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PR 실무자들의 조사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Research Activities of PR Practition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05471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focus on the research activities among tasks of PR practitioners. PR research helps to find target publics for problem solving, favorable and unfavorable factors in and outside the organization regarding problems of organization to PR practitioners and provides the grounds for evaluating effectiveness of PR program. In this regard, research can be regarded as the core factor for approaching PR in terms of process and problem solution. Despite such important role of the research in PR, however, there is no sufficient study on research activities of PR practitioners in Korea or study on PR research in Korea.
      Regarding that it requires study on research activities of PR practitioners in Korea, this study examined how PR practitioners perform research activities and which factors affect their research activities. As a result of analyzing precedent studies, research activities of PR practitioners can be diagnosed based on research objective and method. Conditions of organization and features of PR practitioners are presented as factors affecting research activities. This study includes completion of formal PR education and PR experience to the features of PR practitioners, lack of time and restricted viewpoint of the organization on the PR to the conditions of organization. Following are the study subjects through this. First, does completion of formal PR education affects the research objective and method of PR practitioners? Second, does PR experience affect the research objective and method of PR practitioners? Third, does restricted viewpoint of the organization on the PR affect the research objective and method of PR practitioners? Forth, does lack of time affect the research objective and method of PR practitioners?
      Questionnaire consists of questions identified from the studies on factors affecting the research activities and the studies that examine objective and method of research. Survey was carried out on PR practitioners of 100 companies selected by systematic sampling among top 1000 companies designated by the Korea Chamber of Commerce and Industry. For analysis of study subject, paired samples t-test was used to analyze which research objective and method were mainly used. Multiple regression was used to analyze effects of 4 factors on research objective and method.
      As a resul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use of one-way PR objective research and two-way PR objective research by PR practitioners, but two-way PR objective research has been less used up to now. With regard to research method, clip-file research, informal research and formal research have been used in the order named so that research activities have been carried out focusing on one research method rather than using various research methods extensively.
      With regard to influence of factors, all factors were found not to have influence on research objective and method of PR practitioners in Korea. First of all, PR experience have negative effects on two-way PR objective research and formal research method, which means that it was not long before function of PR department in the organization began to be changed to two-way model and rather, PR tasks had focused on one-way model for long period of time so that PR experience had negative effects on two-way PR objective research and formal research method. Second, restricted viewpoint of the organization on the PR is found to have negative effects on two-way PR objective research, formal research method and informal research method. Accordingly, it is required to make efforts to change the restricted viewpoint of the organization on the PR for professional research activities. Third, lack of time has static influence on one-way PR objective research and informal research method. Accordingly, PR practitioners should have sufficient time for research for execution of two-way PR objective research rather than one-way PR objective research as well as utilization of various research methods. This study results show which efforts PR practitioners and organization should make for activation of professional research in PR in the future.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focus on the research activities among tasks of PR practitioners. PR research helps to find target publics for problem solving, favorable and unfavorable factors in and outside the organization regarding problems of organization to ...

      This study aims to focus on the research activities among tasks of PR practitioners. PR research helps to find target publics for problem solving, favorable and unfavorable factors in and outside the organization regarding problems of organization to PR practitioners and provides the grounds for evaluating effectiveness of PR program. In this regard, research can be regarded as the core factor for approaching PR in terms of process and problem solution. Despite such important role of the research in PR, however, there is no sufficient study on research activities of PR practitioners in Korea or study on PR research in Korea.
      Regarding that it requires study on research activities of PR practitioners in Korea, this study examined how PR practitioners perform research activities and which factors affect their research activities. As a result of analyzing precedent studies, research activities of PR practitioners can be diagnosed based on research objective and method. Conditions of organization and features of PR practitioners are presented as factors affecting research activities. This study includes completion of formal PR education and PR experience to the features of PR practitioners, lack of time and restricted viewpoint of the organization on the PR to the conditions of organization. Following are the study subjects through this. First, does completion of formal PR education affects the research objective and method of PR practitioners? Second, does PR experience affect the research objective and method of PR practitioners? Third, does restricted viewpoint of the organization on the PR affect the research objective and method of PR practitioners? Forth, does lack of time affect the research objective and method of PR practitioners?
      Questionnaire consists of questions identified from the studies on factors affecting the research activities and the studies that examine objective and method of research. Survey was carried out on PR practitioners of 100 companies selected by systematic sampling among top 1000 companies designated by the Korea Chamber of Commerce and Industry. For analysis of study subject, paired samples t-test was used to analyze which research objective and method were mainly used. Multiple regression was used to analyze effects of 4 factors on research objective and method.
      As a resul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use of one-way PR objective research and two-way PR objective research by PR practitioners, but two-way PR objective research has been less used up to now. With regard to research method, clip-file research, informal research and formal research have been used in the order named so that research activities have been carried out focusing on one research method rather than using various research methods extensively.
      With regard to influence of factors, all factors were found not to have influence on research objective and method of PR practitioners in Korea. First of all, PR experience have negative effects on two-way PR objective research and formal research method, which means that it was not long before function of PR department in the organization began to be changed to two-way model and rather, PR tasks had focused on one-way model for long period of time so that PR experience had negative effects on two-way PR objective research and formal research method. Second, restricted viewpoint of the organization on the PR is found to have negative effects on two-way PR objective research, formal research method and informal research method. Accordingly, it is required to make efforts to change the restricted viewpoint of the organization on the PR for professional research activities. Third, lack of time has static influence on one-way PR objective research and informal research method. Accordingly, PR practitioners should have sufficient time for research for execution of two-way PR objective research rather than one-way PR objective research as well as utilization of various research methods. This study results show which efforts PR practitioners and organization should make for activation of professional research in PR in the futu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PR 실무자들의 업무 중 조사 활동에 초점을 두고 있다. PR 조사는 PR 실무자들에게 조직의 문제에 대한 조직 내외부의 우호적, 비우호적 요소들과 문제 해결을 위한 목표 공중을 찾는데 도움을 주고, PR 프로그램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근거를 제공한다. 따라서 PR을 과정적이고 문제해결적으로 접근하기 위해서는 조사가 핵심요소라 하겠다. 그러나 PR에서 조사가 이처럼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는 PR 조사에 대한 연구나 국내 PR 실무자들의 조사 활동에 대해 알아본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도 PR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조사 활동에 대해 알아보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보고 PR 실무자들이 조사 활동을 어떻게 벌이고 있고, 그들의 조사 활동에 어떤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하였다. 선행연구 분석결과, PR 실무자들의 조사 활동은 조사 목적과 조사 방법을 기준으로 진단할 수 있었으며, 조사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PR 실무자들의 특성과 조직의 여건이 제시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PR 실무자들의 특성에 공식적 PR 교육 이수와 PR 경력을, 조직의 여건에 조직의 PR에 대한 제한적 시각과 시간의 부족을 포함시켰고, 이를 통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식적 PR 교육 이수는 PR 실무자들의 조사 목적과 조사 방법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PR 경력은 PR 실무자들의 조사 목적과 조사 방법에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조직의 PR에 대한 제한적 시각은 PR 실무자들의 조사 목적과 조사 방법에 영향을 미치는가? 넷째, 시간의 부족은 PR 실무자들의 조사 목적과 조사 방법에 영향을 미치는가?
      설문지는 조사 목적과 조사 방법을 진단하는 연구들과 조사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들에서 추출한 항목들로 구성되었고, 설문조사는 대한상공회의소 선정 1000대 기업 중 계통추출법에 의해 선정된 100개 기업들의 PR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그리고 연구문제 분석을 위해 먼저, PR 실무자들이 어떠한 조사 목적과 조사 방법을 주로 사용하는지 대응표본 t검증을 통해 분석하였고, 4가지 요인들의 조사 목적과 조사 방법에 대한 영향력은 다중회귀를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국내 PR 실무자들은 일방향 PR 목적 조사와 쌍방향 PR 목적 조사의 사용에 있어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지만 아직까지 쌍방향 PR 목적 조사를 덜 사용하고 있었다. 그리고 조사 방법에 있어 매체 클립핑 조사 방법, 비공식적 조사 방법, 공식적 조사 방법 순으로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조사 방법을 두루 사용하지 못하고 어느 한 조사 방법에 치우친 조사 활동은 벌이고 있었다.
      요인들의 영향력에 있어서는 요인들 모두가 국내 PR 실무자들의 조사 목적과 조사 방법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먼저, PR 경력은 쌍방향 PR 목적 조사와 공식적 조사 방법에 부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데, 이는 조직에서 PR 부서의 기능이 쌍방향 모델로 변화되기 시작한 시기가 오래 되지 않았고, PR에서의 업무가 오랫동안 일방향 모델에 치우쳐 있다 보니 PR 경력이 오히려 쌍방향 PR 목적 조사와 공식적 조사 방법 사용에 역효과를 미친 것으로 보인다. 둘째, 조직의 PR에 대한 제한적 시각은 쌍방향 PR 목적 조사, 공식적 조사 방법, 비공식적 조사 방법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전문적 조사 활동을 위해 PR에 대한 조직의 제한적 시각을 변화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셋째, 시간의 부족은 일방향 PR 목적 조사와 비공식적 조사 방법에 정적 영향을 주고 있었다. 따라서 일방향 PR 목적 조사 보다 쌍방향 PR 목적 조사의 시행, 그리고 다양한 조사 방법의 활용을 위해 PR 실무자들에게 조사를 위한 충분한 시간이 필요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앞으로 국내 PR의 전문적 조사 활성화를 위해 PR 실무자들과 조직이 어떠한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지를 보여주는 것이라 하겠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PR 실무자들의 업무 중 조사 활동에 초점을 두고 있다. PR 조사는 PR 실무자들에게 조직의 문제에 대한 조직 내외부의 우호적, 비우호적 요소들과 문제 해결을 위한 목표 공중을 찾...

      본 연구는 PR 실무자들의 업무 중 조사 활동에 초점을 두고 있다. PR 조사는 PR 실무자들에게 조직의 문제에 대한 조직 내외부의 우호적, 비우호적 요소들과 문제 해결을 위한 목표 공중을 찾는데 도움을 주고, PR 프로그램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근거를 제공한다. 따라서 PR을 과정적이고 문제해결적으로 접근하기 위해서는 조사가 핵심요소라 하겠다. 그러나 PR에서 조사가 이처럼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는 PR 조사에 대한 연구나 국내 PR 실무자들의 조사 활동에 대해 알아본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도 PR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조사 활동에 대해 알아보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보고 PR 실무자들이 조사 활동을 어떻게 벌이고 있고, 그들의 조사 활동에 어떤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하였다. 선행연구 분석결과, PR 실무자들의 조사 활동은 조사 목적과 조사 방법을 기준으로 진단할 수 있었으며, 조사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PR 실무자들의 특성과 조직의 여건이 제시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PR 실무자들의 특성에 공식적 PR 교육 이수와 PR 경력을, 조직의 여건에 조직의 PR에 대한 제한적 시각과 시간의 부족을 포함시켰고, 이를 통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식적 PR 교육 이수는 PR 실무자들의 조사 목적과 조사 방법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PR 경력은 PR 실무자들의 조사 목적과 조사 방법에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조직의 PR에 대한 제한적 시각은 PR 실무자들의 조사 목적과 조사 방법에 영향을 미치는가? 넷째, 시간의 부족은 PR 실무자들의 조사 목적과 조사 방법에 영향을 미치는가?
      설문지는 조사 목적과 조사 방법을 진단하는 연구들과 조사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들에서 추출한 항목들로 구성되었고, 설문조사는 대한상공회의소 선정 1000대 기업 중 계통추출법에 의해 선정된 100개 기업들의 PR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그리고 연구문제 분석을 위해 먼저, PR 실무자들이 어떠한 조사 목적과 조사 방법을 주로 사용하는지 대응표본 t검증을 통해 분석하였고, 4가지 요인들의 조사 목적과 조사 방법에 대한 영향력은 다중회귀를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국내 PR 실무자들은 일방향 PR 목적 조사와 쌍방향 PR 목적 조사의 사용에 있어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지만 아직까지 쌍방향 PR 목적 조사를 덜 사용하고 있었다. 그리고 조사 방법에 있어 매체 클립핑 조사 방법, 비공식적 조사 방법, 공식적 조사 방법 순으로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조사 방법을 두루 사용하지 못하고 어느 한 조사 방법에 치우친 조사 활동은 벌이고 있었다.
      요인들의 영향력에 있어서는 요인들 모두가 국내 PR 실무자들의 조사 목적과 조사 방법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먼저, PR 경력은 쌍방향 PR 목적 조사와 공식적 조사 방법에 부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데, 이는 조직에서 PR 부서의 기능이 쌍방향 모델로 변화되기 시작한 시기가 오래 되지 않았고, PR에서의 업무가 오랫동안 일방향 모델에 치우쳐 있다 보니 PR 경력이 오히려 쌍방향 PR 목적 조사와 공식적 조사 방법 사용에 역효과를 미친 것으로 보인다. 둘째, 조직의 PR에 대한 제한적 시각은 쌍방향 PR 목적 조사, 공식적 조사 방법, 비공식적 조사 방법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전문적 조사 활동을 위해 PR에 대한 조직의 제한적 시각을 변화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셋째, 시간의 부족은 일방향 PR 목적 조사와 비공식적 조사 방법에 정적 영향을 주고 있었다. 따라서 일방향 PR 목적 조사 보다 쌍방향 PR 목적 조사의 시행, 그리고 다양한 조사 방법의 활용을 위해 PR 실무자들에게 조사를 위한 충분한 시간이 필요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앞으로 국내 PR의 전문적 조사 활성화를 위해 PR 실무자들과 조직이 어떠한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지를 보여주는 것이라 하겠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 Ⅱ. 이론적 배경 = 5
      • 1. PR 조사 = 5
      • 2. PR에서의 조사 목적 = 7
      • 3. PR에서의 조사 방법 = 12
      • Ⅰ. 서론 = 1
      • Ⅱ. 이론적 배경 = 5
      • 1. PR 조사 = 5
      • 2. PR에서의 조사 목적 = 7
      • 3. PR에서의 조사 방법 = 12
      • 4. PR 조사 방법 활용 = 15
      • 5. PR 실무자들의 조사 활동 실태 = 20
      • 6. PR 실무자들의 조사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 23
      • Ⅲ. 연구방법 = 31
      • 1. 표본 설계 및 조사 = 31
      • 2. 측정 변인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 = 32
      • 3. 분석 방법 = 37
      • Ⅳ. 연구결과 = 39
      • 1. 응답자 특성 = 39
      • 2. 연구 결과 분석 = 44
      • Ⅴ. 논의 = 56
      • Ⅵ. 결론 및 제언 = 65
      • 참고문헌 = 68
      • 부록 = 73
      • 국문초록 = 79
      • Abstract = 8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