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百濟式積石塚의 發生 背景과 意味 = A Study on the Stepped Stone-mound Tombs of Packche-typ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60049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서울 석촌동 일대에 남아있는 적석총들은 모두 백제 한성시대 최고지배세력의 고분으로 인정되지만 세부 구조에 있어 고구려식적석총과 백제식적석총으로 나누어진다. 이 가운데 백제식적...

      서울 석촌동 일대에 남아있는 적석총들은 모두 백제 한성시대 최고지배세력의 고분으로 인정되지만 세부 구조에 있어 고구려식적석총과 백제식적석총으로 나누어진다. 이 가운데 백제식적석총은 그 발생 문제에 있어 논란이 분분한데 크게 보아 현지 토착세력의 선행묘제가 고구려 적석총의 요소를 도입하여 변화된 것이라는 견해와 고구려의 적석총이 서울지역에 도입된 뒤 외부만 돌로 축조하고 내부는 현지에서 구하기 힘든 돌 대신 흙을 채운 것이라는 견해로 구분되고 있다. 이 문제는 백제식적석총의 주인공이 현지의 선주민인지 고구려계 이주민인지를 구별해주는 중요한 차이임과 동시에 백제의 건국과정이나 지배구조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관건이 되기 때문에 신중한 판단이 요구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서울 강남지역에서 고구려식적석총의 도입 이전부터 사용되고 있었던 즙석분구묘가 3세기 중엽경 고구려식적석총의 요소를 도입하여 백제식적석총으로 변화하였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논하였다. 또한 잘 알려진 가락동 2호분과 석촌동 3호분 동쪽고분군의 즙석분구묘가 추가장에 의한 다장묘이면서 원래 주구를 가지고 있었을 가능성을 감안하여 서울지역 즙석분구묘들이 범마한권의 분구묘와 비슷한 유형에 속하는 것으로 보았다. 이를 통해 백제식적석총 주인공의 출자 문제를 보다 분명히 함과 동시에 한성백제 건국의 핵심지역인 서울 강남 일대가 원래 마한권에 해당하였던 것임을 논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re are two types of Stepped Stone-mound Tombs in the central area of Packche during the Hanseong period, one is Koguryo-type, the other Packche-type. The Stepped Stone-mound Tombs of Packche-type which is believed to have been transformed from the...

      There are two types of Stepped Stone-mound Tombs in the central area of Packche during the Hanseong period, one is Koguryo-type, the other Packche-type.
      The Stepped Stone-mound Tombs of Packche-type which is believed to have been transformed from the original Stone-covered Mound Tombs being influenced by the style of the Koguryo-type Stepped Stone-mound Tomb appeared during the middle of third century. It means that the immigrant group using the Stepped Stone-mound Tombs slowly gained control over the preexisting group using the original Stone-covered Mound Tombs in Seoul area from the middle of third century.
      The original Stone-covered Mound Tombs in Seoul area have several coffins inside the mound and ditches around the mound. These two elements of several coffins and ditches are equal to the Mound tombs in Chungcheong and Cheolla provinces, the territory of Mahan. It means that Seoul area belonged to the northern part of Mahan before the establishment of Paekch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머리말
      • Ⅱ 百濟式積石塚의 構造
      • Ⅲ 百濟式積石塚의 發生
      • Ⅳ 맺음말
      • 요약
      • Ⅰ 머리말
      • Ⅱ 百濟式積石塚의 構造
      • Ⅲ 百濟式積石塚의 發生
      • Ⅳ 맺음말
      • 참고문헌
      • 영문초록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함평 만가촌 고분군" 전남대박물관 2004

      2 "한성백제의 형성과정과 대외관계" 서경문화사 2000

      3 "한성백제 성립기 제묘제의 편년 검토 선사와 고대" 1994

      4 "천안 용원리 고분군" 공주대박물관 2000

      5 "중부지방 3~4세기 고분군 세부편년" 2001

      6 "전남지역 고분측량 보고서" 2000

      7 "적석총으로 본 백제 건국집단의 남하과정" 19 : 2003

      8 "완주 상운리유적" 호남고고학회 2004

      9 "영산강유역 이형분구고분 소고" 5 : 1997

      10 "연천 학곡리 적석총" 기전문화재연구원 2004

      1 "함평 만가촌 고분군" 전남대박물관 2004

      2 "한성백제의 형성과정과 대외관계" 서경문화사 2000

      3 "한성백제 성립기 제묘제의 편년 검토 선사와 고대" 1994

      4 "천안 용원리 고분군" 공주대박물관 2000

      5 "중부지방 3~4세기 고분군 세부편년" 2001

      6 "전남지역 고분측량 보고서" 2000

      7 "적석총으로 본 백제 건국집단의 남하과정" 19 : 2003

      8 "완주 상운리유적" 호남고고학회 2004

      9 "영산강유역 이형분구고분 소고" 5 : 1997

      10 "연천 학곡리 적석총" 기전문화재연구원 2004

      11 "석촌동일대 적석총계와 토광묘계 묘제의 성격" 1987

      12 "석촌동발굴조사단 석촌동고분군발굴조사보고 행정용보고서" 1987

      13 "석촌동 적석총 발굴조사보고" 서울대학교박물관・동 고고학과 1975

      14 "석촌동 백제초기고분의 성격" 1976

      15 "석촌동 3호분 동쪽고분군 정리조사보고" 1986

      16 "서울지역의 적석총에 대하여" 66 : 2005

      17 "서산 부장리 발굴조사 현장설명회 자료" 2005

      18 "삼국시대 분구묘 연구" 영남대학교출판부 1984

      19 "분구묘ㆍ분구식고분의 신자료와 백제" 한국고고학회 2006

      20 "백제초기 한성시대 토기연구" 4 : 1996

      21 "백제초기 한성시대 고분에 관한 연구" 1993

      22 "백제의 왕실교대론에 대하여 백제연구" 1981

      23 "백제의 영역변천" 2006

      24 "백제 한성시대 고분 연구" 1995

      25 "백제 한성기 저분구분과 석실묘에 대한 일고찰" 3 : 2000

      26 "백제 한성기 묘제의 다양성과 그 의미" 4-1, 2005

      27 "백제 정치사 연구" 1988

      28 "백제 국가의 형성 연구" 1998

      29 "백제 국가성립에 대한 이해 선사와 고대" 12 : 1999

      30 "백제 건국지로서의 한강하류지역" 1976

      31 "동아시아의 주구묘" 호남고고학회 2002

      32 "고조선사・삼한사연구" 1989

      33 "고적조사도보" 1916

      34 "가락동 백제고분 제1호・2호 발굴조사약보" 1973

      35 "百濟 初期古墳의 形成過程" 1980

      36 "4~5세기 백제의 물질문화와 지방지배" 국립공주박물관^충청남도역사문화원 2006

      37 ",「한강유역 1~3세기대 묘제에 대한 일고찰」『동아시아 1~3세기의 주거와 고분』"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 0.7 0.7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2 0.89 1.572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