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에서는 Color detection 을 이용하여 QR 코드를 효율적으로 정찰하는 임무를 연구한다. 우선 효과적인 QR 코드 인식을 위해서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정보를 획득한다. 영상에는 고고도에서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498557
2014
Korean
학술저널
1406-1409(4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Color detection 을 이용하여 QR 코드를 효율적으로 정찰하는 임무를 연구한다. 우선 효과적인 QR 코드 인식을 위해서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정보를 획득한다. 영상에는 고고도에서 ...
본 논문에서는 Color detection 을 이용하여 QR 코드를 효율적으로 정찰하는 임무를 연구한다. 우선 효과적인 QR 코드 인식을 위해서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정보를 획득한다. 영상에는 고고도에서 촬영한 QR 코드와 그 주변 지역에 관련된 정보가 저장된다. 얻어진 영상에 대해 color detection 을 수행하여 QR 코드가 존재 할 수 있는 영역을 선정하고, 선정된 영역에 대한 위치를 계산한다. 또한 각 위치에 존재하는 color 영역의 넓이를 계산해서 이를 기반으로 한 우선순위 선정을 한다. AR.drone 은 계산된 우선순위에 따라 목표와의 거리를 줄이고 주변 지역을 탐색하는 정밀 유도 정찰을 실시한다. 마지막으로, 실험을 통해 관련 이론을 검증하고 개선 사항에 대해서 분석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paper, The mission for efficient reconnaissance of QR code is studied using color detection. First, the image information is obtained using a camera for an effective QR code recognition. The recorded image is stored in the QR code filmed in th...
In this paper, The mission for efficient reconnaissance of QR code is studied using color detection. First, the image information is obtained using a camera for an effective QR code recognition. The recorded image is stored in the QR code filmed in the high altitude a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surrounding area. For the obtained image, color detection is performed to select a region in which a QR code may exist, and then the position of the selected region is calculated. In addition, the selection priority is ranked by calculating it based on the width of the color region present in each position. AR.drone reduces the distance to the target based on the calculated priority order to execute a precise guidance reconnaissance to explore the surrounding areas. Finally, the theory is verified by experiments and the future improvements are to be analyzed.
목차 (Table of Contents)
일반적인 비행체 형상의 개념설계단계 공력해석 프로세스 구현
항공기용 가스터빈 엔진의 고압터빈 노즐 압력면 막냉각 홀 배열 최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