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공동주택 구매의향이 있는 20세이상 남녀를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아파트 구매 관련 주요 구매의향(입지적 여건, 브랜드적 여건, 부대시설적 여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6654484
광주: 광주대학교 대학원, 2023
2023
한국어
658.8342 판사항(23)
광주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Influencing Factors of Purchase Intention Apartments
ix, 126p.: 삽도, 표; 26cm.
광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이명규
참고문헌 수록
I804:24003-20000066011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공동주택 구매의향이 있는 20세이상 남녀를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아파트 구매 관련 주요 구매의향(입지적 여건, 브랜드적 여건, 부대시설적 여건...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공동주택 구매의향이 있는 20세이상 남녀를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아파트 구매 관련 주요 구매의향(입지적 여건, 브랜드적 여건, 부대시설적 여건, 경제적 여건, 단지적 여건, 실내환경 여건)과 주거만족도, 삶의 질 간의 영향관계를 실증분석 하였으며, 주거환경 만족도의 매개 효과의 유의성을 Soble test 테스트를 통해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공동주택 구매의향에 대하여 관념적으로 인식되어 온 주거환경 만족도와 삶의 질 간의 관계를 실증분석을 통해 검증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를 진행함에 있어 다음과 같은 연구의 한계점이 있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광주광역시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나, 이렇게 선택된 대상이 공동주택의 구매의향을 대변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연구의 대상지를 타 지역으로 확대하여 진행할 필요성과 구매의향에 대하여 타 지역과 비교하여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주거환경 만족도라는 매개변수를 선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구매의향과 삶의 질의 매개효과 부분은 통계적으로 추정된다. 향후 구매의향요인과 삶의 질의 항목에서 매개변수를 좀 더 추가하여 연구한다면 좀 더 정교하게 분석할 수 있을 것이라고 사료된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신규 공동주택 구매의향에 대해 20대이상 남녀를 대상으로 구매의향요인과 주거환경 만족도, 삶의 질에 관한 영향관계를 측정하였다. 그러나 표본의 샘플을 좀 더 확보하고 더 구체화하여 분석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향후 실제적으로 공동주택 구매의향 요인 이외의 주거환경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 구체화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