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상박초간 『주역』 汬괘 고찰 = A Study on Jing hexagram in the Shanghai Museum Zhou Yi manuscrip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73035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上海博物館藏戰國楚竹書 『周易』 중 汬괘(제44호간~46호간)의 문자, 음운, 내용에 대하여 분석하고, 사상사적 입장에서 고찰하여 전국시대 당시 汬괘의 괘효사는 본래 어떤 의미...

      이 논문은 上海博物館藏戰國楚竹書 『周易』 중 汬괘(제44호간~46호간)의 문자, 음운, 내용에 대하여 분석하고, 사상사적 입장에서 고찰하여 전국시대 당시 汬괘의 괘효사는 본래 어떤 의미였는가를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박본 汬괘에는 선진시기 『주역』의 특징을 보여주는 몇몇 용례들이 있는데, 이를 통해 선진시기 『주역』의 양상을 명확하게 밝히고자 한다.
      지금까지 『주역』에 관하여 여러 방면에서 수많은 연구가 행해졌지만, 21세기에 들어서면서 새로운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그 이유는 최근 중국에서 계속 발견되고 있는 출토문헌 때문인데 2015년 현재 『주역』 텍스트만도 3종류가 발견되었으며, 넓은 의미의 ‘易’과 관련되는 자료까지 포함하면 대단히 많은 양이 발견되었다. 그 중 상박초간 『주역』은 전국시대 『주역』의 양상을 살펴볼 수 있는 최적의 자료다.
      상박초간 『주역』 汬괘는 통행본의 井괘에 대응하는 괘로 제44호간~제46호간의 3매의 죽간으로 이루어져 있다. 우선 괘명인 汬에 대하여 살펴보면 ‘汬’이 『설문해자』에 보이는 ‘阱’의 古文과 자형이 일치하기 때문에 ‘함정’으로 보아야 한다는 설도 있다. 그렇지만 「彖傳」, 『經典釋文』도 우물로 해석하고 있다. 효사의 내용들 역시 ‘우물’로 해석해야 좋다. ‘汬’의 字形이 ‘井’ 아래 ‘水’가 있는 형태인 것은 오히려 우물임을 방증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괘사의 ‘无喪无得’은 우물의 항상성(常), 불변성(不變)을 의미하는 구절이나, 상박본의 경우는 그 항상성, 불변성을 일상생활적 관점에서 파악해야지, 유가, 도가의 常德이나 恒德의 의미, 즉 철학적 함의를 지닌 표현으로 이해해서는 안 된다. 기존의 주석들은 철학적 함의를 지닌 常德을 강조함으로써 전국시대의 『주역』의 본래의 의미가 변색되었다.
      상박본에는 ‘汬朻(井收)’라는 말이 九三과 上六에 거듭 보이는데, 이는 왕필 등이 행해온 효의 위치에 따라 효사를 해설하는 방법론이 전국시대의 『주역』을 해석하기에는 적당하지 않음을 보여주는 증거다. 즉 왕필은 ‘井收’가 상륙효 즉 최상층에 위치한 효의 효사이기 때문에 물을 이미 끌어올렸다는 것을 의미하고 이것은 일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진 것을 상징하며 그래서 크게 길하다는 占斷이 내려졌다고 한다. 그렇지만 상박본에는 “井收”가 상륙효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구삼효에도 있는데, 구삼효의 효사는 왕필의 방법으로는 설명할 수 없게 된다.
      이상으로 전국시대 『주역』인 상박본은 아직 유교의 경전이 되기 전의 『주역』의 모습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그 해석도 철학적인 방향이 아닌 점서로서의 모습에 치중하여 행해져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characters, phonemes, and contents of Jing 汬 hexagram (strips 44~46) in the Shanghai Museum Zhou Yi manuscript and to further explore, from a perspective of philosophical history, the original meaning of the h...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characters, phonemes, and contents of Jing 汬 hexagram (strips 44~46) in the Shanghai Museum Zhou Yi manuscript and to further explore, from a perspective of philosophical history, the original meaning of the hexagram and line statements of Jing hexagram in the Warring States period. In the Shanghai Museum Zhou Yi’s Jing hexagram, there are several examples that highlight the characteristics of the Zhou Yi of pre-Qin period. This paper seeks to shed light on the true nature of the pre-Qin Zhou Yi by analyzing such characteristics. Jing hexagram 汬 of the Shanghai Museum Zhou Yi manuscript, corresponding with Jing 井 hexagram of the received text, consists of three strips, strips 44~46. If we first examine the name of the Jing hexagram 汬, there is an interpretation that posits the character jing 汬 should be understood as a “trap” since its shape accords with that of the ancient form (gu wen 古文) of the character 阱 which appears in the Shuo wen jie zi 說文解字.
      However, both Tuan zhuan 彖傳 and Jing dian shi wen 經典釋文 interpret it as a “well”, and the “well” interpretation works better for understanding the contents of the line statements. The shape of the character jing 汬 is composed of shui 水 under jing 井 and this corroborates the meaning of a well.
      “Wu sang wu de 无喪无得” in the hexagram refers to a phrase reflecting consistency(chang 常) and invariance (bu bian, 不變) of a well. However, in the case of the Shanghai Museum Zhou Yi, the meaning of consistency and invariance should be understood from a daily-life perspective,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from a philosophical perspective such as chang de 常德 or hang de 恒德. The original meaning of the Zhou Yi in the Warring States period was distorted by traditional commentaries which overly emphasized the philosophical implications of chang de 常德.
      The phrase “jing shou 汬朻(井收)” is repeatedly shown in the jiu san 九三 and shang liu 上六 of the Shanghai Museum Zhou Yi, and this proves that Wang Bi 王弼 et al.’s interpretation of line statements in accordance with their respective position is not appropriate to interpret the Zhou Yi of the Warring States period. To be specific, Wang Bi comments that, because “jing shou 汬朻(井收)” is located in the top level (shang liu) of the line statements, water is already pulled up to the top, and this symbolizes great success, leading to the designation of grand accomplishment. However, “jing shou” is also appeared in the jiu san and its line statement cannot be properly explained by the Wang Bi’s interpretation.
      The above demonstrates that Shanghai Museum Zhou Yi, the Zhou Yi of the Warring States period, still retains the features of the Zhou Yi before it became a Confucian canon. Therefore, it should be interpreted as an aspect of a divination book, not from a philosophical perspectiv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朱駿聲, "六十四卦經解" 國家圖書館出版社 2008

      2 정병석, "주역 하권" 을유문화사 2011

      3 정병석, "주역 상권" 을유문화사 2010

      4 원용준, "상해박초간 『주역』의 亡(无)忘(妄)卦 고찰" 한국한문고전학회 23 (23): 177-207, 2011

      5 張政烺, "馬王堆帛書周易經傳校讀" 中華書局 2008

      6 韓自强, "阜陽漢簡周易硏究" 上海古籍出版社 2004

      7 容庚, "金文編" 中華書局 1985

      8 屈萬里, "讀易三種" 聯經出版事業公司 1984

      9 許愼, "說文解字" 中華書局 1963

      10 張政烺, "試釋周初靑銅器銘文中的易卦" (4) : 1980

      1 朱駿聲, "六十四卦經解" 國家圖書館出版社 2008

      2 정병석, "주역 하권" 을유문화사 2011

      3 정병석, "주역 상권" 을유문화사 2010

      4 원용준, "상해박초간 『주역』의 亡(无)忘(妄)卦 고찰" 한국한문고전학회 23 (23): 177-207, 2011

      5 張政烺, "馬王堆帛書周易經傳校讀" 中華書局 2008

      6 韓自强, "阜陽漢簡周易硏究" 上海古籍出版社 2004

      7 容庚, "金文編" 中華書局 1985

      8 屈萬里, "讀易三種" 聯經出版事業公司 1984

      9 許愼, "說文解字" 中華書局 1963

      10 張政烺, "試釋周初靑銅器銘文中的易卦" (4) : 1980

      11 夏含夷, "試論上博《周易》的卦序" 上海古籍出版社 2006

      12 王夫之, "船山易學" 廣文書局 1974

      13 王引之, "經義述聞" 江蘇古籍出版社 2000

      14 陸德明, "經典釋文 총18책" 中華書局 1985

      15 "簡帛硏究網"

      16 楊澤生, "竹書《周易》箚記(四則)" 簡帛硏究網 2004

      17 王弼, "王弼集校釋 上/下" 中華書局 1980

      18 夏含夷, "武漢大學簡帛硏究中心 主辦 簡帛 第4輯" 上海古籍出版社 390-, 2009

      19 廖名春, "楚簡≪周易≫校釋記(二)" (5) : 2004

      20 丁四新, "楚竹書與漢帛書周易校注" 上海古籍出版社 2011

      21 濮茅左, "楚竹書《周易》硏究―兼述先秦兩漢出土與傳世易學文獻資料" 上海古籍出版社 2006

      22 陳偉, "楚竹書《周易》文字試釋" 簡帛硏究網 2004

      23 李尙信, "楚竹書《周易》中的特殊符號與卦序問題" (3) : 2004

      24 王弼, "李學勤주편 十三經注疏(標點本)" 北京大學出版社 1999

      25 高田眞治, "易經 上/下" 岩波文庫 1969

      26 本田濟, "易" 朝日新聞社 1966

      27 陳仁仁, "戰國楚竹書《周易》硏究" 武漢大學出版社 2010

      28 松丸道雄, "岩波講座 世界歷史4" 岩波書店 1970

      29 李道平, "周易集解纂疏" 中華書局 1994

      30 李鼎祚, "周易集解上/下" 臺灣商務印書館 1968

      31 李鏡池, "周易通義" 中華書局 1981

      32 惠棟, "周易述 上" 中華書局 2007

      33 朱維煥, "周易經傳象義闡釋" 學生書局 1986

      34 朱熹, "周易本義"

      35 李鏡池, "周易探源" 中華書局 1978

      36 李光地, "周易折中" 九州出版社 2002

      37 張立文, "周易帛書今注今譯(上)" 學生書局 1991

      38 高亨, "周易古經今注, 重訂本" 中華書局 1984

      39 胡樸安, "周易古史觀" 上海古籍出版社 1986

      40 李承律, "出土文獻と秦楚文化 第二號" 上海博楚簡研究會 2005

      41 程頤, "伊川易傳"

      42 近藤浩之, "上海博物館藏戰國楚竹書周易の「首符」と「尾符」" 北海道中國哲學會 (33) : 2005

      43 李零, "上海博物館藏戰國楚竹書(二)" 上海古籍出版社 2002

      44 陳惠玲, "上海博物館藏戰國楚竹書(三)讀本" 萬卷樓 2005

      45 季旭昇, "上海博物館藏戰國楚竹書(三)讀本" 萬卷樓 2005

      46 黃人二, "上海博物館藏戰國楚竹書(三)硏究" 高文出版社 84-, 2005

      47 濮茅左, "上海博物館藏戰國楚竹書(三)" 上海古籍出版社 2003

      48 馬承源, "上海博物館藏戰國楚竹書(三)" 上海古籍出版社 2003

      49 馬承源, "上海博物館藏戰國楚竹書(一)" 上海古籍出版社 2001

      50 池田知久, "上海博楚簡の硏究(四)" 大東文化大學上海博楚簡硏究班 2010

      51 元勇準, "上海博楚簡の硏究(四)" 大東文化大學上海博楚簡硏究班 2010

      52 田中良明, "上海博楚簡の硏究(二)" 大東文化大學大學上海博楚簡硏究班 2008

      53 원용준, "上海博楚簡 <周易>의 부호와 그 의미" 한국철학사연구회 (30) : 161-190, 2010

      54 孟蓬生, "上博竹書(三)字詞考釋" 2004

      55 Edward L. Shaughnessy, "Unearthing the Changes"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4

      56 "Confucius2000網"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2-05-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유교사상연구 -> 유교사상문화연구
      외국어명 : THE STUDY OF CONFUCIANISM -> THE STUDY OF CONFUCIAN PHILOSOPHY AND CULTURE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10-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STUDY OF CONFUCIANISM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 0.6 0.5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3 0.53 1.438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