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교양중국어 학습자의 중국어 말하기 효능감 양상을 살펴보고 말하기 효능감과 수업 활동 선호도의 관계를 밝히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학습자의 말하기 효능감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교양중국어 학습자의 중국어 말하기 효능감 양상을 살펴보고 말하기 효능감과 수업 활동 선호도의 관계를 밝히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학습자의 말하기 효능감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교양중국어 학습자의 중국어 말하기 효능감 양상을 살펴보고 말하기 효능감과 수업 활동 선호도의 관계를 밝히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학습자의 말하기 효능감 특징과 양상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학습자 변인에 따른 중국어 말하기 효능감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중국어 말하기 효능감이 수업 활동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반적으로 말하기 효능감은 비교적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학습자들은 어려운 중국어 발음에 도전하는 것을 즐기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에 문법을 정확하게 사용해서 말하는 효능감은 가장 낮았다. 둘째, 전체적으로 남학생과 여학생 간의 말하기 효능감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일부 문항에는 차이가 나타났다. 여학생은 남학생보다 중국어로 말할 때 실수하는 것에 대한 두려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선생님이 발표를 시키는 상황에서 더 많은 불안감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체 말하기 효능감과 모든 수업 활동 선호도 문항에서 유의미한 관계가 나타났다. 즉 중국어 말하기 효능감과 말하기 수업 활동 선호도 간의 상관관계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대학 교양중국어 학습자의 중국어 말하기 효능감 양상을 살펴보고 말하기 효능감과 수업 활동 선호도의 관계를 밝혔다는 데 의미가 있겠다. 다만, 숙달도, HSK 등급 등 변인을 고려하지 못하였다는 한계가 있어 일반화하기에는 제약이 따를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가 대학 교양중국어 학습자의 중국어 말하기 교육에 미약하나마 일정한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atterns of Chinese speaking self-efficacy among college students enrolled in general Chinese courses and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peaking self-efficacy and preferences for classroom activities. To achieve th...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atterns of Chinese speaking self-efficacy among college students enrolled in general Chinese courses and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peaking self-efficacy and preferences for classroom activities. To achieve this, we first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and trends of learners' speaking self-efficacy. Next, we explored differences in speaking self-efficacy based on learner variables. Finally, we investigated whether speaking self-efficacy influences students' preferences for classroom activities. The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overall Chinese speaking self-efficacy was relatively high, with learners particularly enjoying the challenge of mastering difficult Chinese pronunciation. However, their self-efficacy in speaking with grammatically accurate sentences was the lowest. Second, while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peaking self-efficacy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overall, certain individual aspects showed variation. Female students exhibited a greater fear of making mistakes when speaking in Chinese compared to male students and experienced higher levels of anxiety when asked to speak by the teacher. Third, a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overall speaking self-efficacy and all aspects of classroom activity preferences. This suggests that learners with higher speaking self-efficacy are more inclined to prefer speaking-related classroom activitie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xplores the patterns of Chinese speaking self-efficacy among college learners and reveals its impact on classroom activity preferences. The findings may provide valuable insights for the development of more effective Chinese speaking instruction.
2021-2023年中國網絡流行語硏究— 溯源、成因与社会心态映射
漢語趨向補語“起來”的引申用法再考察與教學建議— 基於電視新聞有聲話語