathy with patients by examining the moderating effect of communication in each relationship.
      Methods: This was a secondary analysis of data from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study, including a total of 211 registered nurses who had worked for more than six months at a medical institution in Seoul, South Korea. The data were collected between March 20, 2019 and June 1, 2019 using self-administered online surveys. Descriptive statistics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were calculated,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To test the moderating effect of communication, an interaction term was added to each model.
      Results: Communication negativel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lateral violence and burnout.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f communic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ateral violence and empathy with patients.
      Conclusions: From these findings, we revealed the effect of communications between lateral violence and burnout. The higher the communication ability, the less the effect of lateral violence on burnout. Our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when developing interventions to reduce burnout in the presence of lateral violenc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Key messages
      • Abstract
      • 서론
      • 연구방법
      • 결과
      • Key messages
      • Abstract
      • 서론
      • 연구방법
      • 결과
      • 고찰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류혜란, "한국판 의료인용 제퍼슨 공감측정도구의 간호사 대상 타당화 연구" 한국간호과학회 46 (46): 207-214, 2016

      2 허경호, "포괄적 대인 의사소통 능력 척도개발 및 타당성 검증" 한국언론학회 47 (47): 380-408, 2003

      3 이영부, "임상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과 감성지능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병원간호사회 21 (21): 347-354, 2015

      4 이애경, "임상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와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 13 (13): 299-308, 2013

      5 한금선, "의사소통 유형과 성격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주관적 스트레스 반응유형" 대한스트레스학회 19 (19): 397-403, 2011

      6 서정우, "응급의학과 전문의의 공감 능력과 삶의 질" 대한응급의학회 27 (27): 150-156, 2016

      7 정현,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중심간호 예측모형" 한국간호과학회 49 (49): 191-202, 2019

      8 정경진, "비폭력대화 모델에 기초한 집중형 의사소통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대인관계 능력 및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직무만족에 미치는 효과" 학생생활상담연구소 32 (32): 31-46, 2011

      9 연영란, "병원간호사의 직장 내 괴롭힘, 소진 및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 16 (16): 8343-8349, 2015

      10 강정희, "말라크 소진 측정도구(Maslach Burnout Inventory)의 적용가능성 평가" 한국성인간호학회 24 (24): 31-37, 2012

      1 류혜란, "한국판 의료인용 제퍼슨 공감측정도구의 간호사 대상 타당화 연구" 한국간호과학회 46 (46): 207-214, 2016

      2 허경호, "포괄적 대인 의사소통 능력 척도개발 및 타당성 검증" 한국언론학회 47 (47): 380-408, 2003

      3 이영부, "임상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과 감성지능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병원간호사회 21 (21): 347-354, 2015

      4 이애경, "임상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와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 13 (13): 299-308, 2013

      5 한금선, "의사소통 유형과 성격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주관적 스트레스 반응유형" 대한스트레스학회 19 (19): 397-403, 2011

      6 서정우, "응급의학과 전문의의 공감 능력과 삶의 질" 대한응급의학회 27 (27): 150-156, 2016

      7 정현,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중심간호 예측모형" 한국간호과학회 49 (49): 191-202, 2019

      8 정경진, "비폭력대화 모델에 기초한 집중형 의사소통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대인관계 능력 및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직무만족에 미치는 효과" 학생생활상담연구소 32 (32): 31-46, 2011

      9 연영란, "병원간호사의 직장 내 괴롭힘, 소진 및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 16 (16): 8343-8349, 2015

      10 강정희, "말라크 소진 측정도구(Maslach Burnout Inventory)의 적용가능성 평가" 한국성인간호학회 24 (24): 31-37, 2012

      11 염영희, "대학병원 간호사의 직장 내 약자 괴롭힘, 직무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및 소진이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 23 (23): 259-269, 2017

      12 최소영, "남녀 사무직 직장인의 특성분노, 사회적 회피, 직장 내 괴롭힘 피해 간 관계: 조직 분위기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3 (23): 53-74, 2017

      13 정선화, "간호사의 태움 체험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 25 (25): 238-248, 2016

      14 남웅, "간호사의 직장 내 약자 괴롭힘 설문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대한직업환경의학회 22 (22): 129-139, 2010

      15 김현정, "간호사의 직장 내 괴롭힘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4 (14): 241-252, 2016

      16 강지연, "간호사의 직장 내 괴롭힘 경험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한국간호과학회 46 (46): 226-237, 2016

      17 박광옥, "간호사의 근무지 약자 괴롭힘 경험과 소진, 조직몰입, 이직의도 및 간호생산성" 병원간호사회 19 (19): 169-180, 2013

      18 이윤주, "간호사가 지각하는 직장 내 괴롭힘 측정도구 개발" 한국간호과학회 44 (44): 209-218, 2014

      19 김희정,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 능력 함양을 위한 동기면담 기반 의사소통 훈련의 효과" 대한스트레스학회 26 (26): 268-276, 2018

      20 Sandra P. Thomas, "‘Horizontal Hostility’" Ovid Technologies (Wolters Kluwer Health) 103 (103): 87-88, 2003

      21 Bambi S, "Workplace incivility, lateral violence and bullying among nurses. A review about their prevalence and related factors" 89 (89): 51-79, 2018

      22 GullBritt Rahm, "Workplace bullying among healthcare professionals in Sweden: a descriptive study" Wiley 33 (33): 582-591, 2019

      23 Christina Maslach, "The measurement of experienced burnout" Wiley 2 (2): 99-113, 1981

      24 Langlois LE, "The effects of workplace incivility on psychological distress and health" 64 (64): e24-, 2007

      25 Teresa Chirkowska-Smolak, "The Maslach Burnout Inventory-General Survey: validation across different occupational groups in Poland" Walter de Gruyter GmbH 42 (42): 86-94, 2011

      26 Mohammadreza Hojat, "The Jefferson Scale of Physician Empathy: Development and Preliminary Psychometric Data" SAGE Publications 61 (61): 349-365, 2016

      27 Paul S. Bellet, "The Importance of Empathy as an Interviewing Skill in Medicin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AMA) 266 (266): 1831-1832, 1991

      28 DIANE J. CERAVOLO, "Strengthening communication to overcome lateral violence" Wiley 20 (20): 599-606, 2012

      29 Alligood MR, "Rethinking empathy in nursing education: Shifting to a developmental view" 3 : 299-309, 2005

      30 Monica Oliveira Bernardo, "Physicians' self-assessed empathy levels do not correlate with patients' assessments" Public Library of Science (PLoS) 13 (13): e0198488-, 2018

      31 Blair L. Bigham, "Paramedic Self-reported Exposure to Violence in the Emergency Medical Services (EMS) Workplace: A Mixed-methods Cross-sectional Survey" Informa UK Limited 18 (18): 489-494, 2014

      32 MALCOLM A. LEWIS, "Nurse bullying: organizational considerations in the maintenance and perpetration of health care bullying cultures" Wiley 14 (14): 52-58, 2006

      33 Heather K. Spence Laschinger, "New graduate nurses’ experiences of bullying and burnout in hospital settings" Wiley 66 (66): 2732-2742, 2010

      34 Staale Einarsen, "Measuring exposure to bullying and harassment at work: Validity, factor structure and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Negative Acts Questionnaire-Revised" Informa UK Limited 23 (23): 24-44, 2009

      35 Nancy Armstrong, "Management of Nursing Workplace Incivility in the Health Care Settings: A Systematic Review" SAGE Publications 66 (66): 403-410, 2018

      36 Barrett A, "Lessons Learned From a Lateral Violence and Team-Building Intervention" 33 (33): 342-351, 2009

      37 Dulaney P, "Lateral violence: it's time to stop this blight on our profession" 17 (17): 1-, 2010

      38 A. H. Rosenstein, "Invited Article: Managing disruptive physician behavior: Impact on staff relationships and patient care" Ovid Technologies (Wolters Kluwer Health) 70 (70): 1564-1570, 2008

      39 Heather K. Spence Laschinger, "Impact of Workplace Mistreatment on Patient Safety Risk and Nurse-Assessed Patient Outcomes" Ovid Technologies (Wolters Kluwer Health) 44 (44): 284-290, 2014

      40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Human Rights Violation Survey on Nurse"

      41 Becher J, "Horizontal violence in nursing" 21 (21): 210-213, 2012

      42 Purpora C, "Horizontal Violence and the Quality and Safety of Patient Care: A Conceptual Model" 1-5, 2012

      43 Iselin Reknes, "Exposure to bullying behaviors as a predictor of mental health problems among Norwegian nurses: Results from the prospective SUSSH-survey" Elsevier BV 51 (51): 479-487, 2014

      44 Judy E. Davidson, "Exploring Distress Caused by Blame for a Negative Patient Outcome" Ovid Technologies (Wolters Kluwer Health) 46 (46): 18-24, 2016

      45 Fariba Taleghani, "Empathy, burnout, demographic variables and their relationships in oncology nurses" Medknow 22 (22): 41-45, 2017

      46 William J. Reynolds, "Empathy has not been measured in clients' terms or effectively taught: a review of the literature" Wiley 30 (30): 1177-1185, 1999

      47 Alan H. Rosenstein, "Disruptive Behavior & Clinical Outcomes: Perceptions of Nurses & Physicians" Ovid Technologies (Wolters Kluwer Health) 36 (36): 18-28, 2005

      48 Rebecca B. Rubin, "Development of a measure of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Informa UK Limited 11 (11): 33-44, 1994

      49 Read E, "Correlates of New Graduate Nurses’ Experiences of Workplace Mistreatment" 45 (45): 28-35, 2015

      50 Joy Duxbury, "Causes and management of patient aggression and violence: staff and patient perspectives" Wiley 50 (50): 469-478, 2005

      51 Jacqueline Randle, "Bullying in the nursing profession" Wiley 43 (43): 395-401, 2003

      52 Alison T, "Bullying in New Zealand: Comparing NAQ findings to European and USA studies" 10 (10): 99-115, 2010

      53 Yarbrough JR, "Bullying Behavior Does Not Support the Normal Standard of Care" 2 (2): 101-115, 201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7-03-0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 stress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6-06-30 학회명변경 한글명 : 대한신심스트레스학회 -> 대한스트레스학회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Biosociobehavioral Science -> The Korean Society of Stress Medicine
      2006-06-27 학회명변경 한글명 : 대한신심스트레스학회 -> 대한스트레스학회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Biosociobehavioral Science -> The Korean Society of Stress Medicine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76 1.76 1.6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1 1.44 2.211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