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제 7차 교육과정에 근거한 과학과 교수・학습 과정안의 분석 = Analysis of the Science Teaching-Learning Lesson Plan Based on the 7th Curriculu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4818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학교 수업에서 교육과정의 이해 및 적용 실태를 알아보기 위해 시・도 교수학습지원센터와 서울특별시과학전시관 홈페이지에 게재되어 있는 교수・학습 과정안에 나타나는 교육과정 위계 오류의 유형을 조사하였다. 각 시・도 교수학습지원센터와 서울특별시과학전시관 홈페이지에 게재되어 있는 교수・학습 과정안을 이용하여 제 7차 교육과정을 토대로 오류 유형 분류틀을 제작하고, 교육과정 위계 오류의 유형별 횟수와 그 내용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연구 대상으로 분석한 교수・학습 과정안 모두 교육과정 위계 오류를 가지고 있었으며, 교육과정 위계 오류의 유형은 단원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학교 수업에서 교육과정의 이해 및 적용 실태를 알아보기 위해 시・도 교수학습지원센터와 서울특별시과학전시관 홈페이지에 게재되어 있는 교수・학습 과정안에 나타나는 ...

      본 연구에서는 학교 수업에서 교육과정의 이해 및 적용 실태를 알아보기 위해 시・도 교수학습지원센터와 서울특별시과학전시관 홈페이지에 게재되어 있는 교수・학습 과정안에 나타나는 교육과정 위계 오류의 유형을 조사하였다. 각 시・도 교수학습지원센터와 서울특별시과학전시관 홈페이지에 게재되어 있는 교수・학습 과정안을 이용하여 제 7차 교육과정을 토대로 오류 유형 분류틀을 제작하고, 교육과정 위계 오류의 유형별 횟수와 그 내용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연구 대상으로 분석한 교수・학습 과정안 모두 교육과정 위계 오류를 가지고 있었으며, 교육과정 위계 오류의 유형은 단원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error types of curriculum in the 'teaching-learning lesson plan' to know actual condition about the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curriculum at the school lesson. We made classification rubric based on the 7th curriculum using 'teaching-learning lesson plan' which is on the web site of support center for the teaching and learning at each city and province and Seoul Science Park. And investigated the number and the feature in each error type of the curriculum hierarchy. All the 'teaching-learning lesson plan' which was used for study had error in the curriculum hierarchy. The error type of the curriculum hierarchy was varied at the feature of lesson unit.
      번역하기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error types of curriculum in the 'teaching-learning lesson plan' to know actual condition about the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curriculum at the school lesson. We made classification rubric based on the 7th curricul...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error types of curriculum in the 'teaching-learning lesson plan' to know actual condition about the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curriculum at the school lesson. We made classification rubric based on the 7th curriculum using 'teaching-learning lesson plan' which is on the web site of support center for the teaching and learning at each city and province and Seoul Science Park. And investigated the number and the feature in each error type of the curriculum hierarchy. All the 'teaching-learning lesson plan' which was used for study had error in the curriculum hierarchy. The error type of the curriculum hierarchy was varied at the feature of lesson uni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노태희, "화학양론과 기체 상태에 대한 중・고등학생들의 오개념에 관한 연구" 43 (43): 564-577, 1995

      2 남정희, "화학반응의 본성에 대한 중·고·대학생들의 이해" 10 (10): 89-104, 2006

      3 성민웅, "한국 중등 과학과 학습 지도안의 구성 요소와 유형" 11 (11): 31-4, 1991

      4 한유화, "초등학교와 중학교 과학 교과서의 화학 영역에 대한 연계성과 중학생들의 화학 개념에 대한 인식 분석" 43 (43): 340-350, 1999

      5 교육부,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6 이근영, "초등학교 학교재량시간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관심도와 활용도 연구" 공주대학교 대학원 1996

      7 허미경, "초등학교 재량활동 운영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2

      8 장명덕, "초등예비과학교사들의 과학수업지도안 작성 전략 분석"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5 (25): 191-205, 2006

      9 윤송근, "체육교육과정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관심도와 활용도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1997

      10 김재헌, "체육교육과정에 대한 교사의 관심도와 활용도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7

      1 노태희, "화학양론과 기체 상태에 대한 중・고등학생들의 오개념에 관한 연구" 43 (43): 564-577, 1995

      2 남정희, "화학반응의 본성에 대한 중·고·대학생들의 이해" 10 (10): 89-104, 2006

      3 성민웅, "한국 중등 과학과 학습 지도안의 구성 요소와 유형" 11 (11): 31-4, 1991

      4 한유화, "초등학교와 중학교 과학 교과서의 화학 영역에 대한 연계성과 중학생들의 화학 개념에 대한 인식 분석" 43 (43): 340-350, 1999

      5 교육부,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6 이근영, "초등학교 학교재량시간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관심도와 활용도 연구" 공주대학교 대학원 1996

      7 허미경, "초등학교 재량활동 운영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2

      8 장명덕, "초등예비과학교사들의 과학수업지도안 작성 전략 분석"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5 (25): 191-205, 2006

      9 윤송근, "체육교육과정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관심도와 활용도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1997

      10 김재헌, "체육교육과정에 대한 교사의 관심도와 활용도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7

      11 김효남, "제7차 교육과정 적용에 따른 초등과학의 문제점 및 개선점" 한국교원대학교 부설 교과교육공동연구소 417-431, 2002

      12 김종희, "제7차 과학 교육과정에 대한 지구과학 교사들의 관심도와 활용도 분석" 한국지구과학회 24 (24): 378-392, 2003

      13 이기륜, "제6차 교육과정에 대한 국민학교 교사들의 관심도와 실행도" 경희대학교 대학원 1995

      14 김창하, "인터넷상의 물리 교수·학습 자료 활용과 공유 실태 분석" 부산대학교 2005

      15 김은주, "유치원 교사의 교육과정 관심단계에 따른 실행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1

      16 장현경, "수준별 수업에 대한 중학교 교사의 관심과 실행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1999

      17 최경숙, "물질의 상태와 상태변화에 대한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의 개념조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3

      18 김선경, "물질의 상태에 관한 중?고등학생들과 과학교사들의 분류 기준에 대한 유형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27 (27): 337-345, 2007

      19 김영미, "물질의 상태 관련 개념 조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6

      20 이양락, "국가 교육과정에 근거한 공통과학 평가 기준 및 평가 도구 개발 연구" 19 (19): 159-172, 1999

      21 조희형, "과학교육의 이론과 실제" 교육과학사 2006

      22 교육부, "과학과 교육과정"

      23 조희형, "과학 교수-학습" 교육과학사 1999

      24 황선경, "가정과 교사의 ICT 활용 수업에 대한 관심도와 실행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2

      25 Nakhleh,M.B, "Why some student don't learn chemistry?" 69 (69): 191-196, 1992

      26 Nurrenbern, S. C, "Concept learning versus problem solving; is there a difference?" 64 (64): 508-509, 1987

      27 Johnson,P, "Children's understanding of changes of state involving the gas state, part 1: Boiling water and the particle theory" 20 (20): 567-583, 1998

      28 구선아, "7학년 교과서의 확산현상 기술에 대한 분석과 과학교사들의 확산개념에 대한 이해도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 28 (28): 383-394,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6-0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9 1.03 1.544 0.5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