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재미 작가 이창래의 소설 『영원한 이방인』을 대상으로 디아스포 라 여성들의 ‘서발턴’의 삶과 그들의 존재 방식을 고찰하였다. 남성 중심사회에서 억압의 형태로 존재하는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879075
2020
Korean
810
KCI등재
학술저널
39-70(32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재미 작가 이창래의 소설 『영원한 이방인』을 대상으로 디아스포 라 여성들의 ‘서발턴’의 삶과 그들의 존재 방식을 고찰하였다. 남성 중심사회에서 억압의 형태로 존재하는 ...
이 논문은 재미 작가 이창래의 소설 『영원한 이방인』을 대상으로 디아스포 라 여성들의 ‘서발턴’의 삶과 그들의 존재 방식을 고찰하였다. 남성 중심사회에서 억압의 형태로 존재하는 여성의 모습을 단순히 서술한 것이 아니라 남 성 중심으로 돌아가는 사회에서 피해자가 되는 여성을 대상으로 ‘서발턴’이 재현되는 양상을 살펴, 여성들이 어떻게 주변화에서 주체로 그들의 자리를 새 로이 배치할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파악하여 보았다. 이창래의 소설 『영원한 이방인』은 미국에서 이민 1세대의 부모를 둔 주인 공 2세 헨리를 통해 굴절된 한국문화와 자아정체성의 혼란과 위기, 백인지배 층이 세워놓은 높은 언어의 장벽으로 원어민의 길을 걷지 못하고 이방인으로 살아가는, 주류사회로부터 소외된 디아스포라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기에 여성 의 중층적이고 복합적인 존재 방식이 드러난다. 가야트리 차크라보르티 스피박은 하위 계층의 여성은 자신의 부당성을 주 장하고 표현하여도 남성이 중심이 되어 돌아가는 사회에서는 받아들여지지 않을뿐더러 서발턴의 말은 차단당한다고 하며 “하위 계층은 말할 수 없다”라 고 주장하는데 특히, 동양권이 아닌 서양이라는 공간에서의 삶은 더더욱 그러 하다는 것을 작품 속의 여성 인물들의 죽음이 증명한다. 여성 인물들은 종속 성에서 비롯되어진 자연스러운 남성들의 폭력으로 미국이라는 공간에서조차 현실감을 상실, 판단의 부재를 불러온다. 하지만 이런 상황 속에서 일상의 균 열로 주체로 거듭나고자 하는 저항의 의지를 통해 여성이 ‘하위주체’의 자리 에서 ‘주체’자로 거듭나는 그 가능성을 보여준다. 따라서, 본고는 스피박의 논문 「서발턴은 말할 수 있는가?(Can the subaltern speak?)」을 원용, 이창래의 『영원한 이방인』에 나타난 ‘서발턴’에 대하여 분석하여 디아스포라 여성들의 정체성을 구명하는 데 그 의의를 둔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the lives of diaspora women in the novel “Native Speaker”, by Korean-American author Lee Chang-rae. I observed how women are victimized into becoming subaltern through a patriarchal society. In addition, I’ve deduced an answe...
This paper examines the lives of diaspora women in the novel “Native Speaker”, by Korean-American author Lee Chang-rae. I observed how women are victimized into becoming subaltern through a patriarchal society. In addition, I’ve deduced an answer as to how women can hope to rise above those circumstances. The struggles of living as a foreigner without native speaking skills and the issues caused by the obfuscation of Korean culture, self-identity, and language barriers, are all reflected through the protagonist Henry. This story of diaspora alienated from mainstream society reflects the multi-layered and complex reality of women’s struggle for equality. Gayatri Chakravorty Spivak said that even though women in the lower class may express their injustice, they aren’t fully equalized in a society where men are dominant. Moreover, a subaltern’s perspective is seen as one that cannot be validated. The death of female characters in the work especially proves that life in the Western world, is not so dissimilar from the East in this regard. The natural violence of men stemming from extreme independence comes with a toxic lack of judgment, even in the United States. However, in this situation where women are “sub-human”, they can be seen as “fully human” through resistance against cracks in daily life. Therefore, this paper is an extension of Gayatri Chakravorty Spivak’s thesis “Can the subaltern speak?”, and Lee Chang-rae’s “Native Speaker”. It’s crucial to analyze the subaltern shown in these works to understand the discrimination of diaspora women.
목차 (Table of Contents)
조선족 학습자를 위한 ‘정체성’교육 방안 연구 ― 허련순의 장편소설에 나타난 정체성 변화를 중심으로
‘이월가치’ 생산 조건으로서의 『창작과비평』(제1기)과 작품 연구33) ― 이호철, 서기원, 이청준, 방영웅의 첫 수록 작품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