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진도 명량대첩로 해저 출수 특수기종의 생산지 문제 = Problem of the Production Site of Underwater Excavated Specific Type in Myeongnyang Route, Jindo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Maritime Cultural Heritage is implemented for underwater excavations and research about 5 times and an emergency investigation from 2012 to 2017 in Jindo-County Myeongnyang route of the seas, which were excavated abo...

      Th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Maritime Cultural Heritage is implemented for underwater excavations and research about 5 times and an emergency investigation from 2012 to 2017 in Jindo-County Myeongnyang route of the seas, which were excavated about Earthenware·Pottery, Celadon, Metal, Stone, Bone Carving, Wood and so on about 982 of all.
      The count of Celadon from all of underwater excavated relics was overall 726 relics which possessed overwhelmingly approximately 73.5% of underwater excavated comparing to whole relics.
      Seeing as inscribed pattern technique of design and shape, the breath of facture period is wide from the end of 11th Century to 14th Century. The period of 12~13th century when is the prime of celadon which is the most excavation of percentage achieves the center.
      The area of celadon production from 12~13th century in Buan and Gangjin is typical.
      The both of area is mentioned to discuss Celadon from 12~13th century. However, actual study are mostly comparison examination cases about focusing on the area of Gangjin Celadon. Earlier Studies related with Celadon from underwater excavations in Myeongnyang route area assumed that most of celadon made in Gangjin by this period even though there are several excavation cases in Buan not to mention.
      However, no one can guarantee the production, departure, use, destination, and use of the class for underwater excavated relics.
      Since the 12th and 13th centuries celadon was produced in large quantities not only in Gangjin, Jeollanam-do, but also in Buan, Jeollabuk-do, its correlation with excavated relics in the region should be closely examined.
      Therefore, from this study, assuming that Celadon made in Buan about underwater excavations of Myeongnyang route in 12~13th century on specific types as five for An incense burner with celadon shaped like a shapes, A pen rack celadon, A shape of square celadon flowerpots, A celadon bottle, A celadon jar with inlaid plum blossom, bamboo, cloud and crane design and so on. The relics excavated from the Goryeo celadon kiln site No. 12 in Buan, Yucheon-ri will be closely compared with those excavated.
      Through this, Buan, the representative site of Goryeo celadon production in the 12th and 13th centuries, is also likely to have produced a variety of high-quality celadon of special types and distributed throughout the country through sea rout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에서는 진도군 명량대첩로 해역에서 2012년~2017년까지 긴급탐사와 5차례 수중발굴조사를 실시하여 토도기류, 자기류, 금속류, 석제류, 골각류, 목재류 등 총 982점이 발...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에서는 진도군 명량대첩로 해역에서 2012년~2017년까지 긴급탐사와 5차례 수중발굴조사를 실시하여 토도기류, 자기류, 금속류, 석제류, 골각류, 목재류 등 총 982점이 발굴되었다. 출수유물 중 청자의 수량은 총 726점으로 전체 유물 중 약 73.5%의 출수율로 압도적으로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 문양시문기법과 기형 등으로 보아 제작 시기는 11세기 후반~14세기에 이르기까지 시대의 폭이 넓은데 가장 많은 출토량을 보이는 시기는 고려청자 전성기인 12~13세기가 중심을 이루고 있다. 12~13세기 청자 생산지로는 부안과 강진이 대표적이다. 두 지역은 12~13세기 고려청자를 논할 때 반드시 거론되는 곳이지만 실제 연구에서는 강진지역 청자를 중심으로 비교 검토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명량대첩로 해역 출수 관련 청자에 대한 기존 연구에서도 이 시기 청자를 대부분 강진지역에서 생산한 것으로 추정하였고, 부안지역의 출토 예가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언급되지 않은 경우도 있다.
      그러나 출수유물의 생산지, 출발지, 용도, 도착지, 사용계층에 대해서는 누구도 장담하기 어려우며, 12~13세기 청자는 전남 강진뿐만 아니라 전북 부안에서도 대량으로 생산했기 때문에 이 지역 출토품과의 상관관계도 면밀히 검토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명량대첩로 해역 출수 12~13세기 고려청자 중 부안지역에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상형청자 향로, 필가, 방형 화분, 장경병, 청자상감매죽로운학문호 등 특수기종 다섯 가지를 대상으로 부안 유천리 12호 고려청자 요지 일대에서 출토된 유물과 면밀히 비교 검토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12~13세기 고려청자 생산의 대표지인 부안에서도 특수 기종의 고급 청자가 다양하게 제작되어 해로를 통해 전국으로 유통되었을 가능성이 농후함을 밝혀보고자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청자"

      2 최미향, "진도 명량대첩로 해역 출수 청자의 양식적 특징과 성격"

      3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진도 명량대첩로 해역 수중발굴조사 보고서Ⅱ" 2018

      4 "진도 명량대첩로 해역 수중발굴조사 보고서"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5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진도 명량대첩로 해역 수중발굴조사 보고서" 2015

      6 "전라도 정도 1000년 및 고려 건국 1100주년 기념 특별전 도록"

      7 백은경, "원산도 인양 청자향로 연구"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3) : 2010

      8 "부안청자박물관 2019년 기획전시 도록"

      9 국립중앙박물관, "부안 유천리 도요지 발굴조사 보고서" 2011

      10 (재)전북문화재연구원, "부안 유천리 3구역 청자요지군 발굴조사 보고서Ⅰ" 2018

      1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청자"

      2 최미향, "진도 명량대첩로 해역 출수 청자의 양식적 특징과 성격"

      3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진도 명량대첩로 해역 수중발굴조사 보고서Ⅱ" 2018

      4 "진도 명량대첩로 해역 수중발굴조사 보고서"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5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진도 명량대첩로 해역 수중발굴조사 보고서" 2015

      6 "전라도 정도 1000년 및 고려 건국 1100주년 기념 특별전 도록"

      7 백은경, "원산도 인양 청자향로 연구"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3) : 2010

      8 "부안청자박물관 2019년 기획전시 도록"

      9 국립중앙박물관, "부안 유천리 도요지 발굴조사 보고서" 2011

      10 (재)전북문화재연구원, "부안 유천리 3구역 청자요지군 발굴조사 보고서Ⅰ" 2018

      11 부안청자박물관, "부안 유천리 12호 고려청자가마터 발굴성과전"

      12 국립해양유물전시관, "보령 원산도 수중발굴조사 보고서" 2007

      13 국립전주박물관, "고려청자의 정점을 만나다-부안청자 강진청자"

      14 국립중앙박물관, "강진 용운리 청자요지 발굴조사 보고서 도판편" 1996

      15 국립중앙박물관, "강진 사당리 도요지 발굴조사 보고서" 2015

      16 고려청자박물관, "강진 사당리 고려청자"

      17 李浩官, "韓國의 金屬工藝" 文藝出版社 1997

      18 浙江省文物考古硏究所, "寺龍口越窯址" 文物出版社 2002

      19 河南省文物考古硏究所, "宝丰淸凉寺汝요窑" 大象出版社 2008

      20 刘涛, "宋遼金紀年瓷器" 文物出版社 2004

      21 陝西省考古硏究所, "宋代耀州窯址" 文物出版社 1998

      22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명량』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특별전 도록"

      23 "2017년 이화여자대학교 창립 131주년 기념 소장품 특별전 도록"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