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배경 및 목적) 도시의 심적 이미지를 가진다는 것은 도시를 이용함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도시를 이용할 때 도시의 심적 이미지를 필수적으로 사용하기 때문이다. 도시의 심적 이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634860
2023
Korean
Urban environment design ; Landmark ; Contrast with the background ; Mental image ; Memory ; 도시환경디자인 ; 랜드마크 ; 배경과의 대비 ; 심적 이미지 ; 기억
KCI등재
학술저널
267-278(12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배경 및 목적) 도시의 심적 이미지를 가진다는 것은 도시를 이용함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도시를 이용할 때 도시의 심적 이미지를 필수적으로 사용하기 때문이다. 도시의 심적 이미...
(연구배경 및 목적) 도시의 심적 이미지를 가진다는 것은 도시를 이용함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도시를 이용할 때 도시의 심적 이미지를 필수적으로 사용하기 때문이다. 도시의 심적 이미지는 도시의 환경 요소를 통해 형성되며, 그 중 랜드마크가 가장 주요한 요소이다. 그러므로 사람들의 마음속에 심적 이미지로 남을 수 있는 도시를 만들기 위해서는 랜드마크가 잘 기억될 수 있도록 디자인되어야 한다. 랜드마크는 배경과의 물리적인 대비와 의미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두 가지 특성은 랜드마크를 잘 보이게 하고 쉽게 알아볼 수 있게 하여 강한 이미지를 가질 수 있게 하는 한다. 따라서 랜드마크의 배경과의 물리적인 대비와 의미성이 심적 이미지 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밝힘으로 기억에 남는 도시를 위한 랜드마크를 디자인하는 이론적 토대를 제시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독립변수인 랜드마크의 특성을 배경과의 물리적인 대비와 의미성으로 독립변수의 수준으로 설정하였다. 조작적 정의로는 첫 번째 독립변수인 랜드마크와 배경과의 물리적인 대비를 색 대비의 유무(Vo, Vx)로 정리하였고, 두 번째 독립변수인 의미성은 배경과의 의미 대비로 동일의미(Lx)와 차이의미(Lo)로 설정하였다. 종속변수는 랜드마크의 심적 이미지 형성으로 조작적 정의는 기억의 과정 중 인출 방법인 자유 회상 기억과 재인 기억을 측정하였다. 자유 회상 기억은 회상의 가능 유무에 대한 수준으로 설문지 작성 여부로 확인하였고, 재인 기억은 심적 이미지가 올바르게 저장되었는지 확인하는 수준인 OX 테스트로 정답 빈도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실험 데이터는 통계 분석 프로그램인 R을 통해 Chi-Squared Test 동질성 검정으로 분석하였고 도출된 결과에 대해 디자인 관점에서 논의를 진행하였다. (결과)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자유 회상 기억에서는 배경과의 대비가 있는 랜드마크가 기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재인 기억은 배경과의 대비가 없는 랜드마크가 기억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서 재인 기억의 결과는 실험에서 생성된 변수로 인한 결과로 추후 실험설계를 다시 진행하여 가설에 대한 재검증이 필요하다. (결론) 본 연구는 도시의 심적 이미지 형성에 중요한 환경 요소인 랜드마크를 기억에 잘 남도록 설계하기 위한 디자인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랜드마크는 독립적인 디자인 요소를 갖추는 것이 아닌 도시 또는 주변 환경과의 물리적인 대비와 의미의 대비를 통해 상호작용하여 디자인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기억에 남는 랜드마크 설계를 위한 디자인 방향성을 제안하고 심적 이미지를 형성에 대하여 기억을 정량적 방법으로 측정한 것에 의의가 있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우현주, "작업기억훈련이 정신지체유아의 기억 전이에 미치는 효과"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2 이수진, "인포그래픽 시각 유형에 따른 인지 반응 비교 - 재인과 회상검사를 중심으로 -" 한국기초조형학회 20 (20): 367-378, 2019
3 박철현 ; 김주연 ; 황용섭, "랜드마크의 토폴로지를 통한 읽기 쉬운 도시이미지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6 (6): 43-52, 2011
4 공건령 ; 정진우, "랜드마크의 의미범주간 대비가 길찾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18 (18): 23-32, 2023
5 정진우, "길찾기 과정에서 랜드마크의 시각적·심리적 요소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14 (14): 79-92, 2019
6 이주화, "기억의 평가" 대한임상신경생리학회 2 (2): 161-167, 2000
7 Lynch, K, "The Image of the City" The MIT Press 1960
8 Cho, Jooyun., "Principles and Methodology of the Brain-Based Creativity Education" 27 : 115-141, 2001
9 Kang, Yoonhee, "Philosophical Investigation on Mental Images" The Graduate School of Ewha Womans University 2007
10 Lee, Kyumok, "Notes on the Environmental Perception and a Sense of Place" 24 (24): 54-56, 1980
1 우현주, "작업기억훈련이 정신지체유아의 기억 전이에 미치는 효과"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2 이수진, "인포그래픽 시각 유형에 따른 인지 반응 비교 - 재인과 회상검사를 중심으로 -" 한국기초조형학회 20 (20): 367-378, 2019
3 박철현 ; 김주연 ; 황용섭, "랜드마크의 토폴로지를 통한 읽기 쉬운 도시이미지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6 (6): 43-52, 2011
4 공건령 ; 정진우, "랜드마크의 의미범주간 대비가 길찾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18 (18): 23-32, 2023
5 정진우, "길찾기 과정에서 랜드마크의 시각적·심리적 요소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14 (14): 79-92, 2019
6 이주화, "기억의 평가" 대한임상신경생리학회 2 (2): 161-167, 2000
7 Lynch, K, "The Image of the City" The MIT Press 1960
8 Cho, Jooyun., "Principles and Methodology of the Brain-Based Creativity Education" 27 : 115-141, 2001
9 Kang, Yoonhee, "Philosophical Investigation on Mental Images" The Graduate School of Ewha Womans University 2007
10 Lee, Kyumok, "Notes on the Environmental Perception and a Sense of Place" 24 (24): 54-56, 1980
11 Lee, Angela, "Effects of Implicit Memory on Memory-Based Versus Stimulus-Based Brand Choice" 39 (39): 440-454, 2002
12 Kaplan, Stephen, "Adaptation, structure, and knowledge" Environmental Knowing -, 32-45., 1976
13 Choi, jun, "A Study on urban image utilizing cognitive map - Focusing on Cheongju City" 11 : 511-525, 2008
14 Kong, Gunryung, "A Study on the Effects of Visibility and Legibility of Landmarks on Wayfinding" University of Seoul Graduate School of Design 2023
15 Ok, Yunjong, "A Space of memory recnizing though visual congnition of image - Wae-Gwan Nack-Dong River Memorial" Hongik University Graduate School 2003
가변적 메커니즘 요소를 활용한 을지로 복합문화 공간디자인
지형·문화·인구 특성별 유사 국가와 국내 유니버설디자인 관련 법률 비교 분석
공간재생 마케팅 전략요소가 소비자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중국 폐공장 재생 복합문화공간 사례를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