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이정 학파의 求中論 - 정이, 여대림, 양시를 중심으로 - = A theory on pursuit of Equilibrium(求中) in the school of Cheng brothers - Focus on Cheng Yi, Lu Da-lin and Yang Shi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73035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is an occasion to reflect on the viewpoint of Cheng Yi, Lu Da-lin, and Yang Shi, over the matter of Equilibrium in the context of ‘Cultivation of mind’. Discussion of the 'pursuit of Equilibrium(求中)' are distinguished according to those following, will this ‘Equilibrium(中)’ possible to be pursued in human consciousness? and if possible, what would the state of ‘Equilibrium’ really mean? For Lu Da-lin, ‘Equilibrium’ is an original state of human consciousness and the pursuit of this ‘Equilibrium’ is possible through self-discipline in order to empty the human mind(虛心). In his view, Equilibrium attained thorough self-discipline is as same as the ‘Emptiness’ and ‘Integrity’(虛而誠). Equilibrium can not be defined Good or Evil, but it will allow the moral response in specific situations. Whereas Cheng Yi look on ‘Equilibrium’ as a description of the Nature(性) which represent a particular state of consciousness not biased, not to be dependent. Because for him, the Nature expressed as the substance of consciousness, therefore Nature is something that cannot be pursued as a separate specific states of consciousness. Like Lu Da-lin, Yang Shi also thought the 'Equilibrium' as a state of consciousness is inherent to identify the substance. But for him, this state of equilibrium in mind is defined to be 'the goodness(善)' which is including a moral content. It means that the original state of consciousness is nothing but 'Benevolence(仁)' as a moral substance. In this context, his 'pursuit of equilibrium' which regard as a cultivation of weifa(未發) is also represented in pursuit of Benevolence(求仁).
      번역하기

      This is an occasion to reflect on the viewpoint of Cheng Yi, Lu Da-lin, and Yang Shi, over the matter of Equilibrium in the context of ‘Cultivation of mind’. Discussion of the 'pursuit of Equilibrium(求中)' are distinguished according to those f...

      This is an occasion to reflect on the viewpoint of Cheng Yi, Lu Da-lin, and Yang Shi, over the matter of Equilibrium in the context of ‘Cultivation of mind’. Discussion of the 'pursuit of Equilibrium(求中)' are distinguished according to those following, will this ‘Equilibrium(中)’ possible to be pursued in human consciousness? and if possible, what would the state of ‘Equilibrium’ really mean? For Lu Da-lin, ‘Equilibrium’ is an original state of human consciousness and the pursuit of this ‘Equilibrium’ is possible through self-discipline in order to empty the human mind(虛心). In his view, Equilibrium attained thorough self-discipline is as same as the ‘Emptiness’ and ‘Integrity’(虛而誠). Equilibrium can not be defined Good or Evil, but it will allow the moral response in specific situations. Whereas Cheng Yi look on ‘Equilibrium’ as a description of the Nature(性) which represent a particular state of consciousness not biased, not to be dependent. Because for him, the Nature expressed as the substance of consciousness, therefore Nature is something that cannot be pursued as a separate specific states of consciousness. Like Lu Da-lin, Yang Shi also thought the 'Equilibrium' as a state of consciousness is inherent to identify the substance. But for him, this state of equilibrium in mind is defined to be 'the goodness(善)' which is including a moral content. It means that the original state of consciousness is nothing but 'Benevolence(仁)' as a moral substance. In this context, his 'pursuit of equilibrium' which regard as a cultivation of weifa(未發) is also represented in pursuit of Benevolence(求仁).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求中’을 둘러싼 정이와 여대림, 그리고 양시의 관점을 그 심성·수양론의 맥락에서 조망한 것이다. 이들의 ‘求中’에 대한 논의에서 관건은 ‘中’이란 의식상에서 추구할 수 있는 것인가, 추구할 수 있다면 中’은 과연 어떠한 의식 상태를 의미하는가이다. 여대림은 ‘中’을 의식의 본원적 ‘상태’로 보며, 지각과 분별 작용을 위주로 하는 현상 의식을 비우는 수양[虛心]을 통해 이 中의 상태를 추구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본다. 그는 수양을 통해 도달하는 ‘中’의 의식 상태를 “비어있으면서 성실한 것[虛而誠]”이라고 한다. 그것은 선이나 악으로 규정할 수 없는 의식의 상태이지만, 구체적 사태 속에서 자연스러운 도덕적 대응을 가능케 하는 것이다. 반면, 정이는 ‘中’을 특정한 의식 상태가 아니라 과불급이 없고 치우치거나 의탁함이 없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性 본체를 묘사한 것으로 간주한다. 그에게서 性은 곧 의식[心]의 본체로서 이미 현상 의식으로 발현하여 내재하고 있는 것이기 때문에, 별도의 특정한 의식 상태로 추구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양시는 여대림과 유사하게 ‘中’을 의식의 본래적 상태이자 본체로 파악한다. 하지만 그에게 ‘中’은 도덕적 내용을 담지한 ‘善’으로 규정되며, 이는 의식의 본래 상태가 곧 도덕적 의식으로서 ‘仁’과 다르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점에서 그의 ‘求中’공부 즉 미발의 체득은 의식상에서 만물일체로 표상되는 도덕적 본체를 추구하는 것과 동일한 수양이 된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求中’을 둘러싼 정이와 여대림, 그리고 양시의 관점을 그 심성·수양론의 맥락에서 조망한 것이다. 이들의 ‘求中’에 대한 논의에서 관건은 ‘中’이란 의식상에서 추구할 �...

      이 논문은 ‘求中’을 둘러싼 정이와 여대림, 그리고 양시의 관점을 그 심성·수양론의 맥락에서 조망한 것이다. 이들의 ‘求中’에 대한 논의에서 관건은 ‘中’이란 의식상에서 추구할 수 있는 것인가, 추구할 수 있다면 中’은 과연 어떠한 의식 상태를 의미하는가이다. 여대림은 ‘中’을 의식의 본원적 ‘상태’로 보며, 지각과 분별 작용을 위주로 하는 현상 의식을 비우는 수양[虛心]을 통해 이 中의 상태를 추구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본다. 그는 수양을 통해 도달하는 ‘中’의 의식 상태를 “비어있으면서 성실한 것[虛而誠]”이라고 한다. 그것은 선이나 악으로 규정할 수 없는 의식의 상태이지만, 구체적 사태 속에서 자연스러운 도덕적 대응을 가능케 하는 것이다. 반면, 정이는 ‘中’을 특정한 의식 상태가 아니라 과불급이 없고 치우치거나 의탁함이 없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性 본체를 묘사한 것으로 간주한다. 그에게서 性은 곧 의식[心]의 본체로서 이미 현상 의식으로 발현하여 내재하고 있는 것이기 때문에, 별도의 특정한 의식 상태로 추구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양시는 여대림과 유사하게 ‘中’을 의식의 본래적 상태이자 본체로 파악한다. 하지만 그에게 ‘中’은 도덕적 내용을 담지한 ‘善’으로 규정되며, 이는 의식의 본래 상태가 곧 도덕적 의식으로서 ‘仁’과 다르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점에서 그의 ‘求中’공부 즉 미발의 체득은 의식상에서 만물일체로 표상되는 도덕적 본체를 추구하는 것과 동일한 수양이 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論語"

      2 呂大臨, "藍田呂氏遺著輯校" 中華書局 1993

      3 이상돈, "주자의 수양론" 문사철 2013

      4 이승환, "정문(程門)의 ‘미발’설과 ‘구중’(求中) 공부-소계명(蘇季明)과 여여숙(呂與叔)에 대한 이천(伊川)의 비판을 중심으로-" 철학연구소 (38) : 1-54, 2009

      5 이현선, "장재(張載)와 이정(二程)의 철학" 문사철 2013

      6 구스모토 마사쓰구, "송명유학사상사" 예문서원

      7 陳來, "송명성리학" 예문서원 1997

      8 宇野哲人, "송대 성리학사" UUP 2005

      9 성현창, "북송도학사" 예문서원 2006

      10 楊時, "龜山集, 欽定四庫全書 集部 四"

      1 "論語"

      2 呂大臨, "藍田呂氏遺著輯校" 中華書局 1993

      3 이상돈, "주자의 수양론" 문사철 2013

      4 이승환, "정문(程門)의 ‘미발’설과 ‘구중’(求中) 공부-소계명(蘇季明)과 여여숙(呂與叔)에 대한 이천(伊川)의 비판을 중심으로-" 철학연구소 (38) : 1-54, 2009

      5 이현선, "장재(張載)와 이정(二程)의 철학" 문사철 2013

      6 구스모토 마사쓰구, "송명유학사상사" 예문서원

      7 陳來, "송명성리학" 예문서원 1997

      8 宇野哲人, "송대 성리학사" UUP 2005

      9 성현창, "북송도학사" 예문서원 2006

      10 楊時, "龜山集, 欽定四庫全書 集部 四"

      11 徐遠和, "程ᆞ朱철학의 뿌리를 찾아서" 동과서 2000

      12 朱熹, "朱熹集" 成都 四川敎育出版社 1996

      13 朱熹, "朱子語類" 中華書局 1994

      14 張載, "張載集" 中華書局 1978

      15 黃宗羲, "宋元學案" 華世出版社 1987

      16 "孟子"

      17 程顥, "二程集" 中華書局 198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2-05-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유교사상연구 -> 유교사상문화연구
      외국어명 : THE STUDY OF CONFUCIANISM -> THE STUDY OF CONFUCIAN PHILOSOPHY AND CULTURE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10-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STUDY OF CONFUCIANISM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 0.6 0.5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3 0.53 1.438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