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어 부정화행의 개념 정립 연구 = A Study on Establishing the Concept of Korean Negative Speech Ac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9318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concept of Korean negativity. I will explain the process of deriving the concept of negation. In Korea, many studies mention negativity when studying other harmonic behaviors, However, the research focusing on negation behavior remains insufficient. This study presents the concept of negativity in what it is and what it looks like. First, previous studies on domestic and international negation behavior are explained and analyzed; then,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Korean negation behavior is analyzed by discussing the achievements and shortcomings of the research on negation behavior. The process of deriving the concept of negativity in this study includes examining negativity-grammatical, negativity-practical, and negativity-negative behaviors, Among them, grammar negativity is the most important. Their relationships are also discussed. After organizing the contents described above, the concept of a line of negation is presented.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concept of Korean negativity. I will explain the process of deriving the concept of negation. In Korea, many studies mention negativity when studying other harmonic behaviors, However, the research focusing on negation b...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concept of Korean negativity. I will explain the process of deriving the concept of negation. In Korea, many studies mention negativity when studying other harmonic behaviors, However, the research focusing on negation behavior remains insufficient. This study presents the concept of negativity in what it is and what it looks like. First, previous studies on domestic and international negation behavior are explained and analyzed; then,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Korean negation behavior is analyzed by discussing the achievements and shortcomings of the research on negation behavior. The process of deriving the concept of negativity in this study includes examining negativity-grammatical, negativity-practical, and negativity-negative behaviors, Among them, grammar negativity is the most important. Their relationships are also discussed. After organizing the contents described above, the concept of a line of negation is present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에서의 부정화행의 개념을 밝히는 데에 목적이 있다. 한국에서는 다른화행을 연구할 때 부정화행을 함께 논의한 연구는 많으나 부정화행을 중심으로 논의한 연구는 여전히 매우 부족하다. 이에 본고는 부정화행의 개념은 무엇인지, 그 특징과 성격은어떠한지 밝히는 데에 목적을 둔다.
      본 연구는 국내외 부정화행에 관한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부정화행에 관한 연구의 성과와 부족한 점을 논의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에서의 부정화행의 이론적 배경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부정화행 개념의 도출과정은 사전적 부정, 문법적 부정, 화용적 부정, 부정화행으로 이루어지며, 그중에 문법적 부정으로부터 부정화행까지의 과정을 중점적으로 논의하였다. 이에, 부정과 부정화행, 부정문과 부정화행의 차이점을 밝혀 이를 통하여 부정화행의 개념을 정립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한국에서의 부정화행의 개념을 밝히는 데에 목적이 있다. 한국에서는 다른화행을 연구할 때 부정화행을 함께 논의한 연구는 많으나 부정화행을 중심으로 논의한 연구는 여전히 ...

      본 연구는 한국에서의 부정화행의 개념을 밝히는 데에 목적이 있다. 한국에서는 다른화행을 연구할 때 부정화행을 함께 논의한 연구는 많으나 부정화행을 중심으로 논의한 연구는 여전히 매우 부족하다. 이에 본고는 부정화행의 개념은 무엇인지, 그 특징과 성격은어떠한지 밝히는 데에 목적을 둔다.
      본 연구는 국내외 부정화행에 관한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부정화행에 관한 연구의 성과와 부족한 점을 논의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에서의 부정화행의 이론적 배경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부정화행 개념의 도출과정은 사전적 부정, 문법적 부정, 화용적 부정, 부정화행으로 이루어지며, 그중에 문법적 부정으로부터 부정화행까지의 과정을 중점적으로 논의하였다. 이에, 부정과 부정화행, 부정문과 부정화행의 차이점을 밝혀 이를 통하여 부정화행의 개념을 정립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장경희, "화행의미론" 한국어 의미학회 2 : 41-56, 1998

      2 장석진, "화행의 이론과 실제: ‘동문서답’" 서울대학교 어학연구소 20 (20): 1-18, 1984

      3 장석진, "화용과 문법" 탑출판사 1993

      4 풀리롱, "홍콩 한국어 학습자의 요청과 거절 화행 양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5 이창덕, "현대 국어 부정 의미의 표현 형식과 화용 체계 연구" 국어교육학회(since1969) (55) : 265-288, 2014

      6 조우, "한중 질책화행의 사용 전략에 대한 대조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8

      7 강현화 ; 황미연, "한국어교육을 위한 불평표현 문형연구-불평화행과 인용표현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말연구학회 (24) : 5-31, 2009

      8 장석진, "한국어 화행동사의 분석과 분류" 서울대학교 어학연구소 23 (23): 307-333, 1987

      9 이은희, "한국어 화행교육론: 금지화행을 중심으로" 한국문화사 2014

      10 정초초, "한국어 요청에 대한 거절 화행교육 연구-중국인 중급학습자를 대상으로"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7

      1 장경희, "화행의미론" 한국어 의미학회 2 : 41-56, 1998

      2 장석진, "화행의 이론과 실제: ‘동문서답’" 서울대학교 어학연구소 20 (20): 1-18, 1984

      3 장석진, "화용과 문법" 탑출판사 1993

      4 풀리롱, "홍콩 한국어 학습자의 요청과 거절 화행 양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5 이창덕, "현대 국어 부정 의미의 표현 형식과 화용 체계 연구" 국어교육학회(since1969) (55) : 265-288, 2014

      6 조우, "한중 질책화행의 사용 전략에 대한 대조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8

      7 강현화 ; 황미연, "한국어교육을 위한 불평표현 문형연구-불평화행과 인용표현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말연구학회 (24) : 5-31, 2009

      8 장석진, "한국어 화행동사의 분석과 분류" 서울대학교 어학연구소 23 (23): 307-333, 1987

      9 이은희, "한국어 화행교육론: 금지화행을 중심으로" 한국문화사 2014

      10 정초초, "한국어 요청에 대한 거절 화행교육 연구-중국인 중급학습자를 대상으로"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7

      11 조정민, "한국어 불평에 대한 응답 화행 실현 양상 연구 : 일본어권 한국어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12 최명선, "한국어 불평·응답 화행의 양상과 교육 방안 연구 : 한국인 모어 화자와 일본인, 중국인 학습자의 담화 분석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13 오현정, "한국어 부정표현 연구-의미와 기능을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대학원 2016

      14 김영란, "한국어 금지 표현의 형식과 기능" 祥明大學校 大學院 1998

      15 이명희, "한국어 거절 화행에 대한 연구" 한국문법교육학회 2 : 186-198, 2010

      16 정미진, "한국어 거절 화행 실현 양상과 교수학습 방안 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0

      17 이수연, "한국어 거절 표현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8

      18 김옥춘, "한국어 간접화행 실현 양상에 대한 연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19 鄒俊秀, "한국 TV 드라마 대화에 나타난 요청과 응답 화행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2

      20 정윤정, "한·중 질책화행 대조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0

      21 국립국어연구원, "표준국어대사전" 두산동아 1999

      22 김순자, "진술에 대한 응대: 여성 화자를 중심으로" 한민족문화학회 8 : 241-266, 2001

      23 장경희, "진술에 대한 긍정과 부정" 한국어 의미학회 5 : 311-332, 1999

      24 조묘익,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거절 표현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4

      25 김미령, "전달목적 발화에 대한 후행발화의 화행 연구" 한민족어문학회 (57) : 253-287, 2010

      26 정종수, "응대화행의 간접화행에 관한 연구" 한국현대언어학회 29 (29): 795-808, 2014

      27 정종수, "응대화행 유형 선택에 따른 공손성 차이 연구" 인문학연구소 26 : 99-123, 2016

      28 김석득, "우리말 연구사" 정음문화사 1992

      29 허상희, "우리말 거절 화행 연구 : 텔레비전 드라마 대본을 중심으로" 인제대학교 대학원 2003

      30 연세대학교 언어정보개발연구원, "연세한국어사전" 두산동아 2006

      31 정혜경, "언어행동과 비언어행동" 박이정 1999

      32 임홍빈, "부정의 양상" 인문사회 5 : 115-140, 1973

      33 박형우, "부정문의 유형 분류" 청람어문교육학회 (26) : 375-405, 2003

      34 Talmy Givon, "문법이해론" 汎韓書籍 1981

      35 장경희, "국어의 수용형 대화와 거부형 대화" 텍스트언어학회 6 : 25-44, 1999

      36 鄭在恩, "국어의 간접화행에 관한 몇 가지 연구"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1994

      37 이준희, "국어의 간접 화행에 관한 연구" 漢陽大學校 大學院 1999

      38 임지룡, "국어 의미론" 탑출판사 1992

      39 허상희, "공손법 관점에서 본 거절화행의 실현양상- 가족지위와 직장지위를 중심으로 -" 한민족어문학회 (56) : 45-76, 2010

      40 황종인, "고-물음의 문법" 한글학회 198 : 87-104, 1987

      41 전정미, "거절 화행의 실현 양상" 한말연구학회 (19) : 371-394, 2006

      42 何春燕, "语⽤浮动的类型及使⽤动机" 2002

      43 沈家煊, "语⽤否定考察" 5 : 321-331, 1993

      44 ⽯毓智, "肯定和否定的对称与不对称" 北京语⾔⽂化⼤学出版社 2001

      45 愼元在, "現代國語 否定表現에 關한 硏究" 서울大學校 大學院 1987

      46 孔庆成, "否定的语⽤学研究" 上海外国语⼤学 1994

      47 金美淑, "否定文의 間接話行 硏究" 明知大學校 大學院 1998

      48 邓丽娟, "以普京答记者问为例 分析间接否定⾔语⾏为" 26 (26): 106-108, 2017

      49 曾莉, "⾮规约间接否定的⾔语⾏为的分类" 42 (42): 146-151, 2011

      50 曾莉, "⾮规约间接否定 : 作为语⽤策略的⾔语⾏为" 华中科技⼤学 2009

      51 Василина, В. Н., "Особенности англоязычного речевого актанесогласия, Белорус. гос. ун-т; редкол.: О.И.Уланович. Минск: Изд. центр БГУ"

      52 Jesperson, "The philosophy of grammar" Allen and Unwin 1924

      53 Leeeh, G, "Principles of Pragmatics" Longman 1983

      54 Brown, P., "Politeness : Some universals inlanguage us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7

      55 Horn, "Metalinguistic negation and pragmatic ambiguity" 67 : 121-174, 1985

      56 Austin, J. L., "How to Do Things with Words" Oxford University Press 1962

      57 Searle, J. R., "Expression and Meanin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9

      58 장석진, "Austin: 화행론" 서울대학교 출판부 198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4 0.74 0.6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2 0.6 1.173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