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법은 공동체의 목적과 이를 실현하는 주체와 방법을 규정한다. 전통적으로 공동체의 목적으로 공동선 내지 공공복리가 주장되고 있다. 따라서 간단히 말하자면 헌법은 공공복리의 실현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76189340
2007
Korean
공공복리 ; 공권력 ; 기본권 ; 공동체 ; 공공복리구체화 ; Gemeinwohl ; offentliche Gewalt ; Grundrecht ; Gemeinwesen ; Gemeinwohlskonkretisierung
360
KCI등재
학술저널
3-35(33쪽)
1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헌법은 공동체의 목적과 이를 실현하는 주체와 방법을 규정한다. 전통적으로 공동체의 목적으로 공동선 내지 공공복리가 주장되고 있다. 따라서 간단히 말하자면 헌법은 공공복리의 실현에...
헌법은 공동체의 목적과 이를 실현하는 주체와 방법을 규정한다. 전통적으로 공동체의 목적으로 공동선 내지 공공복리가 주장되고 있다. 따라서 간단히 말하자면 헌법은 공공복리의 실현에 관한 법이다. 헌법상 공공복리는 기본권과 국가권력의 목적으로 이해되며, 기본권행사와 공권력행사의 정당성지표가 된다. 공공복리는 모든 국민이 존엄과 자유를 향유하면서 생존할 수 있기 위한 필요조건을 유지하거나 창출함에 기여하는 것의 총칭으로 이해된다. 헌법에는 결과지향형 공공복리개념도 들어 있지만, 과정중시형 공공복리개념이 보다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과정을 중시하는 경우에도 유용성원리에 지배받는 과정이 아니라 인간의 존엄과 자유의 원리를 존중하는 과정을 중시하는 의무론적 공공복리개념이 발견된다. 이로써 전체주의나 권위주의 모델의 공공복리개념과 구별된다. 끝으로 공공복리의 구체화 및 실현의 과정을 구성하는 요소로 이념 및 목적, 실현주체, 실현의 역사적 상황 및 현실적 제약조건을 제시하고 이들 상호간의 관계의 보편적 구조가 제시된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계희열, "헌법학(중)" 박영사 2004
2 한태연, "헌법학 - 근대헌법의 일반이론 -" 법문사 1983
3 나달숙, "헌법상 재산권의 보장과 한계" 한국토지공법학회 30 : 109-131, 2006.03
4 신기하, "헌법상 공공복리에 관한 연구"
5 정태호, "헌법 제23조 제2항의 해석론적 의의" 한국토지공법학회 25 : 575-579, 2005.02
6 김배원, "한국헌법상 토지재산권의 보장과 제한 - 헌법재판소 판례를 중심으로" 한국토지법학회 (20) : 17-35, 2005.03
7 이상영, "우리나라에서 재산권과 공공복리의 충돌에서 우월적 가치에 관한 연구" 충북대학교 법학연구소 8 (8): 91-127, 1997
8 김문현, "사회경제질서와 재산권" 법원사 2001
9 송동수, "독일에 있어 토지에 관한 공익과 사익의 조정" 한국토지공법학회 16 (16): 45-71, 2002.09
10 최창호, "공익의 본질" 한국행정학회 218-, 1973
1 계희열, "헌법학(중)" 박영사 2004
2 한태연, "헌법학 - 근대헌법의 일반이론 -" 법문사 1983
3 나달숙, "헌법상 재산권의 보장과 한계" 한국토지공법학회 30 : 109-131, 2006.03
4 신기하, "헌법상 공공복리에 관한 연구"
5 정태호, "헌법 제23조 제2항의 해석론적 의의" 한국토지공법학회 25 : 575-579, 2005.02
6 김배원, "한국헌법상 토지재산권의 보장과 제한 - 헌법재판소 판례를 중심으로" 한국토지법학회 (20) : 17-35, 2005.03
7 이상영, "우리나라에서 재산권과 공공복리의 충돌에서 우월적 가치에 관한 연구" 충북대학교 법학연구소 8 (8): 91-127, 1997
8 김문현, "사회경제질서와 재산권" 법원사 2001
9 송동수, "독일에 있어 토지에 관한 공익과 사익의 조정" 한국토지공법학회 16 (16): 45-71, 2002.09
10 최창호, "공익의 본질" 한국행정학회 218-, 1973
11 김영하, "공익의 개념에 관한 연구" 1 : 9-27, 1995
12 전인철, "공익에 관한 이론과 판단근거" 15 : 433-447, 1998
13 최송화, "공익개념의 법문제화 행정법적 문제로서의 공익" 40 (40): 27-52, 1999
14 황청일, "공공복리를 위한 형평적 정의" 청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7 (27): 22-51, 2005가을
15 이기철, "공공복리 내지 공익의 개념" 토지공법학회 18 : 147-189, 2003.06
16 Wolfgang Martens, "ffentlich als Rechtsbegriff" 1969
17 Wolfgang Martens, "ffentlich als Rechtsbegriff" 1969
18 Josef Isensee, "Gemeinwohl und Staatsaufgaben im Verfassungsstaat Isensee und P" 3-82,
19 Eberhard Grabitz, "Der Grundsatz der Verhltnismßigkeit in der Rechtsprechung des Bundesverfassungsgerichts"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3-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07 | 1.07 | 1.0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08 | 1.07 | 1.097 | 0.4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