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제주도 김녕-월정 해안사구 지역의 환경 변화 연구 = (A) Study on environmental change of Gimnyeong-Woljeong coastal sand dune area in Jejudo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334735

      • 저자
      • 발행사항

        청원군: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08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DDC

        910.7

      • 발행국(도시)

        충청북도

      • 형태사항

        x, 120p.: 삽도; 26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 이민부
        참고문헌 : p.111-116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대구교육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부산교육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전주교육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제주한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국교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intended to examin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the sand dune whose inland is developed in Gimnyeong and Woljeong region among the coastal sand dunes of Jejudo, and to suggest the alternatives on a reasonable preservation plan of coa...

      This study is intended to examin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the sand dune whose inland is developed in Gimnyeong and Woljeong region among the coastal sand dunes of Jejudo, and to suggest the alternatives on a reasonable preservation plan of coastal sand dune through identifying a change of coastal sand dune's view caused by the change of land use and the problem of coastal sand dune management.]
      As the method of the study, a distribution range of sand dune was identified through 1:5000 topographical map, 1:25,000 topographical map, aerial photography and satellite photography of Gimnyeong and Woljeong region in Jeju-do. Then, the change of the land use and changed image of region's review were identified through a field research and literature survey including the photography by observation of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and an interview with residents and the authority's officials. In order to identify the change of the region's environment, an indoor survey and field survey was conducted including Jeju press's related contents and news articles together. Based on it, the problem and preservation plan of coastal sand dune management was reviewed and then alternatives were suggested.
      In terms of the characteristics of sand dune-related region, because the part of sand dune is destroyed by a road construction and sand is moved to the inland such as the road and farming land by the winter season's northwesterly wind, it not only gives inconvenience in the land use and life, but also brings about a damage of sand sweep of sand dune used as a beach. Also, the inland sand dune is severely damaged by the development of farming land, colony, private residence (pension house). In terms of the agriculture, Gimnyeong and Woljeong region was not good for farming because of too much sand in the past. But, because of the development of farming technique, the farm products such as a garlic, onion, sprout, carrot and sesame leaf is cultivated and it improves the farmers' revenues.
      In terms of the beach's sand sweep, the damage of coastal sand dune caused by the development business and an erosion caused by a cement retaining wall construction or breakwater construction was analyzed as the biggest cause. Such phenomenon has been expanded to all coasts of Jeju-do. Because of the development in the coastal area and an installation of artificial facility, the quantity of sand moved to the seabed by waves is more than the quantity of sand accumulated in the sand dune. Also, while the sand dune's sand is moved to the inland by wind, a balance of sand accumulation in the sand dune, sand beach and sand ridge is broken.
      In terms of the impact of human meddling in the stabilized inland sand dune, there is the change of region caused by the development of coastal. road, pension house and restaurant. In the environmental change caused by the road construction, there are the damage of Got-ja-Wal, a reduction of wild animal passage, increase of the coast's low area flooding damage, the damage of coastline which is a tourism resource, the damage of ecological environment and the increase of natural disasters. In particular, because the coastal road and bypass in the coastal sand dune were constructed by blocking rivers to be drained at a localized heavy rain, it brought about the damage of village flooding. As the flooding and sweep of roads, houses and farming lands by guerilla heavy rain which is repeated per several years becomes severe, a necessity of the coastal sand dune preservation which functions as the natural drainage has become more stressed.
      Recognizing the coastal sand dune as the useless land and installing the concrete bank in the coastal sand dune without recognizing the fact that the coastal sand dune plays the big role in protecting the hinterland from typhoon & waves and maintaining the coastal area's underground water seems to be the result caused by not recognizing the environmental mechanism of the coastal sand dune. As the method for solving such problem, the coastal sand dune of high ecological value must be absolutely preserved through recognizing the geographical structure of coastal sand dune. If the region is unavoidably developed, the development must be done by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This study means to suggest the method to restore and maintain the damaged coastal sand dune. When the region's residents attempt to preserve the coastal sand dune and the government's support & civil organization's concerns are given, the coastal sand dune will seem to give helps to the regional society and residents' life as the future natural heritage to be continuable for a long ter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제주도의 해안사구 중에서 생활에 대한 영향이 가장 탁월한 김녕․월정 지역을 사례로 하여 내륙쪽으로 발달한 사구의 지형적 특색을 살펴보고, 토지 이용의 변화로 인한 해안...

      이 논문은 제주도의 해안사구 중에서 생활에 대한 영향이 가장 탁월한 김녕․월정 지역을 사례로 하여 내륙쪽으로 발달한 사구의 지형적 특색을 살펴보고, 토지 이용의 변화로 인한 해안사구의 경관 변화와 해안사구 관리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합리적인 해안사구 보전방안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연구방법으로는 먼저, 제주도 김녕리와 월정리 일대의 1:5,000 지형도와 1:25,000 지형도 및 항공사진과 위성사진을 통해 사구의 분포 범위를 파악하였고, 다음으로 지형 특색 관찰을 통한 사진촬영과 주민들과 관광서 담당자 인터뷰 등의 현지조사와 문헌조사를 통해 토지 이용의 변화와 지역의 경관 변화 모습을 파악하였다. 지역 환경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제주지역 언론 보도의 관련 내용과 신문 기사 등의 실내조사와 현지조사를 병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해안사구 관리의 문제점과 보존방안을 검토하고 대안을 제시하였다.
      사구와 관련된 연구 지역의 특성을 살펴보면 도로 건설에 따라 사구의 일부를 훼손되면서 겨울철 북서풍에 의해 모래가 도로와 농경지 등 내륙으로 이동하면서, 토지이용과 생활에 불편을 줄 뿐만이 아니라 해수욕장으로 이용되는 사빈의 모래 유실의 피해도 가져오고 있다. 또한 내륙 사구도 농경지, 취락, 민박집(펜션) 등의 개발로 인해 나타나는 훼손이 심각한 편이다. 농업에 있어서는 상대적으로 김녕-월정은 과거에 모래가 너무 많아 농사짓기에 부적합한 땅이었으나, 근래에 들어와서 영농법의 발달로 마늘, 양파, 파, 홍당무, 깻잎 등의 밭작물을 재배하여 농가 소득을 올리고 있다.
      해수욕장의 모래유실을 살펴보면, 개발 사업으로 인한 해안사구의 훼손 및 시멘트로 옹벽을 쌓거나 방파제 축조로 인해 침식이 가중된 것이 가장 큰 원인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제주도내 전 해안으로 확대되고 있다. 해안지역에 대한 개발과 인공시설물의 설치에 따라 사빈의 모래가 사빈에 퇴적되는 양보다 파랑에 의해 해저로 이동되는 양이 많고, 또한 사빈의 모래들은 바람에 의해 내륙으로 이동되면서 사구, 사빈, 사퇴 간의 모래의 퇴적 균형이 깨어져서 일어나고 있다.
      안정된 내륙 사구에 대한 인간 간섭의 영향을 살펴보면, 먼저 해안도로, 펜션, 음식점 등의 개발로 인한 지역 변화를 들 수 있다. 도로 건설로 인한 환경 변화에는 곶자왈의 훼손, 야생동물 생태 이동 통로의 감소, 해안 저지대의 침수 피해 증가, 관광자원인 해안선의 훼손과 해안사구 등의 생태환경의 훼손, 자연재해의 증가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해안사구에 조성된 해안도로와 우회도로 등은 집중호우 시에 배수되는 하천들을 가로 막으면서 건설되어 마을의 침수 피해를 가져왔다. 게릴라성 폭우로 몇 년마다 반복되는 도로, 가옥, 농경지 침수 및 유실이 심각해짐에 따라 자연적인 침수와 배수 기능을 하는 해안사구 보전의 필요성이 더욱 증대되었다.
      해안사구가 태풍․해일로부터 배후지역을 보호하고 해안지역의 지하수 유지에 큰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인식하지 못하고 해안사구를 쓸모없는 땅으로 인식하여 해안사구에 콘크리트 제방을 설치하는 것은 해안사구의 환경적 메커니즘을 인식하여 못한 결과로 보인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해안사구의 자연지리적 구조를 인식하여, 생태적 가치가 큰 해안사구는 절대 보전토록 하고, 불가피한 개발에서도 최대한 지형에 적합하도록 하고, 훼손된 해안사구는 최대한 복원하고 관리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해안사구를 보전하려는 지역 주민의 자발적인 참여 태도와 정부의 지원 및 시민단체의 관심이 함께 할 때 해안사구는 장기적으로 지속가능한 미래의 자연유산으로 지역사회와 지역주민들의 생활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논문요약 = ⅷ
      • Ⅰ. 서론 = 1
      • 1. 연구배경과 필요성 = 1
      • 2. 연구동향 = 3
      • 3. 연구목적 = 6
      • 논문요약 = ⅷ
      • Ⅰ. 서론 = 1
      • 1. 연구배경과 필요성 = 1
      • 2. 연구동향 = 3
      • 3. 연구목적 = 6
      • 4. 연구방법 = 8
      • 5. 연구지역 개관 = 10
      • Ⅱ. 해안사구 이해와 개관 = 23
      • 1. 해안사구의 구조와 기능 = 23
      • 2. 국내 해안사구 분포현황 = 28
      • 3. 제주도 해안사구 분포현황 = 33
      • Ⅲ. 제주도 해빈과 해안사구의 지형 특색 = 36
      • 1. 해류의 흐름과 대륙붕 퇴적물의 이동 = 38
      • 2. 파랑의 작용 = 39
      • 3. 연안류의 작용에 따른 해빈의 형성 = 40
      • 4. 바람의 작용에 따른 해안사구의 발달 = 41
      • Ⅳ. 해안사구의 경관 변화 = 46
      • 1. 김녕-월정리 해안사구의 실태 = 46
      • 2. 해안사구의 모래 유실 = 59
      • 3. 토지 이용의 변화 = 71
      • 4. 해안사구 보전의 필요성 = 86
      • Ⅴ. 지역 환경 변화 = 90
      • 1. 제주행원풍력발전단지의 개발 = 90
      • 2. 해안도로, 펜션 등의 개발로 인한 변화 = 93
      • Ⅵ. 결론 = 109
      • 참고문헌 = 111
      • ABSTRACT = 11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