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제강점기『국사지리』교과서의 지리 내용에 동원된 국민의식 형성 논리에 대한 고찰 = The Logic for the Development of National Consciousness in the Geography Contents of 『National History and Geography』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10544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일제는 1938년 3월 3일에 제3차 조선교육령을 공포하고, 皇國臣民化를 강요하는 동화주의적 교육체제로 전환하였다. 본 논문은 1938년 공포된 제3차 조선교육령 시기에 조선총독부가 편찬한『국사지리』교과서의 지리 내용에 동원된 국민의식 형성의 논리를 고찰하는 글이다. 『국사지리』는 국가 발전 단계에 따르는 구성 원리를 채택하고, 국사와 지리를 병렬적으로 배열하는 상관적인 구성 방법을 동원하여 지리적 現勢를 공간적으로 인식할 뿐 아니라 시간적으로도 인식할 수 있게 한다. 『국사지리』는 국토의 지리적 특성, 즉 객관적 대상으로 존재하는 자연 경관이나 영토 등에 국민의식을 형성하기 위한 주관적 가치와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다시 말해, 지리적 事象을 국민 통합을 위한 심벌로서 창조함으로써 국민의식의 형성을 꾀하고 있다. 지리적 심벌의 창조는 국체·국위·국민성·국가 등의 추상적 관념을 가시화하고 실체화하기 위한 장치였다고 할 수 있다.
      번역하기

      일제는 1938년 3월 3일에 제3차 조선교육령을 공포하고, 皇國臣民化를 강요하는 동화주의적 교육체제로 전환하였다. 본 논문은 1938년 공포된 제3차 조선교육령 시기에 조선총독부가 편찬한『...

      일제는 1938년 3월 3일에 제3차 조선교육령을 공포하고, 皇國臣民化를 강요하는 동화주의적 교육체제로 전환하였다. 본 논문은 1938년 공포된 제3차 조선교육령 시기에 조선총독부가 편찬한『국사지리』교과서의 지리 내용에 동원된 국민의식 형성의 논리를 고찰하는 글이다. 『국사지리』는 국가 발전 단계에 따르는 구성 원리를 채택하고, 국사와 지리를 병렬적으로 배열하는 상관적인 구성 방법을 동원하여 지리적 現勢를 공간적으로 인식할 뿐 아니라 시간적으로도 인식할 수 있게 한다. 『국사지리』는 국토의 지리적 특성, 즉 객관적 대상으로 존재하는 자연 경관이나 영토 등에 국민의식을 형성하기 위한 주관적 가치와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다시 말해, 지리적 事象을 국민 통합을 위한 심벌로서 창조함으로써 국민의식의 형성을 꾀하고 있다. 지리적 심벌의 창조는 국체·국위·국민성·국가 등의 추상적 관념을 가시화하고 실체화하기 위한 장치였다고 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n March 3, 1938, Imperial Japan proclaimed the Third Joseon Education Order, and changed the education system that forced unilateral assimilation and Imperial Japanization. This paper deals with the logic mobilized for the development of national consciousness in the geography contents of 『National History and Geography』textbook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The textbook adopts the principle of writing geography and history contents according to the national development stages, and arranges the geography and history contents by mutually interrelated method. The principle and method may lead to understanding geographical events and issues
      through time and space. The textbook gives subjective value and meaning to the national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existing as natural landscapes and territories, for the development of national consciousness. This symbolizing of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may be a device to materialize various views for the development of national consciousness.
      번역하기

      On March 3, 1938, Imperial Japan proclaimed the Third Joseon Education Order, and changed the education system that forced unilateral assimilation and Imperial Japanization. This paper deals with the logic mobilized for the development of national con...

      On March 3, 1938, Imperial Japan proclaimed the Third Joseon Education Order, and changed the education system that forced unilateral assimilation and Imperial Japanization. This paper deals with the logic mobilized for the development of national consciousness in the geography contents of 『National History and Geography』textbook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The textbook adopts the principle of writing geography and history contents according to the national development stages, and arranges the geography and history contents by mutually interrelated method. The principle and method may lead to understanding geographical events and issues
      through time and space. The textbook gives subjective value and meaning to the national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existing as natural landscapes and territories, for the development of national consciousness. This symbolizing of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may be a device to materialize various views for the development of national consciousnes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1. 머리말
      • 2. 『국사지리』의 구성 원리와 지리 내용
      • 3. 황국의 지리적 특성과 국민의식 형성의 논리
      • 요약
      • Abstract
      • 1. 머리말
      • 2. 『국사지리』의 구성 원리와 지리 내용
      • 3. 황국의 지리적 특성과 국민의식 형성의 논리
      • 4. 맺음말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권오현, "황국신민화 교육정책과 역사교육의 변화"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8 (18): 1-13, 2011

      2 윤은미, "제3차 조선교육령 시기의 '국사지리' 교육"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3 이명화, "일제 황민화교육과 국민학교제의 시행"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35) : 315-348, 2010

      4 손종현, "일제 제3차 조선교육령기하 학교교육의 식민지배관행" 慶北大學校 大學院 1993

      5 윤세철, "일본의 역사교육과정과 교과서" 역사교육연구회 34 : 85-115, 1983

      6 横浜昭市, "首都" 大明堂 1988

      7 阿部一, "近代日本の敎科書における富士山の象形性" 65A (65A): 238-249, 1992

      8 石橋五郞, "祖国地理に就いて" 地理敎育硏究会 27 (27): 1-12, 1938

      9 權五鉉, "朝鮮總督府下におけゐ歷史敎育內容史硏究" 廣島大學 1999

      10 中村栄孝, "時局下に於ける朝鮮の歷史敎育" 歷史敎育硏究会 9-41, 1938

      1 권오현, "황국신민화 교육정책과 역사교육의 변화"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8 (18): 1-13, 2011

      2 윤은미, "제3차 조선교육령 시기의 '국사지리' 교육"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3 이명화, "일제 황민화교육과 국민학교제의 시행"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35) : 315-348, 2010

      4 손종현, "일제 제3차 조선교육령기하 학교교육의 식민지배관행" 慶北大學校 大學院 1993

      5 윤세철, "일본의 역사교육과정과 교과서" 역사교육연구회 34 : 85-115, 1983

      6 横浜昭市, "首都" 大明堂 1988

      7 阿部一, "近代日本の敎科書における富士山の象形性" 65A (65A): 238-249, 1992

      8 石橋五郞, "祖国地理に就いて" 地理敎育硏究会 27 (27): 1-12, 1938

      9 權五鉉, "朝鮮總督府下におけゐ歷史敎育內容史硏究" 廣島大學 1999

      10 中村栄孝, "時局下に於ける朝鮮の歷史敎育" 歷史敎育硏究会 9-41, 1938

      11 中村栄孝, "新刊『国史地理』(上券·下券 ) 編 纂の趣旨と取扱上の注意" 朝鮮督府 1 : 63-78, 1938

      12 水內俊雄, "地理思想と国民国家の形成" 岩波書店 1994

      13 權五鉉, "地歷統合の構成原理と国民意識形成の論理" 21 (21): 55-62, 1998

      14 若林幹夫, "地小の想像力" 講談社メチエ 1995

      15 吳成哲, "1930年代 韓國 初等敎育 硏究"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6

      16 김경미, "'황민화' 교육정책과 학교교육 -1940년대 초등교육 '국사'교과를 중심으로-" 국학연구원 (124) : 659-700,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12-26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 문화역사지리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4 0.64 0.6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5 0.66 0.935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