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크립토민주주의의 의미와 쟁점 = The Meaning and Issues of Crypto-Democrac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2760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디지털 민주주주의가 정치적 의사결정과정에 주권자와 대리인간의 쌍방소통의 길을 열어서 정치 참여도를 높이고, 의사소통에수반되는 비용까지 감소시켜 직접민주주의의 구현 가능성을 높였다고 평가할 수 있는 상황들이 전개되었다. 그런데 디지털 민주주의는 기대에 부응하여 참여와 숙의의 기회를 넓혀 민주주의를 더욱 내실화하고 공고히 할 수도 있지만, 반면에 민주주의의 허점들이 두드러져 오히려 민주주의의 기초를 갉아먹는 역할 또한 할 수 있다.
      블록체인 기술이 ICT 플랫폼의 조작 및 오남용 문제 등 디지털민주주의의 한계로 지적되는 문제들을 해결해 주고, 또한 온라인공론장에서의 숙의의 미흡이나 포퓰리즘의 득세 등으로 연결될 수있는 한계들을 개선함으로 인해, 참여와 숙의가 실질적으로 결합한, 새로운 직접민주주의의 장을 안전하게 열어주리라는 것이 크립토민주주의의 우수성과 필연성을 믿는 이들의 주장이다.
      블록체인 기술은 정보를 이용하려는 사람들의 네트워크에 그것을 실시간으로 분산하여 저장⋅공유하는 기술인데,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개인들이 실시간으로 암호 기술을 활용하여 분산 원장에정보의 거래 또는 공유의 내용을 기록하는 체인 형태의 연결 시스템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특히 공인된 제3의 기관의 중앙 서버와같은 장치가 없이, 상호 합의된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암호 기술을사용하여 정보를 교환하기 때문에 공유 또는 교환된 정보에 대한신뢰성, 투명성, 보안성 등이 그 장점으로 주목받는다.
      블록체인 기술이 기존의 디지털 민주주의의 결함에 대해 해결책을 제시할 뿐만 아니라, 그 성과가 새로운 민주주의 모델의 탄생에 견줄 정도의 혁신을 의미할 때 그것을 크립토민주주의라고 부른다. 크립토민주주의는 아직 대세는 아니다. 크립토민주주의가기존의 디지털 민주주의를 넘어서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등극할지는 더 두고 봐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디지털 민주주주의가 정치적 의사결정과정에 주권자와 대리인간의 쌍방소통의 길을 열어서 정치 참여도를 높이고, 의사소통에수반되는 비용까지 감소시켜 직접민주주의의 구현 가능성을 ...

      디지털 민주주주의가 정치적 의사결정과정에 주권자와 대리인간의 쌍방소통의 길을 열어서 정치 참여도를 높이고, 의사소통에수반되는 비용까지 감소시켜 직접민주주의의 구현 가능성을 높였다고 평가할 수 있는 상황들이 전개되었다. 그런데 디지털 민주주의는 기대에 부응하여 참여와 숙의의 기회를 넓혀 민주주의를 더욱 내실화하고 공고히 할 수도 있지만, 반면에 민주주의의 허점들이 두드러져 오히려 민주주의의 기초를 갉아먹는 역할 또한 할 수 있다.
      블록체인 기술이 ICT 플랫폼의 조작 및 오남용 문제 등 디지털민주주의의 한계로 지적되는 문제들을 해결해 주고, 또한 온라인공론장에서의 숙의의 미흡이나 포퓰리즘의 득세 등으로 연결될 수있는 한계들을 개선함으로 인해, 참여와 숙의가 실질적으로 결합한, 새로운 직접민주주의의 장을 안전하게 열어주리라는 것이 크립토민주주의의 우수성과 필연성을 믿는 이들의 주장이다.
      블록체인 기술은 정보를 이용하려는 사람들의 네트워크에 그것을 실시간으로 분산하여 저장⋅공유하는 기술인데,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개인들이 실시간으로 암호 기술을 활용하여 분산 원장에정보의 거래 또는 공유의 내용을 기록하는 체인 형태의 연결 시스템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특히 공인된 제3의 기관의 중앙 서버와같은 장치가 없이, 상호 합의된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암호 기술을사용하여 정보를 교환하기 때문에 공유 또는 교환된 정보에 대한신뢰성, 투명성, 보안성 등이 그 장점으로 주목받는다.
      블록체인 기술이 기존의 디지털 민주주의의 결함에 대해 해결책을 제시할 뿐만 아니라, 그 성과가 새로운 민주주의 모델의 탄생에 견줄 정도의 혁신을 의미할 때 그것을 크립토민주주의라고 부른다. 크립토민주주의는 아직 대세는 아니다. 크립토민주주의가기존의 디지털 민주주의를 넘어서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등극할지는 더 두고 봐야 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서용석, "첨단기술의 발전과 미래정부의 역할과 형태" 미래연구 포커스 2016

      2 김비환, "참여민주주의의 定義와 이론" 한국의회발전연구회 10 (10): 5-31, 2004

      3 김선혁, "정보통신기술혁명과 민주주의의미래" 국제학연구소 25 (25): 95-124, 2016

      4 조영재, "전자민주주의: 논쟁, 현실, 전망. 민주주의 대 민주주의" 아르케 155-178, 2006

      5 정규호, "심의민주주의적 의사결정논리의 특성과 함의" 3 (3): 29-57, 2005

      6 장동진, "심의민주주의" 박영사 2012

      7 이항우, "블록체인의 디지털 민주주의: 자유지상주의를 넘어 커먼주의로" 비판사회학회 (120) : 313-345, 2018

      8 이준복, "블록체인에 기반한 전자민주주의 구현방안 연구: 신뢰성을 확보한 전자투표 시스템 구축을 중심으로" 법과정책연구원 25 (25): 215-244, 2019

      9 민경식, "블록체인 기술의 이해와 활용" 3-28, 2018

      10 김광훈, "블록체인 기술의 이해 및 적용 현황" 25 (25): 13-19, 2018

      1 서용석, "첨단기술의 발전과 미래정부의 역할과 형태" 미래연구 포커스 2016

      2 김비환, "참여민주주의의 定義와 이론" 한국의회발전연구회 10 (10): 5-31, 2004

      3 김선혁, "정보통신기술혁명과 민주주의의미래" 국제학연구소 25 (25): 95-124, 2016

      4 조영재, "전자민주주의: 논쟁, 현실, 전망. 민주주의 대 민주주의" 아르케 155-178, 2006

      5 정규호, "심의민주주의적 의사결정논리의 특성과 함의" 3 (3): 29-57, 2005

      6 장동진, "심의민주주의" 박영사 2012

      7 이항우, "블록체인의 디지털 민주주의: 자유지상주의를 넘어 커먼주의로" 비판사회학회 (120) : 313-345, 2018

      8 이준복, "블록체인에 기반한 전자민주주의 구현방안 연구: 신뢰성을 확보한 전자투표 시스템 구축을 중심으로" 법과정책연구원 25 (25): 215-244, 2019

      9 민경식, "블록체인 기술의 이해와 활용" 3-28, 2018

      10 김광훈, "블록체인 기술의 이해 및 적용 현황" 25 (25): 13-19, 2018

      11 정혜진,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전자투표시스템과 지배구조: 국민연금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전자거래학회 24 (24): 1-16, 2019

      12 허태욱, "더 나은 민주주의로 가는 사회적 신뢰 기술 ‘블록체인’:블록체인과 디지털 거버넌스의 혁신 ①" 127 : 62-67, 2021

      13 허태욱, "더 나은 민주주의로 가는 사회적 신뢰 기술 ‘블록체인’ : 블록체인과 디지털 거버넌스의 혁신 ②" 127 : 56-61, 2021

      14 주영광, "공공분야 블록체인 적용 동향과 시사점"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18

      15 Killmeyer, J., "Will Blockchain transform the public sector?"

      16 Rosic, A, "What is Blockchain Technology? A Step-by-Step Guide For Beginners"

      17 Easton, David., "The political system" 9 (9): 383-400, 1957

      18 Djankov, S., "The new comparative economics" 31 (31): 595-619, 2003

      19 Darcy W. E. Allen, "The Economics of Crypto-Democracy" Elsevier BV 2017

      20 Buchanan, James M., "Social choice, democracy, and free markets" 62 (62): 114-123, 1954

      21 Saffon, M. P., "Procedural democracy, the bulwark of equal liberty" 41 (41): 3-441, 2013

      22 Chris Berg, "Populism and Democracy: A Transaction Cost Diagnosis and a Cryptodemocracy Treatment" Elsevier BV 2017

      23 Bermeo, Nancy., "On democratic backsliding" 27 (27): 5-19, 2016

      24 Dahl, R., "On Democracy" Yale University Press 1978

      25 Blum, Christian, "Liquid democracy : Potentials, problems, and perspectives" 24 (24): 162-182, 2016

      26 Sinclair Davidson, "Economics of Blockchain" Elsevier BV 2016

      27 Walport, M. G. C. S. A., "Distributed ledger technology : Beyond Blockchain"

      28 Barnes, A., "Digital Voting with the use of Blockchain Technology Pioneers" Plymouth University 2016

      29 Tilly, C., "Democrac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

      30 Chris Berg, "Delegation and Unbundling in a Crypto-Democracy" Elsevier BV 2017

      31 Srivastava, G., "Crypto-democracy: A Decentralized Voting Scheme using Blockchain Technology" (2) : 674-679, 2018

      32 Berg, A., "Crypto public choice"

      33 Berggren, N., "Constitutionalism, division of power and transaction costs" 117 (117): 99-124, 2003

      34 Popović, Andrija, "CRYPTO-DEMOCRACY:IMPLICATIONS OF THE BLOCKCHAIN TECHNOLOGY ON THE DEMOCRATIC CHOICE" 389-399, 2020

      35 Atzori, M, "Blockchain technology and decentralized governance:Is the state still necessary?"

      36 Jafar, Uzma, "Blockchain for electronic voting system—review and open research challenges" 21 (21): 5874-, 2021

      37 Arun, J. S., "Blockchain for Business" Pearson Education 2019

      38 Daniel, M, "Blockchain Technology: The Key to Secure Online Voting"

      39 Tapscott, D., "Blockchain Revolution" Penguin 2016

      40 Swan, M., "Blockchain : Blueprint for a new economy" O’Reilly Media 2015

      41 Nakamoto, S, "Bitcoin: A peer-to-peer electronic cash system"

      42 Liu, Y., "An E-voting Protocol Based on Blockchain"

      43 Anwar ul Hassan, Ch, "A Liquid Democracy Enabled Blockchain-Based Electronic Voting System" 2022 : 1-10, 2022

      44 허태욱, "4차산업혁명시대 블록체인 거버넌스 시스템으로의 전환과 시민사회의 역할에 관한 서설적 연구" 한국NGO학회 12 (12): 95-126, 2017

      45 윤성이, "4차 산업혁명시대의 거버넌스 패러다임 변화와 포스트민주주의" 34 : 30-33, 2017

      46 이충한, "4차 산업혁명과 민주주의의 미래" 새한철학회 91 (91): 289-312, 2018

      47 김영하,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민주주의 탐색"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71) : 119-152, 202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