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등학교와 대학교의 화학과 교육과정의 연계성에 대한 사례연구 - 대학생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 = A Case Study on the Connection between High School and University Chemistry Curriculum - Focusing on the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9453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2009 개정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화학과 대학교 일반화학의 연계성의 실제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을 분석하고, 고등학교와 대학교의 화학 교과의 연계성을 확보하기 위한 2015 개...

      본 연구에서는 2009 개정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화학과 대학교 일반화학의 연계성의 실제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을 분석하고, 고등학교와 대학교의 화학 교과의 연계성을 확보하기 위한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지향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 를 위하여 고등학교와 대학교의 화학과 교육과정을 실제로 경험한 대학생 8명을 대상으로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그리고 일반화학 강의를 수강한 대학생 7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결과를 연구 자료로 활용하여 연구문제를 비교 및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 다수의 학생들은 ‘점수를 잘 받기 위해서’ 혹은 ‘고등학교에서 수강인원이 적은 과목을 개설해주지 않았기 때문에’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화학Ⅱ를 선택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 결과 대학생들이 대학교의 일반화학을 학습하는 데에 있어서 큰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대학생들은 의도된 교육과정에서 고등학교 화학과 대학교 일반화학의 연계성이 있는 것으로 인식한 반면, 실행된 교육과정에서 고등학교와 대학교 사이의 화학의 연계성은 부족한 것으 로 인식하였다. 마지막으로, 대학생들은 문제풀이 위주의 학습을 하던 고등학교와 개념 중심의 학습을 하는 대학교 사이에서 큰 괴리감을 느끼고 있었으며, 고등학교과정 중에 심층적인 개념학습이 필수적임을 언급하였다. 본 연구는 2015 개정 과학 과 교육과정에 대한 화학과 대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였을 뿐 아니라 고등학교 화학과 대학교 일반화학의 내용에서 대학생들이 어렵게 생각하는 단원을 수직적 연계성과 수평적 연계성 측면으로 분석했다는 점에서 기존의 연구들과 차별성을 지닌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of the connection between high school chemistry and general chemistry i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o secure th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of the connection between high school chemistry and general chemistry i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o secure the connection between high school chemistry and general chemistry. For this purpose, a case study was conducted for eight university students who had studied high school chemistry and general chemistry. And responses from 75 university students were reviewed and compared according to the research questions. As a result, many high school students do not choose Chemistry Ⅱ in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CSAT) because they try to get good scores and high school did not support classes to a small number of students. These results show that university students have significant difficulty in learning general chemistry at universities. Also, university students recognized the connection between high school chemistry and general chemistry in the intended curriculum, while university students perceived the lack of connection between chemistry and general chemistry in the implemented curriculum. Finally, university students felt a big gap between high school with problem-solving learning and university with concept-focused learning, and mentioned that in-depth conceptual learning is essential during high school courses. This study is different from previous studies in that it examined the perceptions of chemistry students on the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and also analyzed the units that university students find difficult in the content of high school chemistry and university general chemistry in terms of vertical and horizontal connec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상은, "학교교과 지식의 선정과 조직 과정에 나타난 구조주의적 사유에 대한 비판적 고찰: 2009 개정 과학과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학회 31 (31): 173-199, 2013

      2 이윤하, "통합개념을 중심으로 한 싱가포르, 캐나다와 미국의 과학교육과정 내용 요소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34 (34): 21-32, 2014

      3 정완호, "초중고등학교 생물 영역에서 공통실험 내용의 연계성에 관한 연구" 19 (19): 11-26, 1991

      4 손민호, "초등 과학과 교육내용 제시방식을 중심으로 본 초중등간 교육과정 연계성 고찰" 교육연구소 5 (5): 159-181, 2004

      5 김진숙,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연계성에 대한 국제비교"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3

      6 박근희, "초·중·고등학교 생물영역의 연계성 연구"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7 국동만, "초·중·고등학교 과학 과정 중 기상학 내용의 개념 연계성 분석" 20 (20): 9-27, 2004

      8 송순희, "초·중 교과서 기하영역 연계성" 30 (30): 125-148, 1991

      9 유기웅, "질적 연구방법의 이해" 박영사 2018

      10 조용환, "질적 연구 : 방법과 사례" 교육과학사 1999

      1 이상은, "학교교과 지식의 선정과 조직 과정에 나타난 구조주의적 사유에 대한 비판적 고찰: 2009 개정 과학과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학회 31 (31): 173-199, 2013

      2 이윤하, "통합개념을 중심으로 한 싱가포르, 캐나다와 미국의 과학교육과정 내용 요소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34 (34): 21-32, 2014

      3 정완호, "초중고등학교 생물 영역에서 공통실험 내용의 연계성에 관한 연구" 19 (19): 11-26, 1991

      4 손민호, "초등 과학과 교육내용 제시방식을 중심으로 본 초중등간 교육과정 연계성 고찰" 교육연구소 5 (5): 159-181, 2004

      5 김진숙,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연계성에 대한 국제비교"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3

      6 박근희, "초·중·고등학교 생물영역의 연계성 연구"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7 국동만, "초·중·고등학교 과학 과정 중 기상학 내용의 개념 연계성 분석" 20 (20): 9-27, 2004

      8 송순희, "초·중 교과서 기하영역 연계성" 30 (30): 125-148, 1991

      9 유기웅, "질적 연구방법의 이해" 박영사 2018

      10 조용환, "질적 연구 : 방법과 사례" 교육과학사 1999

      11 정화숙, "중등 교과서 광합성 영역의 실험(관찰)에 대한 연계성 분석" 29 (29): 230-238, 2001

      12 박정연, "제7차 교육과정의 연계성 분석과 행정적 지원방안"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00

      13 황윤세, "유치원과 초등학교의 새 교육과정에 대한 통합적 관점에서의 연계성 분석" 한국유아교육학회 32 (32): 321-345, 2012

      14 유영의,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의과학교육과정의 구성 및 내용의 연계성 분석" 한국유아교육학회 33 (33): 241-265, 2013

      15 백성혜, "유아, 초등, 중등 과학교육과정의 연계성 분석을 위한 도구 개발" 20 (20): 262-273, 2000

      16 송순희, "수학 및 과학 교과내용의 연계성 분석을 위한 준거모형 설정과 예시적 분석" 11 (11): 119-131, 1991

      17 김현경, "대학수학능력시험 화학 I 문항 분석 및 학생과 교사의 인식 조사를 통한 화학 I 응시자 감소 원인 분석" 대한화학회 61 (61): 378-387, 2017

      18 문숙희, "대학교 일반화학과 고등학교 화학 I, 화학 II 교과의 연계성 및 일반화학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조사" 대한화학회 55 (55): 112-123, 2011

      19 이보경, "대학 일반화학 교과과정 변화의 쟁점과 함의" 한국교양교육학회 12 (12): 341-361, 2018

      20 김동현, "국가 수준 과학과 교육과정의 입자 관련 내용 국제 비교"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31 (31): 164-176, 2012

      21 안미경, "과학과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중등학교 화학 내용 비교 및 계속성에 관한 연구"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61 (61): 871-899, 2013

      22 이재봉, "과학과 교육 내용 개선을 위한 교육과정 내용 관련 쟁점 분석" 과학교육연구소 34 (34): 140-154, 2010

      23 홍미영, "과학 교사와의 면담을 통해 알아 본 과학 선택 중심 교육과정의 운영 실태" 한국과학교육학회 30 (30): 609-620, 2010

      24 서영은, "고등학교 화학교과와 대학교 일반화학의 연계성 연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25 송민아, "고등학교 화학Ⅰ과 대학교 일반화학의 연계성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26 양혜란, "고등학교 화학II 선택과목 이수가 대학 일반화학의 전기화학 관련 개념의 이해에 미치는 영향: 화학전지를 중심으로" 대한화학회 61 (61): 34-44, 2017

      27 박현주, "고등학교 화학 I, II 수업에 대한 학생의 인식 조사" 대한화학회 61 (61): 369-377, 2017

      28 송신철, "고등학교 융합형‘과학’과목 운영에 대한 고등학생과 과학 교사의 인식 조사 연구" 과학교육연구소 36 (36): 130-138, 2012

      29 김남희, "고등학교 융합형 과학의 학습내용과 사범대학 예비과학교사 교육내용과의 연관성 분석을 통한 예비과학교사교육에 대한 시사점 고찰" 한국과학교육학회 35 (35): 363-374, 2015

      30 박현주, "고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 개발과 적용을 위한현안 제시 및 실태 분석" 교육연구소 23 (23): 281-314, 2017

      31 이보경, "고등학교 과학 심화선택과목 이수여부와 대학 과학 교과목의 학업성취도" 한국교육과정학회 26 (26): 191-210, 2008

      32 Denzin, N. K., "The research act: a theoretical introduction to sociological methods" Butterworths 1970

      33 Saldaña, J., "The coding manual for qualitative researchers" Sage 2009

      34 Stake, R., "The art of case study research" Sage 1995

      35 Boujaoude, S. B., "Relationships between achievement and selective variables in a chemistry course for nonmajors" 94 (94): 296-, 1994

      36 Merriam, S. B., "Qualitative research: A guide to design and implementation" Jossey-Bass Inc 2015

      37 Merriam, S. B., "Qualitative research and case study applications in education" Jossey-Bass Inc 1998

      38 DeMarris, K., "Qualitative interview studies: Learning through experience" Lawrence Erlbaum 2004

      39 Creswell, J. W.,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 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 Sage 2012

      40 Oxtoby, D. W., "Principles of Modern Chemistry" SciPlus 2008

      41 Wolcott, H. F., "Posturing in qualitative inquiry" Academic Press 1992

      42 Corwin, C. H., "Introductory Chemistry–Concepts & Connections" Tamgudang 2006

      43 박종윤, "Identification of College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Thermodynamic Aspects Regarding the Dissolution of Solids and Gases" 대한화학회 52 (52): 186-196, 2008

      44 Ginsburg, H. P.,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Wiley 401-476, 1998

      45 Chang, R., "General chemistry: the essential concepts" McGraw-Hill 2008

      46 Ebbing, D. D., "General Chemistry" KyoboBook 1998

      47 Hein, M., "Foundations of college chemistry" Wiley 2009

      48 Tai, R. H., "Factors influencing college science success" 36 (36): 52-56, 2006

      49 Glaser, B. G., "Discovery of grounded theory : Strategies for qualitative research" Routledge 1967

      50 방담이, "Big idea를 중심으로 한 통합형 과학 교육과정 틀 설계" 한국과학교육학회 33 (33): 1041-1054, 2013

      51 신소연,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과학탐구실험’ 실행에 대한 사례연구 -문화역사적 활동이론(CHAT) 측면에서의 이해-" 한국과학교육학회 38 (38): 885-899, 2018

      52 교육부, "2015 개정 교육과정. 고시 제2015-74호"

      53 김현경,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적용에 대한 초⋅중학교 교사의 인식과 요구" 한국과학교육학회 37 (37): 103-112, 2017

      54 강근순, "2009개정 과학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과학의 운영 실태 및 과학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19 (19): 73-84, 2013

      55 정은영,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과학과 교육과정 적용과 질 관리 방안에 관한 초‧중학교 교사의 인식" 과학교육연구소 36 (36): 354-368, 2012

      56 김하나,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화학Ⅱ와 대학교 일반화학의 연계성 연구"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57 교육과학기술부, "2009 개정 교육과정. 고시 제2009-41호"

      58 엄희숙, "2009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융합형 과학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및 수업 운영 실태조사"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7 (7): 203-213, 2014

      59 심재호,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과학 선택 과목에 대한 고등학생의 인식 조사" 과학교육연구소 39 (39): 133-150, 2015

      60 신영옥, "2009 개정 고등학교‘과학’의 운영 실태와 교사들의 인식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 32 (32): 1599-1612, 2012

      61 심재호, "2009 개정 고등학교 융합과학의 실행에 대한 교사의 인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7 (17): 53-76, 2014

      62 송신철, "2009 개정 고등학교 과학 과목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인식 조사 연구" 한국생물교육학회 42 (42): 467-477, 2014

      63 왕석순,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실과(기술·가정) 교과의 초·중·고등학교 학년 간 연계성 분석 - ‘인간발달과 가족’ 영역을 중심으로 -"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4 (24): 1-20,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7 1.42 1.436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