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공결유량에 따를 Orifice의 설계계수와 유량계수와의 상관관계에 관한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320864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o find the relation between flow rate and discharge coefficient, water test were performed. Experimental variables were orifice diameter, length/diameter ratio. pressure drop and orifice entrance smoothness.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1. Flow rate varies irregulally for the pressure drop range between 0~3 kgf/㎠ but beyond that point flow rate was increased almost linearly to pressure drop.
      2. The discharge coefficient was 0.6~0.7 for the pressure drop more than 3 kgf/㎠ but the value were irregular for the pressure drop less than 3kgf/㎠.
      3. Discharge coefficient were increased from the range of 0.6~0.7 to the range of 0.88~0.93 when chamfered the □rifi□□ □□treance.
      번역하기

      To find the relation between flow rate and discharge coefficient, water test were performed. Experimental variables were orifice diameter, length/diameter ratio. pressure drop and orifice entrance smoothness.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To find the relation between flow rate and discharge coefficient, water test were performed. Experimental variables were orifice diameter, length/diameter ratio. pressure drop and orifice entrance smoothness.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1. Flow rate varies irregulally for the pressure drop range between 0~3 kgf/㎠ but beyond that point flow rate was increased almost linearly to pressure drop.
      2. The discharge coefficient was 0.6~0.7 for the pressure drop more than 3 kgf/㎠ but the value were irregular for the pressure drop less than 3kgf/㎠.
      3. Discharge coefficient were increased from the range of 0.6~0.7 to the range of 0.88~0.93 when chamfered the □rifi□□ □□treanc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1
      • Nomenclature = 4
      • List of tables, figures and photographes = 7
      • 1. 서론 = 9
      • 1-1. 연구의 목적 = 9
      • 목차 = 1
      • Nomenclature = 4
      • List of tables, figures and photographes = 7
      • 1. 서론 = 9
      • 1-1. 연구의 목적 = 9
      • 1-2. 연구의 범위 = 10
      • 2. 이론적 고찰 = 12
      • 2-1. Bernoulli 방정식 = 12
      • 2-2. Orifice의 설계 이론 = 14
      • 2-2-1. Orifice의 설계 해석 = 14
      • 2-2-2. 유량계수의 區分 = 15
      • 2-2-3. 오리피스의 유동 形態 = 16
      • 2-2-4. 유량계수와 Reynolds수와의 관계 = 19
      • 2-3 Orifice의 설계변수 = 19
      • 3. Orifice의 설계 = 24
      • 3-1 Orifice의 설계 조건 = 24
      • 3-2 Orifice의 설계 = 24
      • 3-2-1. Orifice의 직경 = 24
      • 3-2-2. Orifice의 길이직경비 = 25
      • 3-2-3. Orifice 구멍의 기하학적 형상 = 26
      • 3-2-4. 분사압력 강하 = 26
      • 3-2-5. 분사유체의 온도 및 특성 = 26
      • 4. Orifice의 제작 및 측정 = 30
      • 4-1 Orifice의 제작 = 30
      • 4-2 Orifice의 측정 = 30
      • 5. 실험장치및 방법 = 37
      • 5-1 실험장치 = 37
      • 5-1-1 물 공급장치 = 37
      • 5-1-2 유량측정장치 = 37
      • 5-1-3 Orifice Plate의 설치 = 37
      • 5-1-4 압력측정장치 = 38
      • 5-1-5 Purge 장치 = 38
      • 5-1-6 배관 및 밸브 = 38
      • 5-2 실험 방법 = 39
      • 6. 실험결과 및 고찰 = 43
      • 6-1 압력강하에 대한 Oriflce의 직경과 유량과의 관계 = 43
      • 6-1-1 Orifice의 직경 φ 0.5mm와 유량과의 관계 = 43
      • 6-1-2 Orifice의 직경 φ 1.0mm와 유량과의 관계 = 44
      • 6-1-3 Orifice의 모따기 깊이와 유량과의 관계 = 46
      • 6-2 압력강하에 대한 Orifice의 직경과 유량계수와의 관계 = 47
      • 6-2-1 Orifice의 직경 φ 0.5mm와 유량계수와의 관계 = 47
      • 6-2-2 Orifice의 직경 φ 1.0mm와 유량계수와의 관계 = 48
      • 6-2-3 Orifice의 모따기 깊이와 유량계수와의 관계 = 49
      • 6-3 실험 결과 고찰 = 50
      • 7. 결론 = 58
      • Reference = 59
      • Abstract = 6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