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한반도 지역의 정지궤도 환경위성탑재체(GEMS) 자료 기반 지표이산화질소 혼합비 추정 = Estimation of Surface Nitrogen Dioxide Volume Mixing Ratios over South Korea from GEMS Observatio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68807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Geostationary Environment Monitoring Spectrometer (GEMS)로 측정된 이산화질소 칼럼 농도를 이용하여 다중선형회귀(multiple linear regression)와 extreme gradient boosting (XGBoost) 모델을 통해 2021년 12월부터 2022년 11월까지 1년 동안 대한민국의 지표 이산화질소 혼합비를 추정하였다.
      XGBoost 모델을 통해 추정한 지표 이산화질소 혼합비와 in-situ 측정값 간의 correlation coefficient (R), rootmean squared error (RMSE), mean absolute error (MAE)는 각각 0.86, 5.60 ppb, 3.72 ppb로, 다중선형회귀 모델(R=0.71, RMSE=7.96, MAE=5.62)보다 더 나은 추정 성능을 보였다. 또한, 계절 평균 공간 분포와 상대 오차(relative difference) 분석을 통해 지표 이산화질소 혼합비의 계절적 특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GEMS자료를 기반으로 대한민국의 지표 이산화질소 혼합비를 추정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며, 지역 및 계절특성을 반영한 모델 개선의 필요성과 활용 가능성을 제시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Geostationary Environment Monitoring Spectrometer (GEMS)로 측정된 이산화질소 칼럼 농도를 이용하여 다중선형회귀(multiple linear regression)와 extreme gradient boosting (XGBoost) 모델을 통해 2021년 12월...

      본 연구에서는Geostationary Environment Monitoring Spectrometer (GEMS)로 측정된 이산화질소 칼럼 농도를 이용하여 다중선형회귀(multiple linear regression)와 extreme gradient boosting (XGBoost) 모델을 통해 2021년 12월부터 2022년 11월까지 1년 동안 대한민국의 지표 이산화질소 혼합비를 추정하였다.
      XGBoost 모델을 통해 추정한 지표 이산화질소 혼합비와 in-situ 측정값 간의 correlation coefficient (R), rootmean squared error (RMSE), mean absolute error (MAE)는 각각 0.86, 5.60 ppb, 3.72 ppb로, 다중선형회귀 모델(R=0.71, RMSE=7.96, MAE=5.62)보다 더 나은 추정 성능을 보였다. 또한, 계절 평균 공간 분포와 상대 오차(relative difference) 분석을 통해 지표 이산화질소 혼합비의 계절적 특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GEMS자료를 기반으로 대한민국의 지표 이산화질소 혼합비를 추정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며, 지역 및 계절특성을 반영한 모델 개선의 필요성과 활용 가능성을 제시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we estimate surface nitrogen dioxide (NOY) volume mixing ratio (VMR) over SouthKorea from December 2021 to November 2022 using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d extreme gradient boosting(XGBoost), based on the Geostationary Environment Monitoring Spectrometer (GEMS) observation data.
      The XGBoost model shows good agreement against the multiple linear regression model based on evaluationvia comparisons with the in-situ measurements at AirKorea sites. The correlation coefficient (R), root meansquared error (RMSE), and mean absolute error (MAE) between the surface NOY VMR estimated using theXGBoost model and the in-situ measurements are 0.86, 5.60 ppb, and 3.72 ppb, respectively, compared to0.71, 7.96 ppb, and 5.62 ppb for the multiple linear regression model. Seasonal average spatial distributionsand relative difference analyses also revealed seasonal characteristics of surface NOY VMR. This studydemonstrates the potential of using GEMS observation data to estimate surface NOY VMR over South Koreaand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model improvements that consider regional and seasonal variability.
      번역하기

      In this study, we estimate surface nitrogen dioxide (NOY) volume mixing ratio (VMR) over SouthKorea from December 2021 to November 2022 using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d extreme gradient boosting(XGBoost), based on the Geostationary Environment Mon...

      In this study, we estimate surface nitrogen dioxide (NOY) volume mixing ratio (VMR) over SouthKorea from December 2021 to November 2022 using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d extreme gradient boosting(XGBoost), based on the Geostationary Environment Monitoring Spectrometer (GEMS) observation data.
      The XGBoost model shows good agreement against the multiple linear regression model based on evaluationvia comparisons with the in-situ measurements at AirKorea sites. The correlation coefficient (R), root meansquared error (RMSE), and mean absolute error (MAE) between the surface NOY VMR estimated using theXGBoost model and the in-situ measurements are 0.86, 5.60 ppb, and 3.72 ppb, respectively, compared to0.71, 7.96 ppb, and 5.62 ppb for the multiple linear regression model. Seasonal average spatial distributionsand relative difference analyses also revealed seasonal characteristics of surface NOY VMR. This studydemonstrates the potential of using GEMS observation data to estimate surface NOY VMR over South Koreaand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model improvements that consider regional and seasonal variability.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