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아지트 만들기 수업에서 아동학습자들의 심미적 경험 고찰 = A case study on aesthetic experience of child learners through a project 'building a hiding pla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66256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 has been an explosive increase in quantity after the establishment support of arts education policy enacted ‘Culture and Arts Education Assistance Act’, and accordingly is increasing attention on the qualitative improvement. I tried to find the meaning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by observing of a good arts and culture education program. I choose child learners as research target cause of their open mind and less prejudice to a new experience. For analysis of their aesthetic experience and of the resulting changes I used depth case research. The aesthetic experiences of the child learners were categorized and analyzed as experience-, explore-, discover-activities. The children made themselves the learning process through the weekly group discussions and participated actively inquiry activity with a strange sight. They found a way to solve the problem of conflict and disagreement that took place in the human relationship-building themselves reasonable, and also experienced a moment of recognition among the look around new perspective, to respect and listen to the opinion of the minority in discussion. In connection with this study result, I discussed what are the forms of arts education to provide aesthetic experience to the learner and presented this case as one form. The features of this case are 'a long-term, sustainable program, that navigates the learner to actively participate in class activities, that let make learners education-process themselves, and teaches as a guide to create independent learners'.
      번역하기

      The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 has been an explosive increase in quantity after the establishment support of arts education policy enacted ‘Culture and Arts Education Assistance Act’, and accordingly is increasing attention on the qualitati...

      The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 has been an explosive increase in quantity after the establishment support of arts education policy enacted ‘Culture and Arts Education Assistance Act’, and accordingly is increasing attention on the qualitative improvement. I tried to find the meaning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by observing of a good arts and culture education program. I choose child learners as research target cause of their open mind and less prejudice to a new experience. For analysis of their aesthetic experience and of the resulting changes I used depth case research. The aesthetic experiences of the child learners were categorized and analyzed as experience-, explore-, discover-activities. The children made themselves the learning process through the weekly group discussions and participated actively inquiry activity with a strange sight. They found a way to solve the problem of conflict and disagreement that took place in the human relationship-building themselves reasonable, and also experienced a moment of recognition among the look around new perspective, to respect and listen to the opinion of the minority in discussion. In connection with this study result, I discussed what are the forms of arts education to provide aesthetic experience to the learner and presented this case as one form. The features of this case are 'a long-term, sustainable program, that navigates the learner to actively participate in class activities, that let make learners education-process themselves, and teaches as a guide to create independent learner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문화예술교육지원법 제정 이후 양적 증가를 보인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은 이제 질적향상에 대한 관심으로 방향을 틀고 있다. 연구자는 양질의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을 관찰하여 통해 문화예술교육의 의미를 찾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새로운 경험에 편견이 적고 개방적인 아동학습자를 대상으로 이들의 심미적 경험과 그로 인한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질적 심층사례관찰하였다. 연구문제인 아동학습자의 심미적 경험은 ‘경험-, 탐구-, 발견활동‘으로 범주화하여 분석하였다. 아동들은 매주 집단토의를 통해 수업과정을 직접 만들었고 낯선 시선으로 탐색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인간관계 구축에서 벌어진 갈등과 의견대립의 문제는 스스로 합리적인 해결방법을 찾았다. 또한 소수자의 의견을 경청하고 존중하는 가운데 주변을 새로운 관점으로 보는 인식의 순간을 경험하였다. 연구결과와 연관하여 학습자에게 심미적 경험을 제공하는 문화예술교육의 형태를 논의하고, 연구사례를 한 유형으로 제시하였다. 연구사례의 특징은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수업, 학습자가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탐색활동, 학습자들이 함께 만들어가는 수업, 학습자를 주체적으로 만드는 안내자’이다.
      번역하기

      문화예술교육지원법 제정 이후 양적 증가를 보인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은 이제 질적향상에 대한 관심으로 방향을 틀고 있다. 연구자는 양질의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을 관찰하여 통해 문...

      문화예술교육지원법 제정 이후 양적 증가를 보인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은 이제 질적향상에 대한 관심으로 방향을 틀고 있다. 연구자는 양질의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을 관찰하여 통해 문화예술교육의 의미를 찾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새로운 경험에 편견이 적고 개방적인 아동학습자를 대상으로 이들의 심미적 경험과 그로 인한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질적 심층사례관찰하였다. 연구문제인 아동학습자의 심미적 경험은 ‘경험-, 탐구-, 발견활동‘으로 범주화하여 분석하였다. 아동들은 매주 집단토의를 통해 수업과정을 직접 만들었고 낯선 시선으로 탐색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인간관계 구축에서 벌어진 갈등과 의견대립의 문제는 스스로 합리적인 해결방법을 찾았다. 또한 소수자의 의견을 경청하고 존중하는 가운데 주변을 새로운 관점으로 보는 인식의 순간을 경험하였다. 연구결과와 연관하여 학습자에게 심미적 경험을 제공하는 문화예술교육의 형태를 논의하고, 연구사례를 한 유형으로 제시하였다. 연구사례의 특징은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수업, 학습자가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탐색활동, 학습자들이 함께 만들어가는 수업, 학습자를 주체적으로 만드는 안내자’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응희, "평생교육으로서의 문화예술교육 질 관리의 딜레마" 한국문화교육학회 7 (7): 1-16, 2012

      2 Merriam, S., "질적사례연구법" 양서원 1997

      3 Bamford, A., "예술이 교육에 미치는 놀라운 효과" 한길아트 2007

      4 김선아, "아동복지시설의 미술 수업에 대한 비평 - 사회문화예술교육의 관점에서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7 (27): 1-28, 2010

      5 서아영, "사례연구 방법" 한경사 2005

      6 박민수, "볼프강 벨쉬: 우리의 포스트모던적 모던 (상하권)" 책세상 출판사 2001

      7 황우자, "미술창작스튜디오의 문화예술교육 활동과 역할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6

      8 김정선, "문화예술교육의 질적 특성에 기반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평가준거 및 지표 개발" 한국문화교육학회 6 (6): 71-97, 2011

      9 백미현,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참여자의 심미적 경험에 대한 사례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1

      10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문화예술교육 평가, 쟁점과 원리" 예술가의집 2012

      1 박응희, "평생교육으로서의 문화예술교육 질 관리의 딜레마" 한국문화교육학회 7 (7): 1-16, 2012

      2 Merriam, S., "질적사례연구법" 양서원 1997

      3 Bamford, A., "예술이 교육에 미치는 놀라운 효과" 한길아트 2007

      4 김선아, "아동복지시설의 미술 수업에 대한 비평 - 사회문화예술교육의 관점에서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7 (27): 1-28, 2010

      5 서아영, "사례연구 방법" 한경사 2005

      6 박민수, "볼프강 벨쉬: 우리의 포스트모던적 모던 (상하권)" 책세상 출판사 2001

      7 황우자, "미술창작스튜디오의 문화예술교육 활동과 역할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6

      8 김정선, "문화예술교육의 질적 특성에 기반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평가준거 및 지표 개발" 한국문화교육학회 6 (6): 71-97, 2011

      9 백미현,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참여자의 심미적 경험에 대한 사례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1

      10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문화예술교육 평가, 쟁점과 원리" 예술가의집 2012

      11 "문화예술교육 지원법"

      12 황연주, "문화교육과 예술교육의 관계 고찰" 3 : 83-96, 2005

      13 백미현, "링컨센터(LCI)의 교사 재교육에서 심미적 교육에 대한 고찰" 한국문화교육학회 5 (5): 127-158, 2010

      14 이봉익, "단기간의 발견학습활동이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1969

      15 Mills, G., "교사를 위한 실행연구" 우리교육 2005

      16 Greene, M., "Variations on a blue guitar: The Lincoln Center Institute lectures on aesthetic education" Teachers College Press 2001

      17 Schutz, A., "The problem of social reality. Collected paper I" Martinus Nijhoff 1967

      18 Holzer, M., "The arts and elementary education : Shifting the paradigm" 15 (15): 377-389, 2009

      19 Bruner, J. S., "The act of discovery. In On knowing: Essays for the left hand" Oxford University Press 1966

      20 Brookfield, S., "The Power of critical theory" Jossey-Bass 2005

      21 Greene, M., "Teacher as stranger: Educational philosophy for the modern age" Wardsworth 1973

      22 Greene, M., "Releasing the imagination: Essays on education, the arts, and social change" Jossey-Bass 1995

      23 Merriam, S., "Qualitative research and case study application in education" Jossey-Bass 1988

      24 "Lincoln Center Institut"

      25 Greene, M., "Landscapes of learning" Teachers College, Columbia University 1978

      26 Dewey, J., "Experience & nature" Open Court 1929

      27 Dewey, J., "Experience & education" Touchstone 1938

      28 Hirsch, E. D., "Cultural literacy: What every american needs to know" Houghton Mifflin 1987

      29 Donnelly, S., "Children's Imaginative Communities- Microcosmos of Democracy"

      30 Dewey, J., "Art as experience" Perigee 1934

      31 김평국, "After Typer: 교육과정 이론화 1970-2000년" 문음사 2006

      32 Greene, M., "Aesthetic literacy in general education, In Philosophy and education 1981, The National society for the study of education"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15-141, 1981

      33 White, B., "Aesthetic encounters: Contributions to generalist teacher education" 8 (8): 2007

      34 Bose, J. H., "Aesthetic education: Philosophy and teaching artist practice at Lincoln Center Institute" The City University of New York 2008

      35 Shor, I., "A pedagogy for liberation" Bergin & Garvey Publishers, Inc 1987

      36 교육과학기술부, "2008 평생교육백서" 평생교육진흥원 2008

      37 백령, "2005 문화예술 교육우수 사례모델 개발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05

      38 Block, A. A., "'and he pretended to be a stranger to them...' Maxine Greene and teacher as stranger, In The passionate mind of Maxine Greene: 'I am ... not yet'" Falmer Press, Taylor & Francis Inc. 199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8-04-18 학회명변경 한글명 : 문화교육학회 -> 한국문화교육학회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Culture Education (KSCE) -> The Korean Society for Culture and Arts Education Studies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4 0.84 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2 1.01 1.133 0.3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