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高麗時代 外官 任用體系 硏究 = The Study on the Appointment System of Local Officials in the Goryeo Dinas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82772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outline the appointment system of local officials during the Goryeo Dynasty through relevant cases and contemplate the significance. During the Goryeo Dynasty, those who reached certain degrees of qualification in accordance with central posts could be appointed as local officials, and the structure of local officials was composed of three stories. Chosawegwanjick was the first local government post to which new local officials were assigned, Gyesugwan Pangwan and magistrate of ordinary control counties were local government posts to which local officials were assigned during their service in posts between Chamsangjick and Chamwejick, and Gyesugwan’s magistrate was a local government post to which local officials were assigned during their service in Chamsangjick over the 6th-grade government post. Thus, this study examined how this three-story structure of local officials was established, operated and changed during the Goryeo Dynasty.
      Chosawegwanjick was first applied to Gyeong, Mok, and Dohobu during King Seongjong’s reign. There is a historical record about a man named ‘Wang Gah-do’, and it says that in 995 (the 14th year of King Seongjong’s reign), he won the first place in the state examination and was appointed to Seogyeong-jangseogi. In this post, there were 6 different positions, Jiseogyeongyususa, Seogyeongbuyusu, Seogyeongyusu-Pangwan, Sarokchamgunsa, Jangseogi and Beobjo, and out of them, successful state examinees were mostly appointed to Sarokchamgunsa and Jangseogi.
      The reason why they were appointed to these two positions was because Goryeo governed its local regions indirectly. With Gyeong, Mok and Dohobu used as administrative footholds, the structure of local officials was established in layers, and Sarokchamgunsa and Jangseogi were made to take full charge of local administration with the help of Hyangri, native government workers. Since they passed the state examination and were qualified with their literary arts, they were quite good at paper work-based administration. Therefore, they were dispatched as Sarokchamgunsa and Jangseogi.
      Chosawegwanjick was later extended into ordinary control counties in 1018 (the 9th year of King Hyeonjong’s reign) by the time when the local system of Goryeo was completed. The system of local officials was composed of Pangwan for Ju, Bu, Gun and Bangeojin, and Hyeonwi and Jinbujang for Hyeon and Jin. Unlike Chosawegwanjick for Gyeong, Mok and Dohobu, even officials from the system of Eumseo (officials appointed in the influence of well-known families, not through the state examination) could be appointed to Chosawegwanjick for ordinary control counties, which further led to an quantitative expansion of Chosawegwanjick.
      The local system during King Hyeonjong’s reign is referred to as control counties-subordinate counties System. Ordinary control counties had jurisdiction over subordinate counties as an administrative foothold, and there could be more than two local officials overlapped in this system. Out of all the jurisdiction scopes of ordinary control counties, there were some cases corresponding to Gyesugwan. Both Pangwan for Ju, Bu, Gun and Bangwojin and Hyeonwi and Jinbujang carried out their administrative duties with the help of Hyangri as Sarokchamgunsa and Jangseogi did. It indicates an extension of King Seongjong’s way of local governance.
      For more effective local governance, Goryeo had Chosawegwanjick established in all control counties areas. It is noticeable that Chosawegwanjick played a role as an opportunity for new government officials. Since they had neither career nor administrative experience at all, they had to build their administrative career for three years while being dispatched as local officials. When returning to Gaegyeong (the capital of Goryeo) after their terms of local posts, they could prepare conditions good enough to work as central officials. In other words, the establishment and expansion of Chosawegwanjick brought effective local governance from the central government’s point of view, and it was also regarded as an opportunity for new officials to attain distinction in Gaegyeong in the future.
      In 1106 (the first year of King Yejong's reign), the central government attempted to overcome Yuminanjip (the settlement of drifting people) by establishing Gammu in subordinate counties. Considering some cases such as Yang Won-jun, this study found out that Gammu was operated as Chosawegwanjick. Like Chosawegwanjick for ordinary control counties, all new government officials could be appointed to Gammu regardless of their backgrounds when they started government work.
      In 1172 (the 2th year of King Myeongjong's reign), Gammu was dispatched more by Lee Jun-ui. Basically,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appointment of Gammu between King Myeongjong’s reign and King Yejong’s reign, but there were some interesting cases, showing that sons from military nobility or nationally distinguished-service families and successful examinees of Gukjagamshi were appointed to Gammu. After King Gojong's reign, however, Ju-Bu-Gun Pangwan and Hyeonwi were abolished, which reduced the number of Chosawegwanjick. It was the consequence of more Gunhyeon areas under the jurisdiction of Gammu during King Yejong and King Myeongjong’s reigns. The local governance of Goryeo gradually turned into the system of One magistrate-One Gunhyeon due to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local officials like Gammu. As a result, the nature of Gammu changed to that of a single magistrate, which indicates changes in Chosawegwanjick.
      Gyesugwan Pangwan and magistrate of ordinary control counties were government posts to which officials could be assigned during their service in posts between Chamsangjick and Chamwejick. In 995, the organization of Gyeong, Mok, and Dohobu was established, and it is believed that the standard for Pangwan appointment was also set at the same time. With the system of Gyesugwan improved in 1018, Pangwan remained as vice-minister for Gyeong, Mok, and Dohobu. Gyesugwan Pangwan could be applied by officials in either Chamsangjick or Chamwejick, which allowed them to hold an additional governmental position equivalent to Chamsangjick and even helped them express their social status in the local community.
      Ordinary control counties had two different aspects in nature. One was civilian administration for Ju, Bu, Gun and Hyeon, and the other was military administration for Bangeojin and Jin. magistrate for Ju, Bu, Gun and Bangeojin had the same appointment conditions as Gyesugwan Pangwan, but magistrate for Hyeon and Jin had relatively lower conditions. Before 1018, magistrate for Ju, Bu, Gun and Bangeojin had been already put in place, but it became the most extensive and universal government post after 1018. Therefore, it was important to secure human resources many enough to recruit for this position. Goryeo government officials had their capabilities of literary and public post verified while holding several different positions, such as Gwonmujick and Chamwejick beside Chosawegwanjick. Moreover, when they reached posts between the 7th-grade post and the 6th-grade post, they were given an opportunity to get promoted to Chamsangjick through their career as local officials.
      To be appointed to Hyeonryeong and Jinjang, officials had to have actual administrative careers more than Chosawegwanjick and less than the 8th-rank post. Considering this fact, it is clear that Hyeonryeong and Jinjang were higher than Chosawegwanjick, but lower than magistrate of ordinary control counties. Yet, according to such historical records as Baekgwanji Wejick and Sikhwaji Wegwanrok, Hyeonryeong and Jinjang were treated almost the same as Chosawegwanjick. Ordinary local officials of control counties were qualified and treated according to the practices on Gyesugwan local officials. Since the status of Ju, Bu, Gun magistrate was supposed to be similar to that of Gyesugwan Pangwan, Hyeonryeong and Jinjang were set lower in qualification and treatment. Specifically, the qualifications of Hyeonryeong and Jinjang were set higher than the 7th-grade post, but lower than the 6th-grade post, which created a phenomenon that they were regarded the same as Chosawegwanjick in qualification. However, as Hyeonryeong and Jinjang corresponded to magistrate of ordinary control counties, it is believed that when being actually appointed, they were regarded higher than Chosawegwanjick, but lower than Gyesugwan Pangwan and magistrate of ordinary control counties.
      There took place some changes in the appointment standard for Gyesugwan Pangwan and magistrate of ordinary control counties in 1308 (the reinstatement of King Chungseon). Out of Ju, Bu, Gun and Hyeon, Bu was upgraded in status. As a result, ordinary control counties changed to Ju, Gun and Hyeon. While officials over the 6th-grade post were assigned to magistrate for Ju and Gun, but those who even had defects in social standing could be appointed to Hyeonryeong, which shows another change in the appointment system of local officials. In addition, as Pangwan and Hyeonwi were abolished, only magistrate was dispatched to ordinary control counties, gradually changing the existing system to One magistrate-One Gunhyeon System.
      Gyesugwan’s magistrate was the highest post out all the local officials in Goryeo. However, there was a certain difference in rank between magistrate for Gyeong and magistrate for Mok and Dohobu. Jiseogyeongyususa and Donggyeongyususa were posts to which the third-grade officials could be assigned, while Seogyeongbuyusu and Donggyeongbuyusu were ones to which the fourth-grade officials could be appointed. Yet, Namgyeongyusu and Namgyeongbuyusu were lower than magistrate for Donggyeong and Seogyeong in rank, so the 4th to 5th-grade officials could be assigned to these posts.
      Magistrate for Mok and Dohobu had the same appointment standard as the 5th to 6th-rank posts, which was slightly lower than magistrate for Namgyeong. Therefore, the status of Mok and Dohobu magistrate was positioned lower than that of Gyeong magistrate, and officials serving in posts corresponding to Chamsangjick were appointed to this post. When officials completed their duties as Chosawegwanjick, Gyesugwan Pangwan or magistrate of ordinary control counties, they did not go back to the same posts again. Especially, when Gyesugwan’s magistrate completed his duties for Mok and Dohobu, he was assigned to magistrate for Gyeong. It indicates that there was a dividing line between magistrate for Gyeong and magistrate for Mok and Dohobu, and also reveals the symbolism of Gyeong.
      The change in Gyesugwan’s magistrate started from King Gojong’s reign in earnest. Among Ju, Bu and Gun, many villages were promoted to Dohobu, resulting in a quantitative expansion of Gyesugwan. In addition, with the local system reorganized in 1308, Goryeo changed Seogyeong, Donggyeong, and Namgyeong changed into Pyeongyangbu, Gyerimbu, and Hanyangbu, and Mok, Dohobu, and some orinary control counties into Mok. In 1310, however, some of the Mok areas were demoted to Bu. Through this process, all of the appointment standards for Goryeo local officials changed greatly, which had been maintained for about 290 years. The third-grade officials were dispatched as Buyun and Moksa for Gyeomgyo-jaeshin, while the fourth-grade officials were dispatched as Jibusa.
      The appointment system for local officials in Goryeo featured a long-term continuity. Although there were some possible factors leading to such changes as more Gammu dispatched and Gunhyeon specially promoted, the basic operation principles established in 1018 were not revised until King Chungseon’s reign. Goryeo established the system of local officials in the beginning of the country foundation and intended to govern local areas by dispatching central government there. This is how the appointment system of local officials became institutionally completed through King Seongjong and King Hyeonjong reigns.
      Not all the government officials were dispatched to local regions even though they met the appointment standard for local posts. They tried to consistently select suitable people for effective local governance before dispatching officials. When it comes to the process of selecting central officials for local dispatch, a high-ranking official recommended an official who met the appointment standard. Then, Sangseoyibu investigated him and prepared a draft, and asked the king for approval. Afterwards, when the king approved the appointment, Daegan had the certificate of appointment signed. This process shows that the personnel administration for local officials was conducted in the same manner as that for central officials. Therefore, the system of local officials in Goryeo featured being operated within the structure of central officials, and no one refused to be appointed to local posts as long as they were officials of Goryeo.
      It is pointed out that the appointment system of local officials in Goryeo turned into a mess after the Military Regime period. There were some historical events directly related to the personnel management of local officials, such as the phenomenon of personnel congestion and the implementation of an administrative system called ‘Munmugyochaje’ during this period. Thus, this study looked into how they took place in those days. The personnel congestion of local officials mainly happened to successful state examinees, especially when being appointed to Chosawegwangick. It was because the state examination of Goryeo was regularly performed, and the number of successful examinees was regulated. In other words, the state examination was originally characterized as an employment test to recruit as many government workers as necessary in the early Goryeo Dynasty, but it turned into a qualification test during the Military Regime period.
      The Munmugyochaje system featured being applied to villages where two or more local posts were established. In other words, a literary official and a military official were dispatched together to govern a local area. Therefore, it seems that this system was applied to all the control counties areas, except villages where Gammu was dispatched. However, there was no case that a military official was dispatched as Chosawegwanjick, and literary officials were mostly appointed to Gyesugwan and ordinary control counties, probably because civil servants were administratively superior to military officers. The military administration tried to maintain its regime by stabilizing local regions rather than exploiting them. Thanks to such an attempt, the appointment system of local officials could be maintained in Goryeo for a long time.
      번역하기

      This study aimed to outline the appointment system of local officials during the Goryeo Dynasty through relevant cases and contemplate the significance. During the Goryeo Dynasty, those who reached certain degrees of qualification in accordance with c...

      This study aimed to outline the appointment system of local officials during the Goryeo Dynasty through relevant cases and contemplate the significance. During the Goryeo Dynasty, those who reached certain degrees of qualification in accordance with central posts could be appointed as local officials, and the structure of local officials was composed of three stories. Chosawegwanjick was the first local government post to which new local officials were assigned, Gyesugwan Pangwan and magistrate of ordinary control counties were local government posts to which local officials were assigned during their service in posts between Chamsangjick and Chamwejick, and Gyesugwan’s magistrate was a local government post to which local officials were assigned during their service in Chamsangjick over the 6th-grade government post. Thus, this study examined how this three-story structure of local officials was established, operated and changed during the Goryeo Dynasty.
      Chosawegwanjick was first applied to Gyeong, Mok, and Dohobu during King Seongjong’s reign. There is a historical record about a man named ‘Wang Gah-do’, and it says that in 995 (the 14th year of King Seongjong’s reign), he won the first place in the state examination and was appointed to Seogyeong-jangseogi. In this post, there were 6 different positions, Jiseogyeongyususa, Seogyeongbuyusu, Seogyeongyusu-Pangwan, Sarokchamgunsa, Jangseogi and Beobjo, and out of them, successful state examinees were mostly appointed to Sarokchamgunsa and Jangseogi.
      The reason why they were appointed to these two positions was because Goryeo governed its local regions indirectly. With Gyeong, Mok and Dohobu used as administrative footholds, the structure of local officials was established in layers, and Sarokchamgunsa and Jangseogi were made to take full charge of local administration with the help of Hyangri, native government workers. Since they passed the state examination and were qualified with their literary arts, they were quite good at paper work-based administration. Therefore, they were dispatched as Sarokchamgunsa and Jangseogi.
      Chosawegwanjick was later extended into ordinary control counties in 1018 (the 9th year of King Hyeonjong’s reign) by the time when the local system of Goryeo was completed. The system of local officials was composed of Pangwan for Ju, Bu, Gun and Bangeojin, and Hyeonwi and Jinbujang for Hyeon and Jin. Unlike Chosawegwanjick for Gyeong, Mok and Dohobu, even officials from the system of Eumseo (officials appointed in the influence of well-known families, not through the state examination) could be appointed to Chosawegwanjick for ordinary control counties, which further led to an quantitative expansion of Chosawegwanjick.
      The local system during King Hyeonjong’s reign is referred to as control counties-subordinate counties System. Ordinary control counties had jurisdiction over subordinate counties as an administrative foothold, and there could be more than two local officials overlapped in this system. Out of all the jurisdiction scopes of ordinary control counties, there were some cases corresponding to Gyesugwan. Both Pangwan for Ju, Bu, Gun and Bangwojin and Hyeonwi and Jinbujang carried out their administrative duties with the help of Hyangri as Sarokchamgunsa and Jangseogi did. It indicates an extension of King Seongjong’s way of local governance.
      For more effective local governance, Goryeo had Chosawegwanjick established in all control counties areas. It is noticeable that Chosawegwanjick played a role as an opportunity for new government officials. Since they had neither career nor administrative experience at all, they had to build their administrative career for three years while being dispatched as local officials. When returning to Gaegyeong (the capital of Goryeo) after their terms of local posts, they could prepare conditions good enough to work as central officials. In other words, the establishment and expansion of Chosawegwanjick brought effective local governance from the central government’s point of view, and it was also regarded as an opportunity for new officials to attain distinction in Gaegyeong in the future.
      In 1106 (the first year of King Yejong's reign), the central government attempted to overcome Yuminanjip (the settlement of drifting people) by establishing Gammu in subordinate counties. Considering some cases such as Yang Won-jun, this study found out that Gammu was operated as Chosawegwanjick. Like Chosawegwanjick for ordinary control counties, all new government officials could be appointed to Gammu regardless of their backgrounds when they started government work.
      In 1172 (the 2th year of King Myeongjong's reign), Gammu was dispatched more by Lee Jun-ui. Basically,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appointment of Gammu between King Myeongjong’s reign and King Yejong’s reign, but there were some interesting cases, showing that sons from military nobility or nationally distinguished-service families and successful examinees of Gukjagamshi were appointed to Gammu. After King Gojong's reign, however, Ju-Bu-Gun Pangwan and Hyeonwi were abolished, which reduced the number of Chosawegwanjick. It was the consequence of more Gunhyeon areas under the jurisdiction of Gammu during King Yejong and King Myeongjong’s reigns. The local governance of Goryeo gradually turned into the system of One magistrate-One Gunhyeon due to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local officials like Gammu. As a result, the nature of Gammu changed to that of a single magistrate, which indicates changes in Chosawegwanjick.
      Gyesugwan Pangwan and magistrate of ordinary control counties were government posts to which officials could be assigned during their service in posts between Chamsangjick and Chamwejick. In 995, the organization of Gyeong, Mok, and Dohobu was established, and it is believed that the standard for Pangwan appointment was also set at the same time. With the system of Gyesugwan improved in 1018, Pangwan remained as vice-minister for Gyeong, Mok, and Dohobu. Gyesugwan Pangwan could be applied by officials in either Chamsangjick or Chamwejick, which allowed them to hold an additional governmental position equivalent to Chamsangjick and even helped them express their social status in the local community.
      Ordinary control counties had two different aspects in nature. One was civilian administration for Ju, Bu, Gun and Hyeon, and the other was military administration for Bangeojin and Jin. magistrate for Ju, Bu, Gun and Bangeojin had the same appointment conditions as Gyesugwan Pangwan, but magistrate for Hyeon and Jin had relatively lower conditions. Before 1018, magistrate for Ju, Bu, Gun and Bangeojin had been already put in place, but it became the most extensive and universal government post after 1018. Therefore, it was important to secure human resources many enough to recruit for this position. Goryeo government officials had their capabilities of literary and public post verified while holding several different positions, such as Gwonmujick and Chamwejick beside Chosawegwanjick. Moreover, when they reached posts between the 7th-grade post and the 6th-grade post, they were given an opportunity to get promoted to Chamsangjick through their career as local officials.
      To be appointed to Hyeonryeong and Jinjang, officials had to have actual administrative careers more than Chosawegwanjick and less than the 8th-rank post. Considering this fact, it is clear that Hyeonryeong and Jinjang were higher than Chosawegwanjick, but lower than magistrate of ordinary control counties. Yet, according to such historical records as Baekgwanji Wejick and Sikhwaji Wegwanrok, Hyeonryeong and Jinjang were treated almost the same as Chosawegwanjick. Ordinary local officials of control counties were qualified and treated according to the practices on Gyesugwan local officials. Since the status of Ju, Bu, Gun magistrate was supposed to be similar to that of Gyesugwan Pangwan, Hyeonryeong and Jinjang were set lower in qualification and treatment. Specifically, the qualifications of Hyeonryeong and Jinjang were set higher than the 7th-grade post, but lower than the 6th-grade post, which created a phenomenon that they were regarded the same as Chosawegwanjick in qualification. However, as Hyeonryeong and Jinjang corresponded to magistrate of ordinary control counties, it is believed that when being actually appointed, they were regarded higher than Chosawegwanjick, but lower than Gyesugwan Pangwan and magistrate of ordinary control counties.
      There took place some changes in the appointment standard for Gyesugwan Pangwan and magistrate of ordinary control counties in 1308 (the reinstatement of King Chungseon). Out of Ju, Bu, Gun and Hyeon, Bu was upgraded in status. As a result, ordinary control counties changed to Ju, Gun and Hyeon. While officials over the 6th-grade post were assigned to magistrate for Ju and Gun, but those who even had defects in social standing could be appointed to Hyeonryeong, which shows another change in the appointment system of local officials. In addition, as Pangwan and Hyeonwi were abolished, only magistrate was dispatched to ordinary control counties, gradually changing the existing system to One magistrate-One Gunhyeon System.
      Gyesugwan’s magistrate was the highest post out all the local officials in Goryeo. However, there was a certain difference in rank between magistrate for Gyeong and magistrate for Mok and Dohobu. Jiseogyeongyususa and Donggyeongyususa were posts to which the third-grade officials could be assigned, while Seogyeongbuyusu and Donggyeongbuyusu were ones to which the fourth-grade officials could be appointed. Yet, Namgyeongyusu and Namgyeongbuyusu were lower than magistrate for Donggyeong and Seogyeong in rank, so the 4th to 5th-grade officials could be assigned to these posts.
      Magistrate for Mok and Dohobu had the same appointment standard as the 5th to 6th-rank posts, which was slightly lower than magistrate for Namgyeong. Therefore, the status of Mok and Dohobu magistrate was positioned lower than that of Gyeong magistrate, and officials serving in posts corresponding to Chamsangjick were appointed to this post. When officials completed their duties as Chosawegwanjick, Gyesugwan Pangwan or magistrate of ordinary control counties, they did not go back to the same posts again. Especially, when Gyesugwan’s magistrate completed his duties for Mok and Dohobu, he was assigned to magistrate for Gyeong. It indicates that there was a dividing line between magistrate for Gyeong and magistrate for Mok and Dohobu, and also reveals the symbolism of Gyeong.
      The change in Gyesugwan’s magistrate started from King Gojong’s reign in earnest. Among Ju, Bu and Gun, many villages were promoted to Dohobu, resulting in a quantitative expansion of Gyesugwan. In addition, with the local system reorganized in 1308, Goryeo changed Seogyeong, Donggyeong, and Namgyeong changed into Pyeongyangbu, Gyerimbu, and Hanyangbu, and Mok, Dohobu, and some orinary control counties into Mok. In 1310, however, some of the Mok areas were demoted to Bu. Through this process, all of the appointment standards for Goryeo local officials changed greatly, which had been maintained for about 290 years. The third-grade officials were dispatched as Buyun and Moksa for Gyeomgyo-jaeshin, while the fourth-grade officials were dispatched as Jibusa.
      The appointment system for local officials in Goryeo featured a long-term continuity. Although there were some possible factors leading to such changes as more Gammu dispatched and Gunhyeon specially promoted, the basic operation principles established in 1018 were not revised until King Chungseon’s reign. Goryeo established the system of local officials in the beginning of the country foundation and intended to govern local areas by dispatching central government there. This is how the appointment system of local officials became institutionally completed through King Seongjong and King Hyeonjong reigns.
      Not all the government officials were dispatched to local regions even though they met the appointment standard for local posts. They tried to consistently select suitable people for effective local governance before dispatching officials. When it comes to the process of selecting central officials for local dispatch, a high-ranking official recommended an official who met the appointment standard. Then, Sangseoyibu investigated him and prepared a draft, and asked the king for approval. Afterwards, when the king approved the appointment, Daegan had the certificate of appointment signed. This process shows that the personnel administration for local officials was conducted in the same manner as that for central officials. Therefore, the system of local officials in Goryeo featured being operated within the structure of central officials, and no one refused to be appointed to local posts as long as they were officials of Goryeo.
      It is pointed out that the appointment system of local officials in Goryeo turned into a mess after the Military Regime period. There were some historical events directly related to the personnel management of local officials, such as the phenomenon of personnel congestion and the implementation of an administrative system called ‘Munmugyochaje’ during this period. Thus, this study looked into how they took place in those days. The personnel congestion of local officials mainly happened to successful state examinees, especially when being appointed to Chosawegwangick. It was because the state examination of Goryeo was regularly performed, and the number of successful examinees was regulated. In other words, the state examination was originally characterized as an employment test to recruit as many government workers as necessary in the early Goryeo Dynasty, but it turned into a qualification test during the Military Regime period.
      The Munmugyochaje system featured being applied to villages where two or more local posts were established. In other words, a literary official and a military official were dispatched together to govern a local area. Therefore, it seems that this system was applied to all the control counties areas, except villages where Gammu was dispatched. However, there was no case that a military official was dispatched as Chosawegwanjick, and literary officials were mostly appointed to Gyesugwan and ordinary control counties, probably because civil servants were administratively superior to military officers. The military administration tried to maintain its regime by stabilizing local regions rather than exploiting them. Thanks to such an attempt, the appointment system of local officials could be maintained in Goryeo for a long tim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고려시대 外官의 임명 사례를 분석하여 任用體系의 大體를 밝히고 그 의미를 고찰하였다. 고려 외관은 京官에 조응하여 일정한 품질에 도달한 관인을 대상으로 임명하였다. 이에 외관의 구조는 모두 3층으로 구성되어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初仕外官職은 초입사자에게 최초로 제수되는 외관직, 界首官 判官 및 일반 主縣 守令은 叅上職과 叅外職의 계선에 재임하고 있는 관인에게 제수되는 외관직, 그리고 界首官 守令은 6품 이상의 참상직에 재임하고 있는 관인에게 제수되는 외관직이었다. 이에 외관의 3층 구조의 성립⋅운영⋅변화를 살펴보았다.
      초사외관직은 성종대 京⋅牧⋅都護府에서 처음 운용되었다. 이는 995년(성종 14)에 王可道가 과거에 장원으로 급제하여 西京掌書記에 보임되었던 내용에서 비롯된다. 西京留守官에는 知西京留守事, 西京副留守, 西京留守判官, 司錄叅軍事, 掌書記, 法曹가 두어졌는데, 이중 사록참군사와 장서기를 과거급제자에게 제수한 것이다.
      과거급제자를 사록참군사⋅장서기에 보임한 이유는 고려가 거점을 중심으로 지방을 간접지배했기 때문이었다. 고려는 경⋅목⋅도호부를 거점으로 하여 외관을 중첩적으로 설치하였고, 사록참군사⋅장서기로 하여금 지방 향리와 긴밀히 행정을 담당하도록 하였다. 과거급제자는 문한의 능력이 검증된 사람들로 문서 행정에 능했다. 그러므로 그들을 사록참군사⋅장서기로 파견하게 되었다.
      초사외관직은 고려 지방제도가 완비되는 1018년(현종 9)에 일반 주현으로 확대되었다. 州⋅府⋅郡⋅防禦鎭의 判官과 縣⋅鎭의 縣尉⋅鎭副將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일반 주현의 초사외관직은 경⋅목⋅도호부의 초사외관직과 달리 과거급제자 뿐만 아니라 음서 출신 관인에게도 제수되었다. 이는 초사외관직의 양적 확대를 수반하였다.
      현종대 지방제도의 특징은 주현-속현 체제로 일컬어진다. 일반 주현도 거점으로 속현을 관할하였는데, 여기에 2인 이상의 외관이 중첩적으로 설치되었다. 일반 주현의 관할 범위 중에는 계수관에 준하는 경우도 있었다. 주⋅부⋅군⋅방어진의 판관과 현위⋅진부장은 사록참군사⋅장서기와 마찬가지로 지방 향리와 긴밀하게 행정 업무를 수행하였다. 이는 성종대 지방 통치 방식의 확대를 의미하였다.
      고려는 효과적인 지방 통치를 위해 모든 주현에 초사외관직을 설치하게 되었다. 다만 초사외관직은 초입사자에게도 기회로 작용하였다. 실직 경력과 행정 경험이 전무한 관인들은 외관에 임명되어 지방에 파견됨으로써 3년 동안 실적을 쌓을 수 있었다. 그리고 임기를 마치고 개경으로 돌아와 중앙 관인으로서 활동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였다. 즉 초사외관직의 성립과 확대는 정부의 입장에서는 효과적인 지방 통치를 가져올 수 있었고, 초입사자의 입장에서는 추후 개경에서 현달할 수 있는 기회로 여겨졌다.
      1106년(예종 1)에 정부는 속현에 監務를 설치하여 유민안집을 극복하고자 하였다. 梁元俊 등의 사례를 보건대 감무는 초사외관직으로 운영되었음을 알 수 있다. 감무는 일반 주현의 초사외관직과 마찬가지로 입사방법에 구애받지 않고 모든 초입사자에게 제수될 수 있었다.
      1172년(명종 2)에 李俊儀에 의해 다시 한번 감무가 증파되었다. 기본적으로 감무의 임명은 예종대에 정해진 것과 다른 점이 없었는데, 일부 감무를 역임했던 사례 중에 무반가문의 자제, 國子監試 합격자, 가족구성원의 공훈으로 임명되기도 하였다. 또한 고종대 이후로 주⋅부⋅군 판관 및 현위가 혁파되어 초사외관직이 감축되었는데, 예종대와 명종대에 감무의 증치로 외관의 관할을 받는 군현이 증가하였기에 나타난 결과였다. 고려의 지방 지배는 감무 등 외관의 증치를 통해 점진적으로 1수령-1군현으로 변모하였다. 그러므로 감무의 성격은 단독 수령으로 바뀌었고, 이는 초사외관직의 변화를 가리키는 것이었다.
      계수관 판관과 일반 주현 수령은 참상직과 참외직의 계선에 위치한 관인에게 제수되는 관직이었다. 995년에 경⋅목⋅도호부의 직제가 마련되었고, 판관의 임명 기준도 이때 정해졌다고 여겨진다. 1018년에 계수관제가 정비되면서 판관은 경⋅목⋅도호부의 차관으로 존속하였다. 계수관 판관에는 참상직자와 참외직자 모두 나갈 수 있었는데, 참상직에 해당하는 경직을 겸대하도록 하여 지방 사회에서 그 지위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해주었다.
      일반 주현은 민정적 성격의 주⋅부⋅군⋅현과 군정적 성격의 방어진⋅진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주⋅부⋅군⋅방어진의 수령은 계수관 판관과 임명 조건에서 동일하였지만, 현⋅진의 수령은 다소 낮았다. 1018년 이전에 주⋅부⋅군⋅방어진의 수령은 이미 마련되어 있었고, 1018년 이후에는 가장 광범위하면서도 보편적인 관직이었다. 그러므로 이 관직에 충원할 관인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였다. 고려의 관인은 초사외관직을 비롯하여 권무직과 참외직을 역임하여 文과 吏에 대한 능력이 검증받았고 7품 이상 6품 이하에 이르게 되면 외관을 통해 참상직으로 승진할 기회를 부여받을 수 있었다.
      현령과 진장은 초사외관직 이상 8품 이하의 실직 경력을 보유한 관인에게 제수하였다. 이로 보면 현령과 진장은 초사외관직보다는 상위이지만, 계수관 판관 및 일반 주현 수령보다는 하위였음을 알 수 있다. 다만 󰡔高麗史󰡕 백관지 외직 및 식화지 외관록 등을 보면 현령과 진장은 초사외관직과 유사한 대우를 받고 있었다. 일반 주현 외관의 품질과 대우는 계수관 외관에 대응시키는 방법으로 정해졌다. 주⋅부⋅군 수령이 계수관 판관과 유사한 지위여야 했으므로, 현령과 진장은 그보다는 낮게 책정해야 했다. 따라서 현령과 진장의 품질을 6품 이상보다 한 단계 낮은 7품 이상으로 정했는데, 이것이 초사외관직의 품질과 동일하게 되는 현상으로 나타난 것이다. 다만 현령과 진장은 일반 주현 수령에 해당되므로 실제 임명에서는 초사외관직보다는 높게 하고 계수관 판관 및 일반 주현 수령보다는 낮게 했다고 여겨진다.
      계수관 판관과 일반 주현 수령의 임명 기준은 1308년(충선왕 복위)에 변화가 수반되었다. 먼저 주⋅부⋅군⋅현 중에서 부의 지위가 상승되었다. 이에 일반 주현은 주⋅군⋅현으로 고쳐졌다. 주⋅군의 수령은 6품 이상의 관인에게 제수된 반면, 현령은 신분적으로 하자가 있는 인물이 임명되기도 하는 등 일정한 변화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또한 판관과 현위가 폐지되어 일반 주현에는 수령만이 파견되도록 하여 1수령-1군현 체제로 바뀌어갔다.
      계수관 수령은 고려의 외관 중 가장 지위가 높은 관직이었다. 다만 경의 수령과 목⋅도호부의 수령 사이에 일정한 지위의 차이가 있었다. 지서경유수사와 東京留守使는 3품 관인에게, 서경부유수와 東京副留守는 4품 관인에게 제수되었다. 다만 南京留守와 南京副留守는 서경과 동경의 수령보다는 그 지위가 낮아 4~5품 관인에게 제수되는 차이를 보인다.
      목⋅도호부의 수령은 남경의 수령보다 근소하게 낮은 5~6품의 임명 기준을 지녔다. 그러므로 목⋅도호부 수령의 지위는 경의 수령보다 하위에 위치하였고, 참상직에 해당되는 관인에게 제수되었다. 다만 초사외관직과 계수관 판관 및 일반 주현 수령은 그 경력을 보유하면 다시 나가지 않았는데, 계수관 수령은 먼저 목⋅도호부에 다녀온 후 재차 경의 수령에 제수되었다. 이는 경의 수령과 목⋅도호부의 수령 사이에 계선이 있었음을 의미하며, 경이 가지는 상징성을 드러낸 것으로 여겨진다.
      계수관 수령의 변화는 고종대부터 본격화되었다. 주⋅부⋅군 중에 도호부로 승격되는 고을이 다수 등장하여 계수관의 양적 확대를 가져왔다. 또한 1308년에 지방제도가 개편되면서 서경⋅동경⋅남경을 平壤府⋅鷄林府⋅漢陽府로 바꾸고 목⋅도호부와 일부의 일반 주현을 모두 목으로 고쳤다. 또한 1310년에 또다시 일부 목을 부로 강등하였다. 이 과정에서 약 290년동안 유지되어왔던 고려 외관의 임명 기준이 모두 변화하였다. 府尹과 牧使는 3품 관인에게 검교재신을 겸대하도록 하고, 知府事에는 4품 관인을 파견한 것이다.
      이렇듯 고려의 외관 임용체계는 장기적으로 지속되었다는 특징을 지닌다. 비록 감무의 증치와 군현의 특례 승격 등의 변화가 따를 수 있는 요인도 있었지만, 1018년에 마련된 기본적인 운영원리는 충선왕대에 이르러서야 고쳐진 것이다. 고려는 국초부터 외관을 설치하고 중앙의 관인을 파견하여 지방을 통치하고자 하였다. 이것이 성종대와 현종대를 거쳐 제도적으로 완결성을 지닌 형태로 등장하게 된 것이다.
      다만 외관의 임명 기준에 부합하는 관인을 모두 지방에 파견한 것은 아니었다. 고려는 외관을 파견함에 있어서 효과적인 지방 통치를 구현하기 위해 적합한 인물을 꾸준히 선발하였다. 외관으로 파견할 중앙 관인을 선발하는 과정은 고위 관인이 임명 기준에 부합하는 관인을 천거하고 尙書吏部에서 銓注하여 批目을 작성해 국왕에게 결재를 요청하였다. 그리고 국왕이 외관 인사에 결재하여 외관의 임명이 이루어졌고, 마지막으로 臺諫의 署經을 거쳐야 했다. 이는 외관의 인사행정이 경관과 동일하게 이루어졌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므로 고려의 외관제는 경관제의 구조 안에서 운영되었다는 특징을 지니며 고려의 관인은 외관에 임명되는데 있어 거부하지 않았다.
      고려의 외관제는 무신집권기 이후로 문란해졌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외관의 인사에 직결되는 변화는 인사 적체 현상과 文武交差制를 꼽을 수 있는데, 이것이 당대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살펴보았다. 외관의 인사 적체는 초사외관직의 임명 과정에서 과거급제자에 한해 주로 나타났다. 이는 고려의 과거가 정기적으로 시행되고 또 급제 인원이 규정화되었기 때문이었다. 즉 고려전기에 과거는 필요에 따라 관인을 선발하기 위한 임용시험의 성격을 지녔다면, 무신집권기에 과거는 자격시험의 성격으로 전환되었다.
      문무교차제는 2인 이상의 외관이 설치된 고을에 적용되는 특성을 지녔다. 즉 文班과 武班이 함께 기용되어 지방을 통치해야 했던 것이다. 그러므로 감무가 파견된 고을을 제외한 모든 주현에 문무교차제가 적용되었다고 할 수 있다. 다만 초사외관직에는 무반이 파견된 사례가 전무하였다. 또한 계수관과 일반 주현에도 주로 문반 위주의 임명이 이루어졌다. 이는 문반이 행정적으로 무반보다 능했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그리고 무신집정은 지방에 대한 착취⋅수탈보다는 안정을 기하여 정권을 유지하려 하였다. 이러한 점으로 인하여 고려 외관 임용체계는 장기적으로 지속될 수 있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고려시대 外官의 임명 사례를 분석하여 任用體系의 大體를 밝히고 그 의미를 고찰하였다. 고려 외관은 京官에 조응하여 일정한 품질에 도달한 관인을 대상으로 임명하였다. 이에 ...

      본 연구는 고려시대 外官의 임명 사례를 분석하여 任用體系의 大體를 밝히고 그 의미를 고찰하였다. 고려 외관은 京官에 조응하여 일정한 품질에 도달한 관인을 대상으로 임명하였다. 이에 외관의 구조는 모두 3층으로 구성되어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初仕外官職은 초입사자에게 최초로 제수되는 외관직, 界首官 判官 및 일반 主縣 守令은 叅上職과 叅外職의 계선에 재임하고 있는 관인에게 제수되는 외관직, 그리고 界首官 守令은 6품 이상의 참상직에 재임하고 있는 관인에게 제수되는 외관직이었다. 이에 외관의 3층 구조의 성립⋅운영⋅변화를 살펴보았다.
      초사외관직은 성종대 京⋅牧⋅都護府에서 처음 운용되었다. 이는 995년(성종 14)에 王可道가 과거에 장원으로 급제하여 西京掌書記에 보임되었던 내용에서 비롯된다. 西京留守官에는 知西京留守事, 西京副留守, 西京留守判官, 司錄叅軍事, 掌書記, 法曹가 두어졌는데, 이중 사록참군사와 장서기를 과거급제자에게 제수한 것이다.
      과거급제자를 사록참군사⋅장서기에 보임한 이유는 고려가 거점을 중심으로 지방을 간접지배했기 때문이었다. 고려는 경⋅목⋅도호부를 거점으로 하여 외관을 중첩적으로 설치하였고, 사록참군사⋅장서기로 하여금 지방 향리와 긴밀히 행정을 담당하도록 하였다. 과거급제자는 문한의 능력이 검증된 사람들로 문서 행정에 능했다. 그러므로 그들을 사록참군사⋅장서기로 파견하게 되었다.
      초사외관직은 고려 지방제도가 완비되는 1018년(현종 9)에 일반 주현으로 확대되었다. 州⋅府⋅郡⋅防禦鎭의 判官과 縣⋅鎭의 縣尉⋅鎭副將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일반 주현의 초사외관직은 경⋅목⋅도호부의 초사외관직과 달리 과거급제자 뿐만 아니라 음서 출신 관인에게도 제수되었다. 이는 초사외관직의 양적 확대를 수반하였다.
      현종대 지방제도의 특징은 주현-속현 체제로 일컬어진다. 일반 주현도 거점으로 속현을 관할하였는데, 여기에 2인 이상의 외관이 중첩적으로 설치되었다. 일반 주현의 관할 범위 중에는 계수관에 준하는 경우도 있었다. 주⋅부⋅군⋅방어진의 판관과 현위⋅진부장은 사록참군사⋅장서기와 마찬가지로 지방 향리와 긴밀하게 행정 업무를 수행하였다. 이는 성종대 지방 통치 방식의 확대를 의미하였다.
      고려는 효과적인 지방 통치를 위해 모든 주현에 초사외관직을 설치하게 되었다. 다만 초사외관직은 초입사자에게도 기회로 작용하였다. 실직 경력과 행정 경험이 전무한 관인들은 외관에 임명되어 지방에 파견됨으로써 3년 동안 실적을 쌓을 수 있었다. 그리고 임기를 마치고 개경으로 돌아와 중앙 관인으로서 활동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였다. 즉 초사외관직의 성립과 확대는 정부의 입장에서는 효과적인 지방 통치를 가져올 수 있었고, 초입사자의 입장에서는 추후 개경에서 현달할 수 있는 기회로 여겨졌다.
      1106년(예종 1)에 정부는 속현에 監務를 설치하여 유민안집을 극복하고자 하였다. 梁元俊 등의 사례를 보건대 감무는 초사외관직으로 운영되었음을 알 수 있다. 감무는 일반 주현의 초사외관직과 마찬가지로 입사방법에 구애받지 않고 모든 초입사자에게 제수될 수 있었다.
      1172년(명종 2)에 李俊儀에 의해 다시 한번 감무가 증파되었다. 기본적으로 감무의 임명은 예종대에 정해진 것과 다른 점이 없었는데, 일부 감무를 역임했던 사례 중에 무반가문의 자제, 國子監試 합격자, 가족구성원의 공훈으로 임명되기도 하였다. 또한 고종대 이후로 주⋅부⋅군 판관 및 현위가 혁파되어 초사외관직이 감축되었는데, 예종대와 명종대에 감무의 증치로 외관의 관할을 받는 군현이 증가하였기에 나타난 결과였다. 고려의 지방 지배는 감무 등 외관의 증치를 통해 점진적으로 1수령-1군현으로 변모하였다. 그러므로 감무의 성격은 단독 수령으로 바뀌었고, 이는 초사외관직의 변화를 가리키는 것이었다.
      계수관 판관과 일반 주현 수령은 참상직과 참외직의 계선에 위치한 관인에게 제수되는 관직이었다. 995년에 경⋅목⋅도호부의 직제가 마련되었고, 판관의 임명 기준도 이때 정해졌다고 여겨진다. 1018년에 계수관제가 정비되면서 판관은 경⋅목⋅도호부의 차관으로 존속하였다. 계수관 판관에는 참상직자와 참외직자 모두 나갈 수 있었는데, 참상직에 해당하는 경직을 겸대하도록 하여 지방 사회에서 그 지위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해주었다.
      일반 주현은 민정적 성격의 주⋅부⋅군⋅현과 군정적 성격의 방어진⋅진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주⋅부⋅군⋅방어진의 수령은 계수관 판관과 임명 조건에서 동일하였지만, 현⋅진의 수령은 다소 낮았다. 1018년 이전에 주⋅부⋅군⋅방어진의 수령은 이미 마련되어 있었고, 1018년 이후에는 가장 광범위하면서도 보편적인 관직이었다. 그러므로 이 관직에 충원할 관인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였다. 고려의 관인은 초사외관직을 비롯하여 권무직과 참외직을 역임하여 文과 吏에 대한 능력이 검증받았고 7품 이상 6품 이하에 이르게 되면 외관을 통해 참상직으로 승진할 기회를 부여받을 수 있었다.
      현령과 진장은 초사외관직 이상 8품 이하의 실직 경력을 보유한 관인에게 제수하였다. 이로 보면 현령과 진장은 초사외관직보다는 상위이지만, 계수관 판관 및 일반 주현 수령보다는 하위였음을 알 수 있다. 다만 󰡔高麗史󰡕 백관지 외직 및 식화지 외관록 등을 보면 현령과 진장은 초사외관직과 유사한 대우를 받고 있었다. 일반 주현 외관의 품질과 대우는 계수관 외관에 대응시키는 방법으로 정해졌다. 주⋅부⋅군 수령이 계수관 판관과 유사한 지위여야 했으므로, 현령과 진장은 그보다는 낮게 책정해야 했다. 따라서 현령과 진장의 품질을 6품 이상보다 한 단계 낮은 7품 이상으로 정했는데, 이것이 초사외관직의 품질과 동일하게 되는 현상으로 나타난 것이다. 다만 현령과 진장은 일반 주현 수령에 해당되므로 실제 임명에서는 초사외관직보다는 높게 하고 계수관 판관 및 일반 주현 수령보다는 낮게 했다고 여겨진다.
      계수관 판관과 일반 주현 수령의 임명 기준은 1308년(충선왕 복위)에 변화가 수반되었다. 먼저 주⋅부⋅군⋅현 중에서 부의 지위가 상승되었다. 이에 일반 주현은 주⋅군⋅현으로 고쳐졌다. 주⋅군의 수령은 6품 이상의 관인에게 제수된 반면, 현령은 신분적으로 하자가 있는 인물이 임명되기도 하는 등 일정한 변화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또한 판관과 현위가 폐지되어 일반 주현에는 수령만이 파견되도록 하여 1수령-1군현 체제로 바뀌어갔다.
      계수관 수령은 고려의 외관 중 가장 지위가 높은 관직이었다. 다만 경의 수령과 목⋅도호부의 수령 사이에 일정한 지위의 차이가 있었다. 지서경유수사와 東京留守使는 3품 관인에게, 서경부유수와 東京副留守는 4품 관인에게 제수되었다. 다만 南京留守와 南京副留守는 서경과 동경의 수령보다는 그 지위가 낮아 4~5품 관인에게 제수되는 차이를 보인다.
      목⋅도호부의 수령은 남경의 수령보다 근소하게 낮은 5~6품의 임명 기준을 지녔다. 그러므로 목⋅도호부 수령의 지위는 경의 수령보다 하위에 위치하였고, 참상직에 해당되는 관인에게 제수되었다. 다만 초사외관직과 계수관 판관 및 일반 주현 수령은 그 경력을 보유하면 다시 나가지 않았는데, 계수관 수령은 먼저 목⋅도호부에 다녀온 후 재차 경의 수령에 제수되었다. 이는 경의 수령과 목⋅도호부의 수령 사이에 계선이 있었음을 의미하며, 경이 가지는 상징성을 드러낸 것으로 여겨진다.
      계수관 수령의 변화는 고종대부터 본격화되었다. 주⋅부⋅군 중에 도호부로 승격되는 고을이 다수 등장하여 계수관의 양적 확대를 가져왔다. 또한 1308년에 지방제도가 개편되면서 서경⋅동경⋅남경을 平壤府⋅鷄林府⋅漢陽府로 바꾸고 목⋅도호부와 일부의 일반 주현을 모두 목으로 고쳤다. 또한 1310년에 또다시 일부 목을 부로 강등하였다. 이 과정에서 약 290년동안 유지되어왔던 고려 외관의 임명 기준이 모두 변화하였다. 府尹과 牧使는 3품 관인에게 검교재신을 겸대하도록 하고, 知府事에는 4품 관인을 파견한 것이다.
      이렇듯 고려의 외관 임용체계는 장기적으로 지속되었다는 특징을 지닌다. 비록 감무의 증치와 군현의 특례 승격 등의 변화가 따를 수 있는 요인도 있었지만, 1018년에 마련된 기본적인 운영원리는 충선왕대에 이르러서야 고쳐진 것이다. 고려는 국초부터 외관을 설치하고 중앙의 관인을 파견하여 지방을 통치하고자 하였다. 이것이 성종대와 현종대를 거쳐 제도적으로 완결성을 지닌 형태로 등장하게 된 것이다.
      다만 외관의 임명 기준에 부합하는 관인을 모두 지방에 파견한 것은 아니었다. 고려는 외관을 파견함에 있어서 효과적인 지방 통치를 구현하기 위해 적합한 인물을 꾸준히 선발하였다. 외관으로 파견할 중앙 관인을 선발하는 과정은 고위 관인이 임명 기준에 부합하는 관인을 천거하고 尙書吏部에서 銓注하여 批目을 작성해 국왕에게 결재를 요청하였다. 그리고 국왕이 외관 인사에 결재하여 외관의 임명이 이루어졌고, 마지막으로 臺諫의 署經을 거쳐야 했다. 이는 외관의 인사행정이 경관과 동일하게 이루어졌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므로 고려의 외관제는 경관제의 구조 안에서 운영되었다는 특징을 지니며 고려의 관인은 외관에 임명되는데 있어 거부하지 않았다.
      고려의 외관제는 무신집권기 이후로 문란해졌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외관의 인사에 직결되는 변화는 인사 적체 현상과 文武交差制를 꼽을 수 있는데, 이것이 당대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살펴보았다. 외관의 인사 적체는 초사외관직의 임명 과정에서 과거급제자에 한해 주로 나타났다. 이는 고려의 과거가 정기적으로 시행되고 또 급제 인원이 규정화되었기 때문이었다. 즉 고려전기에 과거는 필요에 따라 관인을 선발하기 위한 임용시험의 성격을 지녔다면, 무신집권기에 과거는 자격시험의 성격으로 전환되었다.
      문무교차제는 2인 이상의 외관이 설치된 고을에 적용되는 특성을 지녔다. 즉 文班과 武班이 함께 기용되어 지방을 통치해야 했던 것이다. 그러므로 감무가 파견된 고을을 제외한 모든 주현에 문무교차제가 적용되었다고 할 수 있다. 다만 초사외관직에는 무반이 파견된 사례가 전무하였다. 또한 계수관과 일반 주현에도 주로 문반 위주의 임명이 이루어졌다. 이는 문반이 행정적으로 무반보다 능했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그리고 무신집정은 지방에 대한 착취⋅수탈보다는 안정을 기하여 정권을 유지하려 하였다. 이러한 점으로 인하여 고려 외관 임용체계는 장기적으로 지속될 수 있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초록 i
      • Abstract vi
      • 목차 xiv
      • 표 목차 xvi
      • 1. 서론 1
      • 초록 i
      • Abstract vi
      • 목차 xiv
      • 표 목차 xvi
      • 1. 서론 1
      • 1.1 연구사 정리와 문제 제기 2
      • 1.2 연구 방법과 논문의 구성 5
      • 2. 初仕外官職의 성립과 전개 22
      • 2.1 고려 외관제의 정비와 초사외관직의 성립 22
      • 2.2 초사외관직의 운영과 확대 29
      • 2.2.1 界首官의 초사외관직 29
      • 2.2.2 일반 主縣의 초사외관직 43
      • 2.3 監務의 설치와 초사외관직의 변화 57
      • 3. 界首官 判官 및 일반 主縣 守令 운영 78
      • 3.1 계수관 판관 임명과 특징 78
      • 3.2 일반 주현 수령 임명과 특징 94
      • 3.3 계수관 판관 및 일반 주현 수령의 구성과 임명 기준의 변화 105
      • 4. 界首官 守令의 운영과 변화 116
      • 4.1 西京⋅東京⋅南京 수령의 임명과 위계 116
      • 4.2 牧⋅大都護府⋅中都護府 수령의 임명과 위계 132
      • 4.3 계수관 수령의 변화 142
      • 5. 고려 외관 임용체계의 성격 156
      • 5.1 외관 임용체계의 성립과 인사행정의 전개 156
      • 5.2 외관 임용체계의 장기 지속성과 변화의 요인 169
      • 6. 결론 187
      • 참고문헌 191
      • 부록 199
      • A. 司錄叅軍事⋅掌書記 임명 사례 일람 199
      • B. 州⋅府⋅郡⋅防禦鎭 判官 임명 사례 일람 201
      • C. 縣尉⋅鎭副將 임명 사례 일람 203
      • D. 監務 임명 사례 일람 204
      • E. 縣令⋅鎭將 임명 사례 일람 205
      • F. 界首官 判官 임명 사례 일람 207
      • G. 州⋅府⋅郡⋅防禦鎭 守令 임명 사례 일람 212
      • H. 都護府 守令 임명 사례 일람 221
      • I. 牧 守令 임명 사례 일람 222
      • J. 南京留守官 守令 임명 사례 일람 225
      • K. 東京留守官 守令 임명 사례 일람 226
      • L. 西京留守官 守令 임명 사례 일람 230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여유당, 윤경진, "null", null

      2 이진한, "null", 고려시대 守令職의 제수 자격 史叢 55, 2002

      3 이인재, "null", 고려 중후기 지방제 개혁과 감무 外大史學 3, 1990

      4 오치훈, "null", 高麗前期 직역계승과 田柴科의 구조 역사민속학 51, 2016

      5 윤경진, "null", 고려후기 先生案 자료를 통해 본 外官制의 변화 國史館論叢 101, 2003

      6 권희경, "고려의 사경", 글고운, 2006

      7 김갑동, "고려 현종 연구", 혜안, 2022

      8 허흥식, "고려의 과거제도", 일조각, 2005

      9 김만호, "강감찬과 귀주대첩", 한국중세사연구 31, 2011

      10 박경자, "고려시대 향리연구", 국학자료원, 2001

      1 여유당, 윤경진, "null", null

      2 이진한, "null", 고려시대 守令職의 제수 자격 史叢 55, 2002

      3 이인재, "null", 고려 중후기 지방제 개혁과 감무 外大史學 3, 1990

      4 오치훈, "null", 高麗前期 직역계승과 田柴科의 구조 역사민속학 51, 2016

      5 윤경진, "null", 고려후기 先生案 자료를 통해 본 外官制의 변화 國史館論叢 101, 2003

      6 권희경, "고려의 사경", 글고운, 2006

      7 김갑동, "고려 현종 연구", 혜안, 2022

      8 허흥식, "고려의 과거제도", 일조각, 2005

      9 김만호, "강감찬과 귀주대첩", 한국중세사연구 31, 2011

      10 박경자, "고려시대 향리연구", 국학자료원, 2001

      11 신안식, "고려의 三京과 國都", 한국중세사연구 39, 2014

      12 김윤곤, "한국 중세의 역사상", 영남대학교출판부, 2001

      13 변태섭, "高麗政治制度史硏究", 一潮閣, 1971

      14 김호동, "고려사회의 이모저모", 경인문화사, 2017

      15 윤경진, "고려 지방제도 성립사",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22

      16 강은경, "고려시대 호장층 연구", 혜안, 2002

      17 박용운, "高麗時代官階 官職硏究", 고려대학교 출판부, 1997

      18 김아네스, "高麗初期 地方支配와 使", 國史館論叢 87, 1999

      19 박종진, "고려시기 지방제도 연구",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17

      20 김용선, "편, , (속)고려묘지명집성", 한림대학교출판부, 2016

      21 임용한, "朝鮮前期守令制와 地方統治", 혜안, 2002

      22 노명호, "韓國古代中世古文書硏究 (上)", 서울대학교출판부, 2011

      23 김아네스, "고려 초기의 都護府와 都督府", 歷史學報 173, 2002

      24 최동녕, "고려 충선왕대 지방제도 개편", 역사와 담론 95, 2020

      25 김갑동, "고려 현종대의 지방제도 개혁", 한국학보 80, 1995

      26 김용선, "고려묘지명집성(개정3판) (상)", 한림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21

      27 박종진, "고려말⋅조선초 개성부의 위상", 東方學志 170, 2015

      28 박종진, "고려시기 계수관의 기능과 위상", 역사와 현실 56, 2005

      29 박재우, "고려시대 署經의 행정절차와 성격", 역사문화연구 36, 2010

      30 최연식, "고려시대 국왕문서의 종류와 기능", 國史館論叢 87, 1999

      31 김창현, "고려의 문인 김극기의 생애와 편력", 한국인물사연구 20, 2013

      32 박수찬, "고려전기 복시(覆試)의 시행과 기능", 역사와 현실 106, 2017

      33 김두향, "고려 현종대 정치와 이계(吏係) 관료", 역사와 현실 55, 2005

      34 윤경진, "고려전기 界首官의 운영체계와 기능", 東方學志 126, 2004

      35 김보광, "고려전기 재상의 임명과정과 宣麻儀", 역사와 실학 68, 2019

      36 박종기, "예종대 정치개혁과 정치세력의 변동", 역사와 현실 9, 1993

      37 김용선, "편, , 개정증보판 (속)고려묘지명집성", 한림대학교 지식미디어센터, 2023

      38 김병인, 이바른, "고려 명종대 감무 파견의 정치적 성격", 한국중세사연구 29, 2010

      39 박종기, "지배와 자율의 공간, 고려의 지방사회", 푸른역사, 2002

      40 이익주, "고려 충선왕대 정치운영과 정치세력 동향", 한국사론 29, 1993

      41 김보광, "고려전기 閣門의 역할과 국가의례상 의미", 東方學志 189, 2019

      42 윤경진, "高麗 성종 14년의 郡縣制 改編에 대한 연구", 韓國文化 27, 2001

      43 김윤지, "고려시대 승려 비직(批職)의 운영과 그 의미", 역사와 현실 115, 2020

      44 이강한, "1308~1310년 고려내 牧⋅府 신설의 내용과 의미", 韓國史硏究 158, 2012

      45 윤경진, "朝鮮初期 郡縣體制의 개편과 運營體系의 변화", 韓國史論 25, 1991

      46 이강한, "고려후기 외관(外官)의 신설⋅승격 및 권위제고", 한국사연구 171, 2015

      47 최은규, "고려 문종 16년 京畿 개편의 성격과 開城府의 위상", 한국중세사 연구 51, 2017

      48 박종기, "고려시대의 지방관원들―속관(屬官)을 중심으로―", 역사와 현실 24, 1997

      49 박재우, "고려후기 인사행정과 인사문서에 대한 비판적 검토", 韓國史硏究 162, 2013

      50 정요근, "고려에서 조선으로―여말선초, 단절인가 계승인가―", 역사비평 사, 2019

      51 최연주, "고려시대 金剛般若波羅密經 彫成 현황과 書誌的 성격", 石堂論叢 61, 2015

      52 최은규, "고려시대 현령(縣令)과 현위(縣尉)의 임명과 운영의 변화", 역사와 현실 124, 2022

      53 윤경진, "고려초기 지방제도 개편과 都護府 -安東 安南의 置廢와 移動", 한국중세사연구 27, 2009

      54 정병삼, "고려후기 불교 조영물의 발원 내용에 나타난 불교신앙의 경향", 사학연구 128, 2017

      55 정요근, "「고려 후기~조선 전기 수령 중심 군현 편제의 전개와 연속성」", 역사 비평 120, 2017

      56 박재우, "고려시기의 告身과 관리임용체계, 韓國古代中世古文書硏究 (下)",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0

      57 김성수, "기림사 소조비로자나불 腹藏 목판인쇄본 典籍에 관한 서지적 연구", 書誌學硏究 72, 2017

      58 홍민호, "고려⋅몽골 전쟁기 방호별감(防護別監)의 운영과 내륙 입보의 보완", 韓國史硏究 193, 2021

      59 윤경진, "高麗史 식화지(食貨志) 외관록(外官祿) 규정의 기준 시점과 성립 배경", 역사와 현실 78, 2010

      60 최은규, "고려시대 감무(監務)의 운영과 그 특징―임명 사례의 분석을 중심으 로―", 역사와 현실 118, 2020

      61 윤경진, "고려 태조대 군현제 개편의 성격―신라 군현제와의 상관성을 중심 으로―", 역사와 현실 22, 1996

      62 윤경진, "고려 界首官의 제도적 연원과 성립과정―9州⋅12牧과의 연결성을 중심으로―", 韓國文化 36, 2005

      63 윤경진, "고려전기 戶長의 기능과 外官의 성격―지방행정체계상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國史館論叢 87, 1999

      64 윤경진, "고려 숙종-의종대 태후 관향 승격의 의미―고려사 지리지 연혁의 보정을 겸하여", 국학연구 13, 2008

      65 강민경, "새롭게 확인된 高麗 墓誌銘 : 金龍軾 묘지명⋅上黨縣君 郭氏 묘 지명⋅閔脩 묘지명", 美術資料 96, 2019

      66 신서영, "공양왕대 ‘新定監務’의 정치적 성격―고려시대 監務 파견의 추이와 양상을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사학과 석사학위논문, 2019

      67 김호동, "고려무신정권시대 지방통치의 일단면―이규보의 전주목 사록겸장서 기의 활동을 중심으로―", 교남사학 3, 1987

      68 정요근, "12~15세기 지방 제도 개편의 전개와 그 역사적 의미―양광도 지역 의 고을 연혁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중세사연구 57, 2019

      69 정요근, "고려 중~후기 수령관의 증치와 고을 읍격 및 관격 변화의 역사성 ―경상도와 전라도 지역 분석을 중심으로―", 역사와 현실 120, 202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