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그룹 감각통합치료가 학령기 감각통합장애 아동의 실행능력과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s of Sensory Integration Group Program on Praxis and Socialization for School-aged Children With Sensory Integration Dysfunc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67160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본연구는 그룹 감각통합치료를 통해 학령기 감각통합장애 아동의 실행,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은 만 7~13세의 학령기 아동 5명으로, 실2험기간...

      목적: 본연구는 그룹 감각통합치료를 통해 학령기 감각통합장애 아동의 실행,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은 만 7~13세의 학령기 아동 5명으로, 실2험기간은 009년 6월에서 11월까지였다. 그룹 감각통합치료는 주 1회, 회7기 당 0분씩 총 26회기의 그룹 감각통합치료를 실시하였다. 아동의 실행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Bruininks-Oseretasky Test of Motor Proficiency(BOT-2), 사회성을 알아보기 위해 사회성 기초기능척도를 사용하였다. 그룹 감각통합치료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단일집단 사전-사후 설계(on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을 사용하였다. 그룹 감각통합치료 사전/사후의 BOT-2,(Wi사회성 기초기능척도의 차이는 윌콕슨 순위검정 lcoxon matched-pairs signed ranks test)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그룹 감각통합치료는 학령기 아동의 실행능력, 사회성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결론: 본 연구는 감각통합장애가 있는 학령기 아동에게 그룹 감각통합치료에 대한 효과를 제시하여 학령기 아동의 그룹치료에 대한 초기연구모델을 제시하였으며, 감각통합 치료적용이 보다 확대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향후 연구에서 연구 대상자의 수를 늘리고 표준 데이터를 제시해 줄 수 있는 다양한 평가기준을 사용한다면 보다 객관적이고 긍정적인 결과가 나올 것으로 사료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s of group sensory integrative intervention on praxis and socialization for school-aged children with sensory integration disorder. Method : The subjects are five children aged between 7 and 13 ...

      Objective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s of group sensory integrative intervention on praxis and socialization for school-aged children with sensory integration disorder. Method : The subjects are five children aged between 7 and 13 with sensory integration disorder. All children had participated in 26 sessions of group sensory integrative intervention. The Bruininks-Oseretasky Test of Motor Proficiency(BOT-2) and The Scale for Basic Socialized Function were used so as to evaluate the praxis and socialization. On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to verify the effect of group sensory integration(SI) intervention. The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group SI intervention in the BOT-2, Scale for basic socialized function is tested by the Wilcoxon matched-pairs signed ranks test. Results :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BOT-2(Z=-2.023, p=.043) and Scale for basic socialized function(Z=-2.023, p=.043) scores comparing pre-intervention with post-intervention. Conclusions :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group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praxis and socialization for school-aged children. However,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the conclusion because the number of subjects was limited and the environmental confounding factors had not been considered. Therefore, in the future research, it should supplement the aspect these limitations before applying the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in order to suggest standard criteria for norm data.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