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여유당, 윤경진, "null", null
2 이진한, "null", 고려시대 守令職의 제수 자격 史叢 55, 2002
3 이인재, "null", 고려 중후기 지방제 개혁과 감무 外大史學 3, 1990
4 오치훈, "null", 高麗前期 직역계승과 田柴科의 구조 역사민속학 51, 2016
5 윤경진, "null", 고려후기 先生案 자료를 통해 본 外官制의 변화 國史館論叢 101, 2003
6 권희경, "고려의 사경", 글고운, 2006
7 김갑동, "고려 현종 연구", 혜안, 2022
8 허흥식, "고려의 과거제도", 일조각, 2005
9 김만호, "강감찬과 귀주대첩", 한국중세사연구 31, 2011
10 박경자, "고려시대 향리연구", 국학자료원, 2001
11 신안식, "고려의 三京과 國都", 한국중세사연구 39, 2014
12 김윤곤, "한국 중세의 역사상", 영남대학교출판부, 2001
13 변태섭, "高麗政治制度史硏究", 一潮閣, 1971
14 김호동, "고려사회의 이모저모", 경인문화사, 2017
15 윤경진, "고려 지방제도 성립사",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22
16 강은경, "고려시대 호장층 연구", 혜안, 2002
17 박용운, "高麗時代官階 官職硏究", 고려대학교 출판부, 1997
18 김아네스, "高麗初期 地方支配와 使", 國史館論叢 87, 1999
19 박종진, "고려시기 지방제도 연구",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17
20 김용선, "편, , (속)고려묘지명집성", 한림대학교출판부, 2016
21 임용한, "朝鮮前期守令制와 地方統治", 혜안, 2002
22 노명호, "韓國古代中世古文書硏究 (上)", 서울대학교출판부, 2011
23 김아네스, "고려 초기의 都護府와 都督府", 歷史學報 173, 2002
24 최동녕, "고려 충선왕대 지방제도 개편", 역사와 담론 95, 2020
25 김갑동, "고려 현종대의 지방제도 개혁", 한국학보 80, 1995
26 김용선, "고려묘지명집성(개정3판) (상)", 한림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21
27 박종진, "고려말⋅조선초 개성부의 위상", 東方學志 170, 2015
28 박종진, "고려시기 계수관의 기능과 위상", 역사와 현실 56, 2005
29 박재우, "고려시대 署經의 행정절차와 성격", 역사문화연구 36, 2010
30 최연식, "고려시대 국왕문서의 종류와 기능", 國史館論叢 87, 1999
31 김창현, "고려의 문인 김극기의 생애와 편력", 한국인물사연구 20, 2013
32 박수찬, "고려전기 복시(覆試)의 시행과 기능", 역사와 현실 106, 2017
33 김두향, "고려 현종대 정치와 이계(吏係) 관료", 역사와 현실 55, 2005
34 윤경진, "고려전기 界首官의 운영체계와 기능", 東方學志 126, 2004
35 김보광, "고려전기 재상의 임명과정과 宣麻儀", 역사와 실학 68, 2019
36 박종기, "예종대 정치개혁과 정치세력의 변동", 역사와 현실 9, 1993
37 김용선, "편, , 개정증보판 (속)고려묘지명집성", 한림대학교 지식미디어센터, 2023
38 김병인, 이바른, "고려 명종대 감무 파견의 정치적 성격", 한국중세사연구 29, 2010
39 박종기, "지배와 자율의 공간, 고려의 지방사회", 푸른역사, 2002
40 이익주, "고려 충선왕대 정치운영과 정치세력 동향", 한국사론 29, 1993
41 김보광, "고려전기 閣門의 역할과 국가의례상 의미", 東方學志 189, 2019
42 윤경진, "高麗 성종 14년의 郡縣制 改編에 대한 연구", 韓國文化 27, 2001
43 김윤지, "고려시대 승려 비직(批職)의 운영과 그 의미", 역사와 현실 115, 2020
44 이강한, "1308~1310년 고려내 牧⋅府 신설의 내용과 의미", 韓國史硏究 158, 2012
45 윤경진, "朝鮮初期 郡縣體制의 개편과 運營體系의 변화", 韓國史論 25, 1991
46 이강한, "고려후기 외관(外官)의 신설⋅승격 및 권위제고", 한국사연구 171, 2015
47 최은규, "고려 문종 16년 京畿 개편의 성격과 開城府의 위상", 한국중세사 연구 51, 2017
48 박종기, "고려시대의 지방관원들―속관(屬官)을 중심으로―", 역사와 현실 24, 1997
49 박재우, "고려후기 인사행정과 인사문서에 대한 비판적 검토", 韓國史硏究 162, 2013
50 정요근, "고려에서 조선으로―여말선초, 단절인가 계승인가―", 역사비평 사, 2019
51 최연주, "고려시대 金剛般若波羅密經 彫成 현황과 書誌的 성격", 石堂論叢 61, 2015
52 최은규, "고려시대 현령(縣令)과 현위(縣尉)의 임명과 운영의 변화", 역사와 현실 124, 2022
53 윤경진, "고려초기 지방제도 개편과 都護府 -安東 安南의 置廢와 移動", 한국중세사연구 27, 2009
54 정병삼, "고려후기 불교 조영물의 발원 내용에 나타난 불교신앙의 경향", 사학연구 128, 2017
55 정요근, "「고려 후기~조선 전기 수령 중심 군현 편제의 전개와 연속성」", 역사 비평 120, 2017
56 박재우, "고려시기의 告身과 관리임용체계, 韓國古代中世古文書硏究 (下)",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0
57 김성수, "기림사 소조비로자나불 腹藏 목판인쇄본 典籍에 관한 서지적 연구", 書誌學硏究 72, 2017
58 홍민호, "고려⋅몽골 전쟁기 방호별감(防護別監)의 운영과 내륙 입보의 보완", 韓國史硏究 193, 2021
59 윤경진, "高麗史 식화지(食貨志) 외관록(外官祿) 규정의 기준 시점과 성립 배경", 역사와 현실 78, 2010
60 최은규, "고려시대 감무(監務)의 운영과 그 특징―임명 사례의 분석을 중심으 로―", 역사와 현실 118, 2020
61 윤경진, "고려 태조대 군현제 개편의 성격―신라 군현제와의 상관성을 중심 으로―", 역사와 현실 22, 1996
62 윤경진, "고려 界首官의 제도적 연원과 성립과정―9州⋅12牧과의 연결성을 중심으로―", 韓國文化 36, 2005
63 윤경진, "고려전기 戶長의 기능과 外官의 성격―지방행정체계상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國史館論叢 87, 1999
64 윤경진, "고려 숙종-의종대 태후 관향 승격의 의미―고려사 지리지 연혁의 보정을 겸하여", 국학연구 13, 2008
65 강민경, "새롭게 확인된 高麗 墓誌銘 : 金龍軾 묘지명⋅上黨縣君 郭氏 묘 지명⋅閔脩 묘지명", 美術資料 96, 2019
66 신서영, "공양왕대 ‘新定監務’의 정치적 성격―고려시대 監務 파견의 추이와 양상을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사학과 석사학위논문, 2019
67 김호동, "고려무신정권시대 지방통치의 일단면―이규보의 전주목 사록겸장서 기의 활동을 중심으로―", 교남사학 3, 1987
68 정요근, "12~15세기 지방 제도 개편의 전개와 그 역사적 의미―양광도 지역 의 고을 연혁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중세사연구 57, 2019
69 정요근, "고려 중~후기 수령관의 증치와 고을 읍격 및 관격 변화의 역사성 ―경상도와 전라도 지역 분석을 중심으로―", 역사와 현실 120,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