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임금근로 장애인의 임금변화 유형화 및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Typology and Determinants for Change in the Wage of Disabled Peopl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1251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quality of work available for disabled persons by typifying long-term change in wages for the disabled, the difference in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and the determinants of the types of wage change. For analysis, we ana...

      This study investigates the quality of work available for disabled persons by typifying long-term change in wages for the disabled, the difference in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and the determinants of the types of wage change. For analysis, we analyzed the latent growth model, growth mix model, and logistic regression. The result of analysis illustrated that the wage level of the disabled was divided into low-stable, high-stable and moderate-increasing. By confirming the factors that affect positive change (high-stable and moderate-increasing), it was less likely for those belonging to the following demographics (women, laborers with simple tasks, farmers and fishermen and workers not associated with a labor union) to show positive change. As such, those that have a higher possibility of belonging to positive change groups are identified as follows: those who are in their 50s compared to those younger, those with higher education, people with spouses, people with mild disabilities, people with internal disabilities rather than physical, workers employed at private companies, those employed at larger companies and full-time workers. Based on these results, we conclude policy and practical implication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임금근로 장애인의 임금변화를 유형화하고, 각 유형의 결정요인을 파악하여 정책적, 실천적 함의를 논의하는 데 목적이 있다. 분석을 위해 잠재성장모형, 성장혼합모형, 로지스틱...

      본 연구는 임금근로 장애인의 임금변화를 유형화하고, 각 유형의 결정요인을 파악하여 정책적, 실천적 함의를 논의하는 데 목적이 있다. 분석을 위해 잠재성장모형, 성장혼합모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분석결과, 장애인 임금 수준은 저수준 유지, 고수준 유지, 중수준 증가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저수준 유지 집단을 참조범주로 고수준 유지와 중수준 증가 집단에 속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한 결과 여성, 단순노무직 및 농업, 노동조합 가입을 안했을 경우 고수준 유지나 중수준 증가 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유의하게 낮았다. 연령에서는 저연령에 비해 50대일 경우, 고학력일수록, 배우자가 있는 경우, 경증 장애일 경우, 신체 외부보다는 신체 내부의 장애일 경우, 공공에 비해 민간 회사일 경우, 회사규모가 클수록, 상용직일 경우 저수준 유지 집단보다 고수준 유지 및 중수준 증가 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장애인 임금에 관한 정책적, 실천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삼섭, "특수교사와 직장동료가 판단하는지적장애인의 직업적 성공요인에 관한 융합연구" 한국융합학회 10 (10): 277-283, 2019

      2 이채식, "취업장애인의 직업유지에 영향을 주는 제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3 (23): 327-356, 2013

      3 최병우, "중고령임금근로자의 임금수준과 직무만족에 관한 종단연구: 잠재성장모형을 이용한 상호의존성" 중소기업융합학회 9 (9): 78-87, 2019

      4 이병화, "장애인이 지각한 사회적 차별경험이 직업유지에 미치는 영향: 생활만족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6 (36): 227-257, 2016

      5 전명숙, "장애인 임금근로자의 직업능력이 고용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7 (17): 83-94, 2017

      6 곽지영, "장애여성의 노동시장 진입 및 유지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 (20): 79-104, 2010

      7 김봉균, "임금근로 장애인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환경적 요인에 관한 종단적 연구"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6) : 101-119, 2014

      8 석말숙, "임금근로 장애인의 근속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한국장애인복지학회 (11) : 243-276, 2009

      9 변용찬, "경기도 취업 장애인의 직업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한국직업재활학회 14 (14): 105-132, 2004

      10 Petrovski, P.,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health in people with an intellectual disability in competitive employment" 22 (22): 199-211, 1997

      1 김삼섭, "특수교사와 직장동료가 판단하는지적장애인의 직업적 성공요인에 관한 융합연구" 한국융합학회 10 (10): 277-283, 2019

      2 이채식, "취업장애인의 직업유지에 영향을 주는 제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3 (23): 327-356, 2013

      3 최병우, "중고령임금근로자의 임금수준과 직무만족에 관한 종단연구: 잠재성장모형을 이용한 상호의존성" 중소기업융합학회 9 (9): 78-87, 2019

      4 이병화, "장애인이 지각한 사회적 차별경험이 직업유지에 미치는 영향: 생활만족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6 (36): 227-257, 2016

      5 전명숙, "장애인 임금근로자의 직업능력이 고용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7 (17): 83-94, 2017

      6 곽지영, "장애여성의 노동시장 진입 및 유지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 (20): 79-104, 2010

      7 김봉균, "임금근로 장애인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환경적 요인에 관한 종단적 연구"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6) : 101-119, 2014

      8 석말숙, "임금근로 장애인의 근속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한국장애인복지학회 (11) : 243-276, 2009

      9 변용찬, "경기도 취업 장애인의 직업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한국직업재활학회 14 (14): 105-132, 2004

      10 Petrovski, P.,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health in people with an intellectual disability in competitive employment" 22 (22): 199-211, 1997

      11 Longhi, S., "Interpreting wage gaps of disabled men : The roles of productivity and of discrimination" 78 (78): 931-953, 2012

      12 Agovino, M., "Identifying the quality of work by fuzzy sets theory : A comparison between disabled and non-disabled workers" 119 (119): 1627-1648, 2014

      13 Bell, M. D., "Clinical Benefit of Paid Work Activity in Schizophrenia" 22 (22): 51-62, 1996

      14 한국장애인고용공단, "2019년 장애인경제활동실태조사" 한국장애인고용공단고용개발원 201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