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직장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어린이집 탄력적 근로시간제에 대한 인식과 요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42790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level of professional roles and the level of qualitative childcare in daycare centers by improving the working environment of daycare centers by examining in-depth perceptions and demands of daycare centers' flexible working hours. For this purpos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3 months with a total of 8 research participants working at the workplace daycare center. The summary of the research findings revealed in the in-depth interview is as follows.

      First, childcare teachers' perceptions of flexible working hours were divided into 'positive aspects from economic leeway' and difficulties. Teachers were concerned that young children repeatedly experienced meeting and parting due to frequent teacher change, resulting in emotional insecurity, and concerns about communication confusion due to the different placement of teachers in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In addition, overtime work was performed every day, at least 2 or 3 times a week, so physical and mental fatigue was accumulated, and he experienced anxiety due to the daily changing commuting time. Working hours were calculated only as childcare in the classroom, so there was not enough time to perform tasks other than childcare, and overtime and weekend work became frequent, which lowered the quality of childcare.

      Second, the demands of daycare center teachers for a flexible working hour system were found to be 'the need to provid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ystem, a realistic teacher support system, and improvement of the working conditions of teachers for quality childcare'. Before joining the company, they requested that they be informed in advance about the type of work they will be working in and the approximate length of overtime work. Because this is rights as a worker and choice about my life.
      In addition, they expressed their dissatisfaction with the assistant teacher support system. Teachers demanded a detailed support strategy is needed to suit the current situation of daycare centers in the workplace, and a practical plan to reduce the weight of teachers' work through awareness and improvement of extended teachers.
      Lastly, they demanded that work-life balance through regular commuting hours, securing time for work other than childcare, and reducing working hours to 40 hours a week.

      The results of this study looked at the working patterns of childcare teachers at workplace daycare centers from a systematic perspective and included teachers' voices for improvement measures, so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able to provide basic data related to improving the working conditions of teachers for qualitativ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level of professional roles and the level of qualitative childcare in daycare centers by improving the working environment of daycare centers by examining in-depth perceptions and demands of daycare cent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level of professional roles and the level of qualitative childcare in daycare centers by improving the working environment of daycare centers by examining in-depth perceptions and demands of daycare centers' flexible working hours. For this purpos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3 months with a total of 8 research participants working at the workplace daycare center. The summary of the research findings revealed in the in-depth interview is as follows.

      First, childcare teachers' perceptions of flexible working hours were divided into 'positive aspects from economic leeway' and difficulties. Teachers were concerned that young children repeatedly experienced meeting and parting due to frequent teacher change, resulting in emotional insecurity, and concerns about communication confusion due to the different placement of teachers in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In addition, overtime work was performed every day, at least 2 or 3 times a week, so physical and mental fatigue was accumulated, and he experienced anxiety due to the daily changing commuting time. Working hours were calculated only as childcare in the classroom, so there was not enough time to perform tasks other than childcare, and overtime and weekend work became frequent, which lowered the quality of childcare.

      Second, the demands of daycare center teachers for a flexible working hour system were found to be 'the need to provid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ystem, a realistic teacher support system, and improvement of the working conditions of teachers for quality childcare'. Before joining the company, they requested that they be informed in advance about the type of work they will be working in and the approximate length of overtime work. Because this is rights as a worker and choice about my life.
      In addition, they expressed their dissatisfaction with the assistant teacher support system. Teachers demanded a detailed support strategy is needed to suit the current situation of daycare centers in the workplace, and a practical plan to reduce the weight of teachers' work through awareness and improvement of extended teachers.
      Lastly, they demanded that work-life balance through regular commuting hours, securing time for work other than childcare, and reducing working hours to 40 hours a week.

      The results of this study looked at the working patterns of childcare teachers at workplace daycare centers from a systematic perspective and included teachers' voices for improvement measures, so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able to provide basic data related to improving the working conditions of teachers for qualitativ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직장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어린이집 탄력적 근로시간제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심층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직장어린이집 보육교사의 근무 환경 개선을 통한 전문적 역할 수준의 향상, 어린이집의 질적 보육 수준 향상을 도모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직장어린이집 현장에서 근무하고 있는 총 8명의 연구 참여자를 대상으로 3개월간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심층 면담에서 드러난 연구 결과를 요약한 내용은 아래와 같다.

      첫째, 탄력적 근로시간제에 대한 직장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인식은 일상적, 경제적 여유에서 오는 긍정적 측면과 어려움 측면으로 구분되었다. 교사가 경험한 어려움은 교사의 잦은 교체로 영유아가 만남-헤어짐을 반복적으로 경험하게 되어 정서적 불안감이 나타났고, 학부모와의 관계에서도 등·하원 교사가 다르게 배치되면서 소통상의 혼란이 초래되는 것을 우려했다.
      또한 많게는 매일 적게는 주 2, 3회 연장근로가 이루어지고 있어 신체·정신적 피로가 누적되었고, 매일 달라지는 출퇴근 시간으로 인한 불안함을 경험했다. 근무 시간은 온전히 교실 내 보육 시간으로만 산정되어 보육외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시간이 부족했고 야근과 주말 근무가 빈번해져 질적 보육 수준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둘째, 탄력적 근로시간제에 대한 직장어린이집 교사들의 요구는 ‘제도와 관련된 정보 제공의 필요, 현실적인 교사 지원 제도, 질적 보육을 위한 교사의 근무 여건 개선’으로 나타났다. 입사하기 전 근무하게 될 형태와 대략적인 연장 근로 시간에 대한 사전 안내가 필요하다고 요구했다. 이것은 근로자로서의 권리이자 내 삶에 대한 선택권이기 때문이었다. 또한 현재 시행되고 있는 연장형 담임교사 지원제도에 대한 아쉬움을 표현했는데 직장어린이집 실정에 맞는 세밀한 지원 정책이 필요하고, 연장형 담임교사에 대한 인식 개선을 통해 실제적으로 교사의 업무 가중도를 낮출 수 있는 방안이 실천되어야 한다고 요구하였다. 마지막으로 규칙적인 출퇴근 시간을 통한 일과 삶의 균형, 보육외업무를 할 수 있는 시간의 확보, 근무 시간 단축을 통한 주 40시간 근무를 위해 효율적으로 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 개선 방안을 요구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직장어린이집 보육교사의 근무 형태를 제도적 측면에서 살펴보고 개선 방안에 대한 교사의 목소리를 담아냈기에, 이후 질적 보육을 위한 교사의 근무 여건 개선과 관련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직장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어린이집 탄력적 근로시간제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심층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직장어린이집 보육교사의 근무 환경 개선을 통한 전문적 역할 수준의 향...

      본 연구는 직장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어린이집 탄력적 근로시간제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심층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직장어린이집 보육교사의 근무 환경 개선을 통한 전문적 역할 수준의 향상, 어린이집의 질적 보육 수준 향상을 도모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직장어린이집 현장에서 근무하고 있는 총 8명의 연구 참여자를 대상으로 3개월간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심층 면담에서 드러난 연구 결과를 요약한 내용은 아래와 같다.

      첫째, 탄력적 근로시간제에 대한 직장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인식은 일상적, 경제적 여유에서 오는 긍정적 측면과 어려움 측면으로 구분되었다. 교사가 경험한 어려움은 교사의 잦은 교체로 영유아가 만남-헤어짐을 반복적으로 경험하게 되어 정서적 불안감이 나타났고, 학부모와의 관계에서도 등·하원 교사가 다르게 배치되면서 소통상의 혼란이 초래되는 것을 우려했다.
      또한 많게는 매일 적게는 주 2, 3회 연장근로가 이루어지고 있어 신체·정신적 피로가 누적되었고, 매일 달라지는 출퇴근 시간으로 인한 불안함을 경험했다. 근무 시간은 온전히 교실 내 보육 시간으로만 산정되어 보육외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시간이 부족했고 야근과 주말 근무가 빈번해져 질적 보육 수준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둘째, 탄력적 근로시간제에 대한 직장어린이집 교사들의 요구는 ‘제도와 관련된 정보 제공의 필요, 현실적인 교사 지원 제도, 질적 보육을 위한 교사의 근무 여건 개선’으로 나타났다. 입사하기 전 근무하게 될 형태와 대략적인 연장 근로 시간에 대한 사전 안내가 필요하다고 요구했다. 이것은 근로자로서의 권리이자 내 삶에 대한 선택권이기 때문이었다. 또한 현재 시행되고 있는 연장형 담임교사 지원제도에 대한 아쉬움을 표현했는데 직장어린이집 실정에 맞는 세밀한 지원 정책이 필요하고, 연장형 담임교사에 대한 인식 개선을 통해 실제적으로 교사의 업무 가중도를 낮출 수 있는 방안이 실천되어야 한다고 요구하였다. 마지막으로 규칙적인 출퇴근 시간을 통한 일과 삶의 균형, 보육외업무를 할 수 있는 시간의 확보, 근무 시간 단축을 통한 주 40시간 근무를 위해 효율적으로 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 개선 방안을 요구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직장어린이집 보육교사의 근무 형태를 제도적 측면에서 살펴보고 개선 방안에 대한 교사의 목소리를 담아냈기에, 이후 질적 보육을 위한 교사의 근무 여건 개선과 관련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B. 연구 문제 8
      • C. 용어의 정의 9
      • 1. 직장어린이집 9
      • Ⅰ. 서론 1
      •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B. 연구 문제 8
      • C. 용어의 정의 9
      • 1. 직장어린이집 9
      • 2. 탄력적 근로시간제 9
      • Ⅱ. 이론적 배경 10
      • A. 직장어린이집 10
      • 1. 직장어린이집의 개념과 설립 배경 10
      • 2. 직장어린이집의 운영 현황 14
      • 3. 직장어린이집과 질적 보육 17
      • B. 직장어린이집 교사의 근무제도 22
      • 1. 직장어린이집 교사의 복무 기준과 근무 환경 22
      • 2. 탄력적 근로시간제의 개념과 논의점 27
      • C. 선행연구 31
      • Ⅲ. 연구방법 39
      • A. 연구자 39
      • B. 연구 참여자 40
      • C. 연구 절차 46
      • D. 자료 수집 47
      • E. 자료 분석 53
      • F. 연구의 윤리성 57
      • Ⅳ. 연구결과 및 해석 58
      • A. 탄력적 근로시간제에 대한 직장어린이집 교사의 인식 58
      • 1. 탄력적 근로시간제에 관한 긍정적 인식 58
      • 1) 조기 퇴근과 늦은 출근, 일상의 여유 58
      • 2) 시간외수당, 경제적 여유 60
      • 2. 탄력적 근로시간제에 관한 어려움 61
      • 1) 잦은 교사 교체, 영유아 및 학부모의 불안감 61
      • 2) 보육외업무시간 부족으로 인한 보육의 질 저하 68
      • 3) 현실이 반영되지 않은 교사지원제도 71
      • 4) 당직 배치의 어려움 73
      • 5) 매일 달라지는 출퇴근으로 인한 불규칙한 일상 75
      • B. 탄력적 근로시간제에 대한 직장어린이집 교사의 요구 83
      • 1. 제도 관련 정보 제공 83
      • 1) 탄력적 근로시간제에 대한 명확한 안내 83
      • 2) 입사 전 근무 시간에 대한 정보 제공 84
      • 2. 현실적인 교사 지원 제도 86
      • 1) 연장 근무의 최소화 86
      • 2) 직장어린이집 특수성에 맞는 인력 지원 89
      • 3) 연장형 담임교사의 인식 및 처우개선 90
      • 3. 질적 보육을 위한 요구 93
      • 1) 보육외업무의 간소화 94
      • 2) 예측 가능한 패턴화된 근무 시간 95
      • Ⅴ. 논의 및 결론 96
      • A. 요악 96
      • B. 논의 및 결론 101
      • C. 제언 105
      • 참고문헌 106
      • 국문초록 114
      • Abstract 11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