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대학병원 신생아 집중치료실에 종사하는 간호사의 임상경력에 따른 감염관리 수행도와 교육 요구도를 파악하여 신생아 집중치료실 간호사들의 감염관리에 대한 질을 높일 수 있...
본 연구는 대학병원 신생아 집중치료실에 종사하는 간호사의 임상경력에 따른 감염관리 수행도와 교육 요구도를 파악하여 신생아 집중치료실 간호사들의 감염관리에 대한 질을 높일 수 있는 학습자 중심의 차별화된 교육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C 및 D지역에 소재한 5개 대학병원 신생아 집중치료실에 근무 중인 경력 6개월 이상의 간호사 156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한 자기 기입 방식으로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목적에 따라 기술통계, t-test, ANOVA, Scheffe test로 분석하였다. 각 변수 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신생아 집중치료실 간호사 감염관리 수행도는 4점 만점에 평균 3.56±.25점이었으며, 감염관리 교육 요구도는 5점 만점에 평균 4.42±.53점 이었다. 신생아 집중치료실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감염관리 수행도는 연령 (F=38.31, p<.001), 학력(F=12.21, p<.001), 직위(t=11.24, p<.001), 신생아 집중치료실 감염관리 심화교육 필요성(t=2.34, p=.021)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신생아 집중치료실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감염관리 교육 요구도는 연령(F=14.94, p<.001), 학력(F=6.49, p=.002), 직위(t=4.73, p=010), 신생아 집중치료실 감염관리 심화교육 필요성(t=3.60, 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대상자의 신생아 집중치료실 임상경력에 따른 감염관리 수행도는 3년미만 그룹 3.39±.25점, 3년 이상 5년 미만 그룹 3.55±.21점, 5년 이상 7년미만 그룹 3.60±.13점, 7년 이상 그룹 3.82±.11점으로 신생아 집중치료실 임상경력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F=35.72, p<.001). 사후분석 결과 7년 이상 그룹이 다른 세 그룹보다 수행도가 높았으며 3년이상 5년 미만과 5년 이상 7년 미만은 3년 미만보다 높았다. 3년 이상 5년 미만과 5년 이상 7년 미만의 수행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대상자의 신생아 집중치료실 임상경력에 따른 감염관리 교육 요구도는 3년 미만 그룹 4.23±.59점, 3년 이상 5년 미만 그룹 4.37±.51점, 5년 이상 7년 미만 그룹 4.54±.42점, 7년 이상 그룹 4.69±.37점으로 신생아 집중치료실 임상경력에 따라 감염관리 교육 요구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F=6.62, p<.001). 7년 이상의 그룹 교육 요구도가 3년 미만보다 높았다.
신생아 집중치료실 간호사의 감염관리 수행도와 교육 요구도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신생아 집중치료실 간호사의 감염관리 수행도와 교육 요구도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r=.322, p<.0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상경력에 따른 감염관리 수행도와 교육 요구도의 상관관계는 7년 이상의 임상경력 그룹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r=.606, p<.001)를 보였으며 하위영역별 감염관리 수행도와 교육 요구도의 상관관계는 삽입 기구 관련 지침(r=.107, p=.242), 소독과 멸균(r=.067, p=.463)를 제외하고 다른 하위영역들은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신생아 집중치료실 간호사의 임상경력의 증가에 따라 감염관리 수행도와 교육 요구도가 높아졌다. 따라서 근무 부서와 임상경력의 특성을 고려하여 감염관리 수행도를 높일 수 있는 학습자 중심의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며 신생아 집중치료실 경력자가 지속적으로 근무할 수 있는 행정적 제도의 뒷받침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