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통일 이후 북한지역의 지방자치를 위한 법ㆍ정책적 과제 = Legal policy challenge for the implementation of local autonomy in North Korea area after Korea unification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반도 통일과 함께 발생할 문제들을 미리 완벽하게 예측하고, 그에 따른 대응 방안과 법제도를 사전에 정비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 그러나 우리는 통일과정 전반에 걸쳐 예측되는 상황...

      한반도 통일과 함께 발생할 문제들을 미리 완벽하게 예측하고, 그에 따른 대응 방안과 법제도를 사전에 정비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 그러나 우리는 통일과정 전반에 걸쳐 예측되는 상황을 선제적으로 논의하고 가장 바람직한 해결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게을리해서는 안 된다. 왜냐하면, 분단국가로서 대한민국은 북한과의 관계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해야 하고 헌법적 요청을 차치하더라도 후손에게 분단국가의 아픔을 물려줄 수 없기 때문이다.
      통일 이후 북한지역 지방자치 시행은 통일한국의 주인으로서 자부심과 통일한국의 소속감을 높이는 핵심요소 중 하나이기 때문에 그 중요성에 관하여 다언을 요하지 않는다. 북한지역 주민은 과거 상명하복의 중앙집권적 행정체계에서 벗어나, 자신이 거주하는 지역의 행정대표를 선거를 통해 선출하거나 지역행정의 일정부분 스스로 결정하는 체계로 전환됨에 따라 통일한국의 주권자로서 지위를 피부로 느끼고 한반도의 전사회적 통합과 실질적 통합에 동참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3대에 걸쳐 강력한 중앙집권적 체제 하에서 살아온 북한지역 주민에게 현실적으로 효과적인 지방자치를 기대하는 것은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통일 이후 북한지역에 지방자치를 시행함에 따라 발생하는 문제들을 선제적으로 검토하여 이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
      통일 이후 북한지역의 지방자치제를 시행하는 것은 당연한 국가적 과제이다. 규범적 검토를 통해 확인했듯이 통일 이후 북한지역 지방자치의 시행은 자유민주적 기본질서와 민주적 기본질서에 의해 규범적 당위성이 도출되기 때문에 이를 배제 하거나 형해화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시행시기와 관련하여서는 규범적 논의와 정책적 논의를 통해 즉각적인 시행이 바람직하며, 그 전제로 북한지역의 특수한 상황을 고려한 수정된 지방자치제도가 필요하다. 또한, 북한지역 지방자치단체의 조직형태는 입법정책론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북한지역 공직자 중에서 행정의 전문성을 가진 북한 지방행정 공직자를 즉시 임용할 필요가 있다. 지방재정상 재 원 확보의 측면에서 북한지역 국유재산의 지방자치단체에로의 귀속가능성에 대해서는 독일의 사례를 중심으로 검토하였는데, 지방자치단체에서 직접적으로 사용하는 재산은 지방자치단체에 귀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직접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국유재산은 북한지역 재건을 위하여 사용하는 것을 전제로 중앙정부에 귀속할지 지방자치단체에 분배할지를 통일정책에 비추어 결정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북한지역 지방자치단체의 성공적 정착을 위한 해결기제로서 지방자치단체 간 교류협력이 필요하다. 즉, 서로 상이한 이데올로기와 정치체제 속에서도 남북한의 이질성을 극복하기 위한 수단으로 지방자치단체 간 교류협력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t is almost impossible to predict and resolve the issue of Korea unification in advance. However, we should not neglect to discuss the expected situation throughout the unification process and come up with the most desirable solution. Because the Rep...

      It is almost impossible to predict and resolve the issue of Korea unification in advance. However, we should not neglect to discuss the expected situation throughout the unification process and come up with the most desirable solution. Because the Republic of Korea should solve the problems related to North Korea and apart from constitutional requests, we can not pass on the same pain to our descendants. It is very important to implementation of local autonomy in North Korea area after unification because it is one of the key factors to feel a strong sense of belonging Unified Korea. However, it is difficult to expect effective local autonomy for North Korean area resident who have lived under a strong centralized regime for three generation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view and prepare for problems arising from the implementation of local autonomy in North Korea. It is an indispensable nation s challenge to implement local autonomy in North Korea area after unification. As confirmed by normative review, it is impossible to rule out or deregulate the implement local autonomy in North Korea area after unification. and it is desired that immediate implementation of revised local autonomy with consideration for the specific circumstances of the North Korean area. The organizational form of local governments in North Korea area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legislative policy theory. Public officials in North Korea with administrative expertise should be re-appointed immediately. However, they should be reeducated and not considered an exceptional reason for dismissal. It was reviewed based on the case of Germany whether national property is vested in local governments. Administrative property should be vested in local governments, and miscellaneous property should be decided by the unified government within the framework of reconstruction of the North Korean area. Finally, it is necessary to exchange and cooperate between the South Korea local governments and the North Korea local governments. If such exchange and cooperation is activated, local autonomy in North Korea area will be established as a succes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언
      • Ⅱ. 논의의 전제
      • Ⅲ. 북한 지방행정제도
      • Ⅳ. 통일 이후 북한지역 지방자치의 시행방안
      • Ⅴ. 통일 이후 북한지역 지방자치제의 시행과 법적 문제
      • Ⅰ. 서 언
      • Ⅱ. 논의의 전제
      • Ⅲ. 북한 지방행정제도
      • Ⅳ. 통일 이후 북한지역 지방자치의 시행방안
      • Ⅴ. 통일 이후 북한지역 지방자치제의 시행과 법적 문제
      • Ⅵ. 결 어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권영성, "헌법학원론" 법문사 2005

      2 김철수, "헌법학신론" 박영사 2013

      3 최대권, "헌법학강의" 1998

      4 한수웅, "헌법학" 2017

      5 성낙인, "헌법학" 법문사 2015

      6 김상겸, "헌법상의 남북관련조항에 관한 연구- 헌법 제3조와 제4조의 헌법해석론 관점에서 -" 한국헌법학회 10 (10): 221-241, 2004

      7 정태욱, "한반도 체제에 대한 제언: 자유민주적 통일에 대한 최소주의적 접근" 한국법철학회 15 (15): 109-138, 2012

      8 김철수, "통일헌법의 제정문제" 36 : 1997

      9 김병기, "통일한국의 행정조직통합을 위한 법⋅제도적 방안" 법학연구원 39 (39): 323-368, 2015

      10 라종일, "통일한국을 대비한 권력구조" (4) : 1996

      1 권영성, "헌법학원론" 법문사 2005

      2 김철수, "헌법학신론" 박영사 2013

      3 최대권, "헌법학강의" 1998

      4 한수웅, "헌법학" 2017

      5 성낙인, "헌법학" 법문사 2015

      6 김상겸, "헌법상의 남북관련조항에 관한 연구- 헌법 제3조와 제4조의 헌법해석론 관점에서 -" 한국헌법학회 10 (10): 221-241, 2004

      7 정태욱, "한반도 체제에 대한 제언: 자유민주적 통일에 대한 최소주의적 접근" 한국법철학회 15 (15): 109-138, 2012

      8 김철수, "통일헌법의 제정문제" 36 : 1997

      9 김병기, "통일한국의 행정조직통합을 위한 법⋅제도적 방안" 법학연구원 39 (39): 323-368, 2015

      10 라종일, "통일한국을 대비한 권력구조" (4) : 1996

      11 류지성, "통일이후 국가형태 및 정부조직에 관한 법제적 연구" 한국법제연구원 2017

      12 통일부, "통일독일과 한반도" 1990

      13 백운선, "통일국가의 정부 체계" (165) : 1995

      14 황선훈, "통일과 행정법: 통일한국 공직기관 통합의 일환으로 북한 공직자 처리문제" 국회도서관 2016

      15 김병기, "통일 후 북한지역 국유재산 해체를 위한 법적 방안" 행정법이론실무학회(行政法理論實務學會) (32) : 55-82, 2012

      16 송인호, "통일 후 북한 지역에서의 지방자치제도 실시에 관한 고찰" 한국지방자치법학회 16 (16): 215-235, 2016

      17 배성동, "통일 이후 사회통합을 위한 정치체제" 1 : 1998

      18 박해육, "통일 이후 구동독의 행정이행과 인력통합을 위한 인사정책 : 남북한 통일에 대비한 인력통합의 모색" 한국행정연구원 11 (11): 176-207, 2002

      19 김병기, "통독 후 구 동독 국영기업 등의 사유화와 공공재산의 귀속" 37 (37): 1996

      20 조성규, "참여정부의 행정분권법제에 대한 평가- 地方自治의 理念과 地方分權 -" 한국지방자치법학회 5 (5): 9-82, 2005

      21 이호용, "지방자치의 헌법적 보장에 관한 담론" 한국지방자치법학회 11 (11): 31-50, 2011

      22 방승주, "지방자치법제의 헌법적 접근" 한국지방자치법학회 6 (6): 31-64, 2006

      23 이기우, "지방자치법" 대영문화사 2007

      24 홍정선, "지방자치법" 박영사 2014

      25 박정훈, "지방자치단체의 자치권을 보장하기 위한 행정소송" 2001

      26 신봉기, "지방분권특별법의 제정방향" 3 (3): 2003

      27 김선택, "자유민주적 기본질서와 통일" 3 : 2017

      28 최진욱, "북한행정론" 명인문화사 2009

      29 김남식, "북한의 지방행정 실태와 강약점 분석" 국토통일원 1986

      30 임도빈, "북한의 지방행정 두텁게 이해하기 -시·군을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학회 24 (24): 1-29, 2012

      31 정경모, "북한법령집 제1권" 대륙연구소 1990

      32 임도빈, "북한 지방행정기관에 대한 연구: 지방인민위원회와 협동농장경영위원회를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소 53 (53): 133-158, 2015

      33 이계만, "북한 지방자치단체기관의 구성형태 및 의결기관 분석" 10 : 2003

      34 양현모, "독일통일의 경험이 남북한 체제통합에 주는 교훈 – 행정통합을 중심으로 -" 한국행정연구원 1997

      35 Siegfried, "독일통일과정에서의 법제통합과 시사점" 국민대학교법학연구소 2010

      36 심익섭, "독일통일과정에서 지방자치의 역할" 25 (25): 1992

      37 김병기, "독일통일과정에 있어 법 행정의 통합에 관한 연구" 36 (36): 1998

      38 김병기, "대한민국의 북한지역 관할권 확보의 법적 타당성과 남북한 법제통합의 기초" 2010

      39 이승우, "남북통일에 대응한 헌법적 대응" 4 : 1997

      40 장명봉, "남북예멘 통일헌법에 관한 연구 - 남북한 헌법구상을 위한 한 시도 -," 21 : 1993

      41 김남철, "구동독지역에서의 직업공무원제도의 시행" 28 (28): 2000

      42 김병기, "統一韓國의 법통합과 재산권문제" 한국토지공법학회 42 : 49-78, 2008

      43 이승우, "南北統一에 대비한 憲法改正의 必要性과 方向" 한국공법학회 39 (39): 231-254, 2010

      44 장용훈, "[통일경제] 한해 270일 “노력동원” 벌인 북한"

      45 Keller, "Verwaltungsreform und Verwaltungspolitik im Prozess der deutschen Einigung" 1993

      46 Maurer, "Staatsrecht Ⅰ" 2010

      47 Stein, "Staatsrecht" 2010

      48 Lange, Staatliches, "Handwörterbuch des politischen Systems der Bundesrepublik Deutschland" 1995

      49 Isensee, "Handbuch des Staatsrechts, Band Ⅱ" 2004

      50 Bundesministerium des Innern, "Anhang Materialien zur Deutschen Einheit und zum aufbau in den neuen Bundesländern"

      51 통계청, "2017 북한의 주요통계지표"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4 0.44 0.4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7 0.52 0.443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