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일제 강점기 교과서인 『보통학교 조선어독본』를 바탕으로 만든 심의린의 『보통학교 조선어사전』(1925)을 학습사전의 시각으로 분석하며 서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보통학...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일제 강점기 교과서인 『보통학교 조선어독본』를 바탕으로 만든 심의린의 『보통학교 조선어사전』(1925)을 학습사전의 시각으로 분석하며 서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보통학...
이 글은 일제 강점기 교과서인 『보통학교 조선어독본』를 바탕으로 만든 심의린의 『보통학교 조선어사전』(1925)을 학습사전의 시각으로 분석하며 서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보통학교 조선어사전』은 교과서에 쓰인 어휘를 바탕으로 만든 사전으로, 지금까지 조사된 결과 한국 사람이 편찬하여 단행본으로 출판한 최초의 한국어 학습사전이라 할 수 있다. 즉, 현재 초등 국어사전에 해당하는 일제 강점기 초등학교 학생들을 위한 학습사전인 것이다. 우선 2장에서는 심의린이 『보통학교 조선어사전』 자서와 범례에서 직접 밝힌 이 사전의 편찬 배경과 목적, 활용 방안에 대해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이러한 편찬 목적을 바탕으로 『보통학교 조선어사전』의 표제어와 그 외 미시 구조의 분석을 통해 이 사전이 학습사전으로서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 그리고 학습사전으로 기능하기 위해 어떠한 장치를 두고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이 사전이 편찬된 당시의 환경을 현대의 사전 편찬 환경과 동등하게 놓고 비교하기는 어렵지만, 편찬자가 직접 학습사전임을 표방하며 그 목적을 밝힌 만큼 학습사전으로 활용되기 위하여 다각도에서 나름의 노력을 취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and review Shim Eui-rin's Joseon Language dictionary of primary school (1925), which was based on the Joseon Language textbook of Primary School』, a textbook from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from the persp...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and review Shim Eui-rin's Joseon Language dictionary of primary school (1925), which was based on the Joseon Language textbook of Primary School』, a textbook from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from the perspective of a learner’s dictionary. Joseon language dictionary of primary school is a dictionary based on the vocabulary used in textbooks, and as a result of the survey so far, it can be said to be the first Korean language learner’s dictionary compiled and published in a book by Koreans. In other words, it is a learner’s dictionary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hich is currently the elementary Korean dictionary. First of all, in Chapter 2, we examined the background, purpose, and application plan of this dictionary, which Shim Eui-rin directly revealed in the autobiography and legend of 『Joseon Language Dictionary of Primary School』. Based on this purpose of compilation, Chapter 3 examines what characteristics this dictionary has as a learner’s dictionary and what other devices it has to function as a learner’s dictionary through the analysis of the heading and other microstructures of 『Joseon Language Dictionary of Primary School』. Although it is difficult to com pare the environment at the time this dictionary was compiled on an equal footing with the modern dictionary compilation environment,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compilation company has made its own efforts to be used as a learner’s dictionary as it claims to be a direct learner’s dictionary and has revealed its purpose.
케이팝 감성 표현의 사용 양상에 대한 말뭉치언어학적 연구 - 전문가 리뷰와 사용자 리뷰의 차이를 중심으로 -
『표준국어대사전』의 문법 계열어 검토 - 조사, 어미, 접사 표제어를 중심으로 -
국어사전에서의 형태 분석 정보 제시 방안 - 『표준국어대사전』을 중심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