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문화역사적 활동이론을 바탕으로 한 과학과 자기주도학습체제 분석 도구 및 발달 과정 모형 개발 = Development of Analytic Tools and Improvement Model of Self-Directed Learning System of Science Subject Based on Cultural-Historical Activity Theo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40088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approach systematically and understand the social-cultural compositions that have an impact on self-directed learning of science subject based on the Cultural-Historical Activity Theory (CHAT), which understands th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approach systematically and understand the social-cultural compositions that have an impact on self-directed learning of science subject based on the Cultural-Historical Activity Theory (CHAT), which understands the activities of an individual or a group in terms of societal, cultural, and historical factors. Additionally, this research was designed to analyze each composition of the activity-system and to develop analysis tools and an improvement model of the self-directed learning system of science subject.
      Based on the analytic framework for evaluating the self-directed learning system of science subject, made by studying the beforehand research,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tic tools were developed. The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that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urvey targeted middle school students and college students statistically.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utilized an in-depth interview,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between groups. The results of the quantitative analysi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self-directed learning system of science subject and both the ability to do self-directed learning and the achievement. The study also indicated that there were great differences between the results from different college majors. In addition, the comparison of qualitative analysis between the groups divided by the system quotient and the science achievement showed that the level of achievement had a significant impact on planning and performance in the students' studies.
      Through the analysis based on grounded theory and the inductive method, it was observed that the quality improved as the compositions of the system circulated choice and action, action evaluation, and knowledge of the method. Also, it led to the development of the systematic compositions improvement model. Expanding this, the system improvement model was developed, which shows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the system through the interaction between the systematic composition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개인 또는 집단의 활동을 사회, 문화, 역사적 맥락 속에서 이해하는 이론인 문화역사적 활동이론(CHAT: Cultural-Historical Activity Theory)을 바탕으로 하여 과학과 자기주도학습에 ...

      이 연구의 목적은 개인 또는 집단의 활동을 사회, 문화, 역사적 맥락 속에서 이해하는 이론인 문화역사적 활동이론(CHAT: Cultural-Historical Activity Theory)을 바탕으로 하여 과학과 자기주도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문화적 요소들을 체제적으로 접근하여 총체적으로 이해하는 한편 각 활동체제 요소들 즉, 목적, 도구, 분업, 공동체, 규칙을 좀 더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자기주도학습체제 분석 도구 및 발달 과정 모형을 개발하는 데 있다.
      이 연구와 관련된 선행 연구들을 분석하여 과학과 자기주도학습체제를 분석하기 위한 분석틀을 개발하고 이를 바탕으로 양적 분석 도구와 질적 분석 도구를 개발하였다. 중학생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를 통계적으로 분석하는 양적 연구 방법과 심층면담을 활용한 질적 연구 방법을 함께 사용하였으며 분석 결과를 집단별로 나누어 비교 분석하였다. 양적 체제 분석 결과, 과학과 자기주도학습체제는 성취도 및 자기주도학습능력과 정적 상관을 나타냈으며 대학 전공에 따라 큰 차이를 나타냈다. 또한 과학 성취도와 체제 지수에 따라 분류한 집단 간의 질적 체제 분석 비교에서는 성취도의 차이에 따라 학습 계획을 세우는 방법과 학습 실행의 정도에 있어서 큰 차이를 나타냈다.
      또한 근거이론을 바탕으로 한 자료 분석과 귀납적 방법을 통해 체제의 각 요소들이 선택 및 실행, 실행 평가, 방법 알기의 세 단계를 순환하며 질적으로 향상되어가는 것을 발견하였고 이를 나타내는 체제 요소 발달 과정 모형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이것을 확장하여 체제 요소들 간의 상호작용을 통한 체제의 질적 향상을 나타내는 체제 발달 과정 모형을 개발하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 내용 2
      • 3. 용어의 정의 3
      • 가. 문화역사적 활동이론 3
      • I.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 내용 2
      • 3. 용어의 정의 3
      • 가. 문화역사적 활동이론 3
      • 나. 자기주도학습 3
      • 다. 자기주도학습체제 3
      • 라. 과학 성취도 4
      • II. 이론적 배경 5
      • 1. 문화역사적 활동이론 5
      • 가. 제 1세대 활동이론 7
      • 나. 제 2세대 활동이론 7
      • 다. 제 3세대 활동이론 9
      • 라. 모순 10
      • 마. 확장학습 11
      • 2. 자기주도학습 12
      • 가. 자기주도학습의 개념 12
      • 나. 자기주도학습능력의 구성요소 14
      • 다. 국내의 연구 동향 17
      • III. 자기주도학습체제 분석 도구 및 발달 과정 모형 개발 19
      • 제1장 자기주도학습체제 양적 분석 도구 개발 22
      • 1. 연구 방법 22
      • 가. 연구 참여자 23
      • 나. 체제 분석틀 및 문항 개발 25
      • 다.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 30
      • 라. 체제 양적 분석 32
      • 2. 결과 및 논의 32
      • 가.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 결과 32
      • 나. 집단 간 양적 분석 결과 비교 39
      • 3. 결론 55
      • 제2장 자기주도학습체제 질적 분석 도구 개발 57
      • 1. 연구 방법 57
      • 가. 연구 참여자 58
      • 나. 심층면담 절차 및 질문지 개발 59
      • 다. 심층면담 결과 분석 및 분석틀 개발 60
      • 라. 타당성 및 신뢰성 확보 60
      • 2. 결과 및 논의 62
      • 가. 심층면담 절차 및 질문지 62
      • 나. 심층면담 결과 분석틀 66
      • 다. 집단 간 질적 분석 결과 비교 97
      • 3. 결론 116
      • 제3장 자기주도학습체제 발달 과정 모형 개발 118
      • 1. 연구 방법 118
      • 가. 연구 참여자 119
      • 나. 근거이론에 따른 자료 분석 119
      • 다. 모형 개발 및 수정 121
      • 라. 타당성 및 신뢰성 확보 121
      • 2. 결과 및 논의 121
      • 가. 자료 분석 결과 122
      • 나. 체제 요소 발달 과정 모형 138
      • 다. 체제 발달 과정 모형 153
      • 3. 결론 154
      • Ⅳ. 종합 논의 및 제언 156
      • 참고문헌 159
      • Abstract 169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염시창, "통합연구방법론", 2001

      2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 I", 질적연구방법론 I, 2008

      3 정미경, "자기조절학습 탐구", 2008

      4 송지준, "SPSS/AMOS 통계분석 방법", SPSS/AMOS 통계분석방법, 2009

      5 교육인적자원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초·중등학교교육과정, 2007

      6 박영태, "자기주도학습력의 이해", 동아대학교출판부, 자기주도학습력의 이해, 2002

      7 교육과학기술부, "자기주도 학습전형 도입", 2010

      8 Guba, Lincoln, "Naturalistic inquiry. Beverly Hills", 1985

      9 Grow, "Teaching Learners To Be Self-Directed", 1991

      10 Leont' ev, "The problem of activity in psychology", 1981

      1 염시창, "통합연구방법론", 2001

      2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 I", 질적연구방법론 I, 2008

      3 정미경, "자기조절학습 탐구", 2008

      4 송지준, "SPSS/AMOS 통계분석 방법", SPSS/AMOS 통계분석방법, 2009

      5 교육인적자원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초·중등학교교육과정, 2007

      6 박영태, "자기주도학습력의 이해", 동아대학교출판부, 자기주도학습력의 이해, 2002

      7 교육과학기술부, "자기주도 학습전형 도입", 2010

      8 Guba, Lincoln, "Naturalistic inquiry. Beverly Hills", 1985

      9 Grow, "Teaching Learners To Be Self-Directed", 1991

      10 Leont' ev, "The problem of activity in psychology", 1981

      11 Leont' ev, "Problems of the development of the mind", Problems of the development of the mind, 1981

      12 Leininger, Madeleine M,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n nursing", Grune & Stratton, 1985

      13 Bødker, "Computer in mediated human activity. Mind", 1997

      14 선혜연, 황매향, 정애경, "자기주절학습능력의 발달 추이", 2012

      15 Harris, Lindner, "Teaching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1993

      16 양미경, "자기 주도적 학습의 이론적 기초", 자기주도적 학습의 이론적 기초, 1996

      17 Bloom, Benjamin Samuel, "Stability and change in human characteristics", Wiley, Stability and change in human characteristics, 1964

      18 정미경, "중학생의 자기조절학습 검사 개발", 한국교육학회, "교육학연구, 2003

      19 Newman, Paris, "Development aspects of self-regulated learning", Development aspects of self-regulated learning, 1990

      20 김판수, "(공부의) 절대시기 : 자기주도학습법", 교육과학사, 공부의 절대시기 자기주도학습법, 2007

      21 안종민, 변영계, "중학생용 학습기술 검사의 개발 연구", 한국교육학회, "교육학연구, 2001

      22 Javis, "Adult and Continuing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Adult and continuing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1995

      23 Sawchuk, Peter H., "Adult learning and technology in working-class life", Cambridge University Press, Adult learning and technology in working-class life, 2003

      24 김경희, 이미경, "과학에 대한 태도와 과학 성취도의 관계", 한국과학교육학회, "한국과학교육학회, 2004

      25 소경희, "학교교육에 있어서 자기주도학습의 의미", 학교교육에 있어서 ‘자기주도학습’의 의미, 1998

      26 Knowles, "Self-directed learning: A guide for learner and teacher", 1975

      27 Vygotsky, "Consciousness as a problem in the psychology of behavior", Consciousness as a problem in the psychology of behavior, 1979

      28 Guglielmino, L. M., "Development of the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Scale", Development of the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scale, 1977

      29 정민승, "자기주도학습자론의 근대주의적 한계 비판", 한국평생교육학회, "평생교육학연구, 2004

      30 Leont' ev, "Activity, consciousness, and personality. Englewood Cliffs", "Activity, 1978

      31 Oka, Paris, "Children' s reading strategies metacognition andmotivation", "Children's reading strategies, 1986

      32 박도순, "자기주도적학습 능력 신장을 위한 학교교육",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신장을 위한 학교교육, 1999

      33 배은주, "청소년 자기주도학습 특성에 관한 사례연구", 2004

      34 이윤하, "활동이론에 터한 일터 무형식학습 뿌리내림", 숭실대학교 대학원, 숭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35 배영주, "성인의 자기주도학습 과정에 대한 사례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3

      36 정미경(Chung, Mi Kyung), "자기조절학습 구조에 대한 발달적 경향 탐색", 한국영재교육학회, "영재와 영재교육, 2008

      37 진영은, 이진욱, "자기주도학습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 및 과제", 한국교원교육학회, "한국교원교육연구, 2007

      38 이경아, 양명희, "자기조절전략과 학업성취간 종단적 인과관계", 2010

      39 변영계, "중 고교 학생들의 학습기술 훈련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학회, 중·고교 학생들의 학습기술 훈련에 관한 연구, 1993

      40 金洪遠, "자율 학습 능력의 개념 정립 및 신장 방법 탐색", 한국사회과교육연구회, 1996

      41 Long, "Item analysisofGuglielmino'sself-directedlearningreadiness scale", Item analysis of Guglielmino's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scale, 1987

      42 안종민, "중학생의 학습기술 활용과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부산대학교,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9

      43 조대연(Cho, Dae-Yeon), "학습의 자기주도성과 팀내 대인관계기술의 관계",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교육문제연구, 2005

      44 양명희, "자기조절학습 구성변인과 학업 성취와의 관계 연구", 서울대학교교육연구소, "아시아교육연구, 2002

      45 오상철,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이문복, "중·고등학생의 자기 주도 학습능력 향상 방안 연구", 중ㆍ고등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 향상 방안 연구, 2009

      46 Vygotsky, "Mind in society:The developmentofhigherpsychologicalprocesses (Vol.1)", Mind in society: The development of higher psychological processes (Vol.1), 1978

      47 한상훈, "성인학습자의 교육참여동기와 자기주도학습의 관계", 한국평생교육학회, "평생교육학연구, 2003

      48 김은주, "초등학생의 학업수준에 따른 학습기술간의 차이 분석", 부산대학교,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8

      49 Barnard, Sandberg, van Someren, "Thethink aloud method: A practical guide to modelling cognitiveprocesses", The think aloud method: A practical guide to modelling cognitive processes, 1994

      50 김매희, "성인과 청소년의 자기주도 학습특성에 관한 비교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성인과 청소년의 자기주도 학습특성에 관한 비교연구, 1993

      51 배을규 ( Eul Kyoo Bae ) , 이민영 ( Min Young Lee ), "HRD기업 구성원의 자기주도학습능력 측정도구 개발 연구", 한국인력개발학회, 2010

      52 Sink,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performance in middle school children", 1991

      53 정미경, "자기조절학습과 학업성취의 관계에 관한 구조모형 검증",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9

      54 Zimmerman, Martinez- Pon,M., "Construct validation of a strategy model of student self-regulated learning", Construct validation of a strategy model of student self-regulated learning, 1988

      55 김지자 ( Chi Ja Kim Cheong ), 유계옥 ( Kwi Ok Yoo ), "한국 초등학교 여교사의 자기주도학습 성향에 관한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1997

      56 박주연, "고등학생의 자기주도학습과 학업자아개념과의 관계 연구", 관동대학교 대학원, 관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57 박용희, "초등학교 고학년용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진단척도 타당화", 2003

      58 Engestr?m, "Expansive learning at work: Toward an activity theoretical reconceptualization", 2001

      59 배영주 ( Young Ju Bae ), "아동의 자기주도적 학교학습의 가능성과 실현 조건의 탐색", 한국교육과정학회, 아동의 자기주도적 학교학습의 가능성과 실현조건의 탐색, 2006

      60 설양환, 박한숙, "초등학교 중학년용 학습기술 검사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2009

      61 전화춘, "초등학교 학생의 학습기술 활용정도와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1997

      62 홍영표,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들의 자기주도 학습준비도와 관련변인",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들의 자기주도 학습 준비도와 관련변인, 2002

      63 Engestrom, Yrjo@, "Learning by expanding : an activity-theoretical approach to developmental research",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5

      64 박승호, 김은영, "자기조절학습의 구성요소로서 동기조절과 학업성취와의 관계", 한국교육학회, "교육학연구, 2006

      65 Candy, Philip C, "Self-direction for lifelong learning : a comprehensive guide to theory and practice", Jossey-Bass, Self-direction for lifelong learning: A comprehensive guide to theory and practice, 1991

      66 정문성, "고등학교 사회과 수업 환경이 자기 주도 학습력에 미치는 영향", 2011

      67 홍기칠, "구성주의적 자기주도학습을 위한 학습력 분석과 학습모형 개발", 한국교육심리학회, "교육심리학연구, 2004

      68 박현정, "자기주도적 학습태도 및 학습전략의 사용과 학업성취간의 관계",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육, 2005

      69 Pintrich,P.R., "Motivational and self-regulated learning components of classroom academic performance", Motivational and self regulated learning components of classroom academic performance, 1990

      70 이윤정, "문화역사적 활동이론을 통한 장애학생 과학교육 실천 사례 분석", 대구대학교, 대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71 Tough,A., "The adult's learning project: A fresh approach to theory andpractice in adult learning", The adult's learning project: A fresh approach to theory and practice in adult learning, 1979

      72 김은영, "초·중·고등학생의 자기결정동기와 자기조절학습간의 관계 연구", 초·중·고등학생의 자기결정동기와 자기조절학습간의 관계 연구, 2007

      73 정지웅, 김지자, "사회교육에 있어서의 자기주도학습이론과 한국교육개선에의 시사", 한국교육학회, "교육학연구, 1992

      74 김지자, 김인아, 안현미, "아동이 지각한 부모 양육태도와 아동의 자기주도 학습력과의 관계", 서울교육대학교, "한국초등교육, 2000

      75 최병연, 유경훈(Kyoung Hoon Lew), "초등학생의 자기결정성 동기자기조절학습,학업성취 간의 구조분석", 교육문화연구회, "초등학생의 자기결정성동기, 2010

      76 황성진, "초등학생의 자기주도적 가정학습능력 향상에 관한 반성적 실천연구", 2004

      77 Naglieri, Warick, "Gender differences in planning, attention, simultaneous, and successive cognitive processes", "Gender differences in planning, 1993

      78 Williams, "Use and exchange value in mathematics education: ContemporaryCHAT meets Bourdieu's sociology", Use and exchange value in mathematics education: Contemporary CHAT meets Bourdieu's sociology, 2012

      79 설진성, "활동 이론(Activity Theory)에 근거한 초등교사의 구성주의 교육 실천 분석", 경희대학교 대학원,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80 홍기칠, 김세찬 , "웹기반 문제중심학습이 자기주도적 학습력과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 ", 대구교육대학교, 2004

      81 강흥석, "초·중·고등학생의 성별 및 인지양식 유형에 따른 자기주도 학습특성 분석",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초ㆍ중ㆍ고등학생의 성별 및 인지양식 유형에 따른 자기주도 학습특성 분석, 1998

      82 Spear, Mocker, "Lifelong Learning: Formal, nonformal, informal, and self-directed.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Lifelong Learning: Formal, 1982

      83 조태순, "수업참여기술향상 프로그램이 학습습관 및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84 Brookfield, "Self-directed learning: From theory to practice, new directions for continuing education. 25, San Francisco", "Self-directed learning: From theory to practice, 1985

      85 박한숙, "시험치기 전략 훈련이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한국열린교육학회, "열린교육연구, 2004

      86 노태희, 김보경, 강석진, "초등학교 교사의 자기주도 학습력과 과학교수 효능감 및 기타 배경 변인들의 관계",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초등학교 교사의 자기주도 학습력과 과학 교수 효능감 및 기타 배경 변인들의 관계, 2004

      87 조성현, 허승희, "시간관리기술 훈련이 아동의 자기주도적 학습력과 자기효능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2008

      88 Foot, "Cultural-historical activity theory as practicetheory:Illuminating thedevelopmentofa conflict-monitoringnetwork", Cultural-historical activity theory as practice theory: Illuminating the development of a conflict-monitoring network, 2001

      89 Sawchuk, "Informallearning as a speech-exchangesystem: implications for knowledge production, power andsocialtransformation", "Informal learning as a speech-exchange system: implications for knowledge production, 2003

      90 권인탁, "문화역사적 활동이론(cultural historical activity theory)을 활용한 평생학습도시의 발전 전략", 2008

      91 Guba, E. G., "Effective evaluation: Improving the usefulness of evaluation results through responsive and naturalistic approaches", Effective evaluation: Improving the usefulness of evaluation results through responsive and naturalistic approaches, 1981

      92 Pons, Zimmermman, "Student differences in self-regulated learning : Relating grade, sex, and giftedness to self-efficacy and strategy use", "Student differences in self-regulated learning: Relating grade, 1990

      93 박명자, "방송대학 원격교육학습자의 배경변인과 참여동기가 자기주도학습 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방송대학 원격교육 학습자의 배경변인과 참여동기가 자기주도학습 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1998

      94 정진수, 이응주, "문화-역사적 활동 이론(CHAT: Cultural-Historical Activity Theory)에 기초한 생명과학 수업 활동 분석", 韓國生物敎育學會, 2013

      95 조동관, 박한숙, "초등 자기관리 기술 훈련이 초등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태도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2009

      96 박한숙, "학습기술 훈련이 초등학교 중학년 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2009

      97 권희주, "가상대학의 수업에서 학습자의 학습양식 및 자기주도적 학습태도와 학업성취도의 관계 분석",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1

      98 심미자, "고등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과 선수학습수준에 따른 학업성취도 및 학습선호도에 관한 연구", 大邱가톨릭大學校 大學院, 고등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과 선수학습 수준에 따른 학업성취도 및 학습선호도에 관한 연구, 2000

      99 Lord, Sawchuk, "The learning lives of front-linemanagementand workers:Seeing alignments and differencesfrom a cultural-historicalperspective", The learning lives of front-line management and workers: Seeing alignments and differences from a cultural-historical perspective, 2006

      100 주희진, "초등학생의 자기결정성 동기,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학업성취의 인과관계", "초등학생의 자기결정성 동기, 2011

      101 김정현, "학습기술 훈련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아동의 자기 주도적 학습태도와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102 소연희 ( Yeon Hee So ), "학습자가 지각한 교사의 수업활동, 자기주도학습, 학습몰입 및 학업성취의 구조적인 관계분석", 한국아동교육학회, "학습자가 지각한 교사의 수업활동, 2011

      103 장유경, "생애능력 측정 도구개발 연구 :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중심으로", "생애능력 측정도구 개발연구: 의사소통능력, 2003

      104 서미해, "가상교육환경에서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력, 성격유형 및 성별에 따른 학업성취도, 학습참여도", 동아대학교 대학원,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105 최원영, "목적지향 동기에 따라 인지적 모니터링 전략이 아동의 자기주도학습과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1999

      106 장인실 ( In Sil Chang ), 이성규 ( Sung Kyu Lee ), "자기조절 학습프로그램이 수학 학습부진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2009

      107 신희경, "성적우수집단의 시험불안 수준과 자기주도적 학습태도에 관한 연구: 중학교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한국교육개발원, 2006

      108 정소영, "수학성취 수준별 집단의 성취도와 학습전략 사용 및 변화에 대한 자기조절학습 훈련 프로그램의 효과", 수학성취 수준별 집단의 성취도와 학습전략 사용 및 변화에 대한 자기조절학습 훈련프로그램의 효과, 2005

      109 유은주, 최영숙, 최성열, "청소년이 지각한 학급풍토, 가정의 도전과 지원, 학습동기,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학습몰입간의 관계", "청소년이 지각한 학급풍토, 2010

      110 Thorne, Lantolf, "Activity Theory Chapter 8. In J. P. Lantolf, & S. L. Thorne (Eds.), Sociocultural theory and the genesis of second language development (pp.209-232)", "Activity Theory Chapter 8. In J. P. Lantolf, 2006

      111 Zimmerman, "Attaining self-regulation: A social cognitive perspective. In M, Boekaerts, P. R. Pintrich. & M. Zeidner(Eds.), Handbook of self-regulation(pp. 13-39)", "Attaining self-regulation: A social cognitive perspective, 2000

      112 Engestr?m, "Activity theory and individual and social transformation. In Y. Engestr?m, R. Miettinem & R. L. Punamaki (Eds.), Perspective on activity theory (pp.19-38)", "Activity theory and individual and social transformation. In Y. Engestr?m, 1999

      113 Harter, "The determinants and mediational role of global self-worth in children. In N. Eisenberg (Ed.), Contemporary topics in developmental psychology (pp.219-242)", "The determinants and mediational role of global self-worth in children. In N. Eisenberg (Ed.), 1987

      114 Lord, "Managing contradictionsfrom themiddle:A culturalhistorical activity theory investigation of front-linesupervisors'learning lives.Unpublished doctoraldissertation", Managing contradictions from the middle: A cultural historical activity theory investigation of front-line supervisors' learning liv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2009

      115 Engestr?m, "Innovative learning in work teams: Analyzing cycles of knowledge creation in practice. In Y. Engestr?m, R. Miettinem & R. L. Punamaki (Eds.), Perspectives on activity theory", "Innovative learning in work teams: Analyzing cycles of knowledge creation in practice. In Y. Engestr?m, 1999

      116 Tolman, "Society versus context in individual development: Does theory make a difference? In Y. Engestr?m, R. Miettinem & R. L. Punamaki (Eds.), Perspectives on activity theory (pp.70-86). Cambridge, U. K", "Society versus context in individual development: Does theory make a difference? In Y. Engestr?m, 1999

      117 Byrnes, Paris, "Constructing theories, identities, and actions of self-regulated learners. In B. J. Zimmerman, & D. H. Schunk (Eds.).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Theoretical perspectives (pp.253-287)", "Constructing theories, 2001

      118 Axel, "One developmental line in European activity theories. In M. Cole, Y. Engestr?m & O. Vasquez (Eds.), Mind, culture, and activity: Seminal papers from the laboratory of comparative human cognition (pp.128-146)", "One developmental line in European activity theories. In M. Cole, 1997

      119 Sawchuk, "Activity and power: Everyday life and development of working-class groups. In P. H. Sawchuk, N. Duarte & M. Elhammoumi (Eds.), Critical perspectives on activity: Explorations across education, work, and everyday life (pp. 238-267)", "Activity and power: Everyday life and development of working-class groups. In P. H. Sawchuk, 2006

      120 Minick, "The early history of the Vygotskian school: The relationship between mind and activity. In M. Cole, Y. Engestr?m & O. Vasquez (Eds.), Mind, culture, and activity: Seminal papers from the laboratory of comparative human cognition (pp.117-127)", "The early history of the Vygotskian school: The relationship between mind and activity. In M. Cole, 1997

      121 Engestr?m, "From individual action to collective activity and back: Developmental work research as an interventionist methodology. In P. Luff, J. Hindmarsh & C. Heath (Eds.) Workplace studies: Recovering work practice and informing system design (pp. 150-166)", "From individual action to collective activity and back: Developmental work research as an interventionist methodology. In P. Luff, 200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