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여성 유방암 환자의 성생활 경험 = The Sexual Experiences of Women with Breast Canc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281560

      • 저자
      • 발행사항

        춘천 :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1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강원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 2011. 2

      • 발행연도

        2011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발행국(도시)

        강원특별자치도

      • 형태사항

        90 p. : 삽도 ; 26cm

      • 일반주기명

        강원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 소장기관
        • 강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강원대학교 의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South Korea there is a rapid increase in cases of female breast cancer every year, with 47.4 people out of 100,000 people being newly diagnosed according to statistics in 2007. Breast cancer is currently the second most common form of female cancer, and the survival rate for patients is gradually increasing. Due to the rise in survival rate for female breast cancer patients, the quality of life of a breast cancer survivor after the treatment is being recognized as an important health issue. Sex life is one of the barometers that gauges one's quality of life, and particularly for female breast cancer patients, who undergo mastectomy, sex is an important concept that determines the quality of life. In the case of female breast cancer patients, their sex life comes to a halt due to sexual dysfunctions such as infertility, colpoxerosis, early menopause, hyposexuality and etc. caused by surgery, chemotherapy, and radiation therapy. Only 55% of the patients resume their sex life 5~10 years after surgery and there are serious cases such as divorce due to sexual dissatisfaction. However, due to the medical staffs' apathy and lack of knowledge, and with discussing sex considered as a taboo, breast cancer patients are unable to openly seek help for sexual issues. Since the sex life of female breast cancer patients is extremely personal, a qualitative research through in-depth one-to-one talks in order to conduct a more in-depth investigation on the nature of such personal experiences is required.
      This research was conducted with the purpose of investigating the nature of the experience inherent in the sex life of a female breast cancer patient and understand the meaning behind it by adopting van Manen's ermeneutic phenomenology research method, which could clarify the universal and essential side of human phenomenon. The participants of this research are 10 female breast cancer patients who have been diagnosed with breast cancer 2 years ago, were married back then, are currently still married, and have completed chemotherapy and radioation therapy; the period of date collection is from March 2010 to September 2010. Through recording the conversation with the participants, meaningful topics were categorized, and essential topic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sub-division method; by consulting etymology, literature and art works, and phenomenological literature, this research has enhanced insight and understanding and referred them for phenomenological writing.
      There were 4 essential topics of the participants' sex life, 'sex life alert', 'precarious situation of a possible divorce', 'maturity through pleasure after pain', and 'leaving it unsettled'. 'Sex life alert', which appeared as the first essential topic, was a result of rapid sexual changes that were never experienced before being diagnosed with female breast cancer. These changes occur due to the breast being removed due to mastectomy, and change in hormonal balance due to chemotherapy and radiation theory. However, such changes become factors that threaten the pre-diagnosis sex-life. Within the first essential topic, themes such as the loss of sexual pleasure, evasion of sex life, and depression caused by loss of feminity. These are the most common statements regarding the female cancer patient's sex life, and act as factors that destabilize the stable sex life before the diagnosis.'Precarious situation of a potential divorce', the second essential topic, deals with the experience deterioration of sex life by being unable to overcome the first topic, 'sex life alert'. It deals with themes such as shunning the husband by deeming him as a patient, sexual humiliation caused by the husband, and extreme malice between the couple. The third essential topic, 'maturity through pleasure after pain', talks about the experience of discovering a positive solution to overcome the 'sex-life alert', thus leading to a stronger and more mature sexual relationship than before the diagnosis. Themes include positively accepting breast cancer, discovery of alternatives to overcome difficulties with sex life, stronger marriage due to support and consideration, and discovery of the role as an assistant to sex life.
      The fourth essential topic, 'leaving it unsettled', is the experience of not having any questions answered due to the lack of appropriate aid after diagnosed with breast cancer, thus ignoring the challenges faced. Themes include, lack of sexual knowledge regarding cure for breast cancer and demand for education, sexual difficulties with solutions yet to be discovered.
      Thus, by discovering the various meanings and structure of a female breast cancer patient's sex life, this study can be said to have investigated and reveal the essential truth. This study is meaningful by the fact that the above contents, extracted from the sexual experience of female cancer patients, an issue which the medical staffs are not concerned with, have discovered the problems with caring for this patients and provided knowledge that could aid to develop and provide an appropriate measure to care for these patients.
      번역하기

      In South Korea there is a rapid increase in cases of female breast cancer every year, with 47.4 people out of 100,000 people being newly diagnosed according to statistics in 2007. Breast cancer is currently the second most common form of female cancer...

      In South Korea there is a rapid increase in cases of female breast cancer every year, with 47.4 people out of 100,000 people being newly diagnosed according to statistics in 2007. Breast cancer is currently the second most common form of female cancer, and the survival rate for patients is gradually increasing. Due to the rise in survival rate for female breast cancer patients, the quality of life of a breast cancer survivor after the treatment is being recognized as an important health issue. Sex life is one of the barometers that gauges one's quality of life, and particularly for female breast cancer patients, who undergo mastectomy, sex is an important concept that determines the quality of life. In the case of female breast cancer patients, their sex life comes to a halt due to sexual dysfunctions such as infertility, colpoxerosis, early menopause, hyposexuality and etc. caused by surgery, chemotherapy, and radiation therapy. Only 55% of the patients resume their sex life 5~10 years after surgery and there are serious cases such as divorce due to sexual dissatisfaction. However, due to the medical staffs' apathy and lack of knowledge, and with discussing sex considered as a taboo, breast cancer patients are unable to openly seek help for sexual issues. Since the sex life of female breast cancer patients is extremely personal, a qualitative research through in-depth one-to-one talks in order to conduct a more in-depth investigation on the nature of such personal experiences is required.
      This research was conducted with the purpose of investigating the nature of the experience inherent in the sex life of a female breast cancer patient and understand the meaning behind it by adopting van Manen's ermeneutic phenomenology research method, which could clarify the universal and essential side of human phenomenon. The participants of this research are 10 female breast cancer patients who have been diagnosed with breast cancer 2 years ago, were married back then, are currently still married, and have completed chemotherapy and radioation therapy; the period of date collection is from March 2010 to September 2010. Through recording the conversation with the participants, meaningful topics were categorized, and essential topic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sub-division method; by consulting etymology, literature and art works, and phenomenological literature, this research has enhanced insight and understanding and referred them for phenomenological writing.
      There were 4 essential topics of the participants' sex life, 'sex life alert', 'precarious situation of a possible divorce', 'maturity through pleasure after pain', and 'leaving it unsettled'. 'Sex life alert', which appeared as the first essential topic, was a result of rapid sexual changes that were never experienced before being diagnosed with female breast cancer. These changes occur due to the breast being removed due to mastectomy, and change in hormonal balance due to chemotherapy and radiation theory. However, such changes become factors that threaten the pre-diagnosis sex-life. Within the first essential topic, themes such as the loss of sexual pleasure, evasion of sex life, and depression caused by loss of feminity. These are the most common statements regarding the female cancer patient's sex life, and act as factors that destabilize the stable sex life before the diagnosis.'Precarious situation of a potential divorce', the second essential topic, deals with the experience deterioration of sex life by being unable to overcome the first topic, 'sex life alert'. It deals with themes such as shunning the husband by deeming him as a patient, sexual humiliation caused by the husband, and extreme malice between the couple. The third essential topic, 'maturity through pleasure after pain', talks about the experience of discovering a positive solution to overcome the 'sex-life alert', thus leading to a stronger and more mature sexual relationship than before the diagnosis. Themes include positively accepting breast cancer, discovery of alternatives to overcome difficulties with sex life, stronger marriage due to support and consideration, and discovery of the role as an assistant to sex life.
      The fourth essential topic, 'leaving it unsettled', is the experience of not having any questions answered due to the lack of appropriate aid after diagnosed with breast cancer, thus ignoring the challenges faced. Themes include, lack of sexual knowledge regarding cure for breast cancer and demand for education, sexual difficulties with solutions yet to be discovered.
      Thus, by discovering the various meanings and structure of a female breast cancer patient's sex life, this study can be said to have investigated and reveal the essential truth. This study is meaningful by the fact that the above contents, extracted from the sexual experience of female cancer patients, an issue which the medical staffs are not concerned with, have discovered the problems with caring for this patients and provided knowledge that could aid to develop and provide an appropriate measure to care for these patien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나라 여성 유방암은 해마다 급격한 증가를 보여, 2007년 기준으로 인구 10만 명당 47.4명이 새롭게 진단을 받았고, 현재 여성암 중에 2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생존율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여성 유방암환자의 생존율 증가로 치료종료 후 유방암 생존자의 삶의 질이 무엇보다 중요한 건강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개인의 삶의 질을 측정하는 하나의 지표가 성생활인데, 특히 여성성의 상징인 유방을 절제하는 치료를 받는 유방암 여성들에게 성은 삶의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개념이다. 유방암 여성들의 경우 수술과 항암화학요법이나 방사선 치료 후 불임, 질건조증, 조기폐경, 성욕감소 등의 성기능 장애로 성생활을 중단하여, 수술 후 5~10년이 경과되면 55% 정도만이 다시 성관계를 재개하고 있으며 성적 불만족으로 인해 이혼을 하는 심각한 상황도 초래된다. 그러나 의료진의 무관심과 지식 부족, 성과 관련된 주제를 다루는 것을 불편해 함으로 인해 유방암 환자들은 공개적으로 성 관련 문제의 해결을 위한 도움을 요청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유방암 여성들의 성생활은 극히 개인적이고 사적인 경험이기에, 개인적인 경험의 본질을 더 심도 있게 탐색할 수 있는 일대일 심층면접을 통한 질적 연구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인간현상의 보편적, 본질적인 측면을 밝힐 수 있는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 방법을 통하여, 여성 유방암 환자의 성생활에 내재되어 있는 체험의 본질을 탐색하고 그 의미를 이해할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유방암을 진단받은 지 2년이 경과하고, 진단 당시 결혼 상태에 있었고, 현재에도 결혼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면서, 유방절제술과 항암화학요법 또는 방사선 치료가 완료된 10명의 여성 유방암 환자이며, 자료수집 기간은 2010년 3월부터 2010년 9월까지였다. 참여자와 면담내용을 녹취하여 세분법에 따라 의미 있는 주제를 분류하고 본질적 주제를 범주화하였으며, 어원, 문학 및 예술 작품과 현상학적 문헌을 참조하여 통찰력과 이해를 높여 현상학적 글쓰기에 참조하였다.
      참여자의 성생활 경험의 본질적 주제는 ‘성생활의 파랑주의보’, ‘이혼위기의 풍전등화’, ‘고진감래로 성숙함’, ‘미결로 덮어둠’ 등 4개로 나타났다. 첫 번째 본질적 주제로 나타난 ‘성생활의 파랑주의보’는 여성 유방암 환자가 유방암 진단 전에는 경험하지 못한 급격한 성적 변화들이 가져온 결과이다. 유방암 진단 후 수술로 유방을 상실함으로 인해, 항암화학요법 및 방사선 치료와 경구약물을 복용하면서 호르몬의 변화로 인해 새롭게 나타나는 것들인데, 이러한 성적인 변화들은 유방암 진단 전의 성생활을 위협하는 요소들로 작용을 하게 된다. 첫 번째 본질적 주제 안에는 성적 즐거움의 상실, 성생활 기피, 여성성의 상실로 인한 우울과 같은 주제가 포함되어 있다. 이는 여성 유방암 환자의 성생활 경험 중 가장 많이 진술된 부분으로, 진단 전 안정적이었던 성생활을 흔들어 놓는 인자들로 작용한다. 두 번째 본질적 주제인 ‘이혼위기의 풍전등화’는 첫 번째 본질적 주제인 성생활의 파랑주의보를 적절하게 극복하지 못함으로 인해, 성생활이 더 악화되어 나타난 경험으로 남편을 병인으로 여기고 밀어냄, 남편에게 받은 성적 수치심, 극으로 치달은 부부간 상처주기의 주제가 포함되었다. 세 번째 본질적 주제 ‘고진감래로 성숙함’은 첫 번째 본질적 주제인 성생활의 파랑주의보를 극복할 수 있는 긍정적인 대안을 발견하여, 부부 성생활이 유방암 진단 이전보다 더 돈독해지고 성숙해진 경험으로, 유방암을 긍정적으로 수용함, 성생활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 발견, 지지와 배려로 부부관계가 더 돈독해짐, 성생활의 조력자 역할 발견 등의 주제가 포함되었다. 네 번째 본질적 주제로 나타난 ‘미결로 덮어둠’은 유방암을 진단받고 적절한 도움을 받지 못해 궁금증도 해결하지 못하고, 닥친 어려움도 그대로 덮어두며 살고 있는 경험으로, 유방암 치료와 관련된 성지식 부족과 교육요구, 해결책을 찾지 못한 성적 어려움 등의 주제가 포함되었다.
      본 연구는 여성 유방암환자의 성생활 경험의 다양한 의미와 구조를 발견함으로써 본질적 실체를 규명하였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의료진의 관심밖에 있었던 여성 유방암 환자의 성생활 경험에서 도출된 위의 내용들은 간호 문제를 발견하고, 적절한 간호중재 개발에 도움이 되는 지식체 제공에 기여하였다는 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번역하기

      우리나라 여성 유방암은 해마다 급격한 증가를 보여, 2007년 기준으로 인구 10만 명당 47.4명이 새롭게 진단을 받았고, 현재 여성암 중에 2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생존율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우리나라 여성 유방암은 해마다 급격한 증가를 보여, 2007년 기준으로 인구 10만 명당 47.4명이 새롭게 진단을 받았고, 현재 여성암 중에 2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생존율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여성 유방암환자의 생존율 증가로 치료종료 후 유방암 생존자의 삶의 질이 무엇보다 중요한 건강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개인의 삶의 질을 측정하는 하나의 지표가 성생활인데, 특히 여성성의 상징인 유방을 절제하는 치료를 받는 유방암 여성들에게 성은 삶의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개념이다. 유방암 여성들의 경우 수술과 항암화학요법이나 방사선 치료 후 불임, 질건조증, 조기폐경, 성욕감소 등의 성기능 장애로 성생활을 중단하여, 수술 후 5~10년이 경과되면 55% 정도만이 다시 성관계를 재개하고 있으며 성적 불만족으로 인해 이혼을 하는 심각한 상황도 초래된다. 그러나 의료진의 무관심과 지식 부족, 성과 관련된 주제를 다루는 것을 불편해 함으로 인해 유방암 환자들은 공개적으로 성 관련 문제의 해결을 위한 도움을 요청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유방암 여성들의 성생활은 극히 개인적이고 사적인 경험이기에, 개인적인 경험의 본질을 더 심도 있게 탐색할 수 있는 일대일 심층면접을 통한 질적 연구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인간현상의 보편적, 본질적인 측면을 밝힐 수 있는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 방법을 통하여, 여성 유방암 환자의 성생활에 내재되어 있는 체험의 본질을 탐색하고 그 의미를 이해할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유방암을 진단받은 지 2년이 경과하고, 진단 당시 결혼 상태에 있었고, 현재에도 결혼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면서, 유방절제술과 항암화학요법 또는 방사선 치료가 완료된 10명의 여성 유방암 환자이며, 자료수집 기간은 2010년 3월부터 2010년 9월까지였다. 참여자와 면담내용을 녹취하여 세분법에 따라 의미 있는 주제를 분류하고 본질적 주제를 범주화하였으며, 어원, 문학 및 예술 작품과 현상학적 문헌을 참조하여 통찰력과 이해를 높여 현상학적 글쓰기에 참조하였다.
      참여자의 성생활 경험의 본질적 주제는 ‘성생활의 파랑주의보’, ‘이혼위기의 풍전등화’, ‘고진감래로 성숙함’, ‘미결로 덮어둠’ 등 4개로 나타났다. 첫 번째 본질적 주제로 나타난 ‘성생활의 파랑주의보’는 여성 유방암 환자가 유방암 진단 전에는 경험하지 못한 급격한 성적 변화들이 가져온 결과이다. 유방암 진단 후 수술로 유방을 상실함으로 인해, 항암화학요법 및 방사선 치료와 경구약물을 복용하면서 호르몬의 변화로 인해 새롭게 나타나는 것들인데, 이러한 성적인 변화들은 유방암 진단 전의 성생활을 위협하는 요소들로 작용을 하게 된다. 첫 번째 본질적 주제 안에는 성적 즐거움의 상실, 성생활 기피, 여성성의 상실로 인한 우울과 같은 주제가 포함되어 있다. 이는 여성 유방암 환자의 성생활 경험 중 가장 많이 진술된 부분으로, 진단 전 안정적이었던 성생활을 흔들어 놓는 인자들로 작용한다. 두 번째 본질적 주제인 ‘이혼위기의 풍전등화’는 첫 번째 본질적 주제인 성생활의 파랑주의보를 적절하게 극복하지 못함으로 인해, 성생활이 더 악화되어 나타난 경험으로 남편을 병인으로 여기고 밀어냄, 남편에게 받은 성적 수치심, 극으로 치달은 부부간 상처주기의 주제가 포함되었다. 세 번째 본질적 주제 ‘고진감래로 성숙함’은 첫 번째 본질적 주제인 성생활의 파랑주의보를 극복할 수 있는 긍정적인 대안을 발견하여, 부부 성생활이 유방암 진단 이전보다 더 돈독해지고 성숙해진 경험으로, 유방암을 긍정적으로 수용함, 성생활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 발견, 지지와 배려로 부부관계가 더 돈독해짐, 성생활의 조력자 역할 발견 등의 주제가 포함되었다. 네 번째 본질적 주제로 나타난 ‘미결로 덮어둠’은 유방암을 진단받고 적절한 도움을 받지 못해 궁금증도 해결하지 못하고, 닥친 어려움도 그대로 덮어두며 살고 있는 경험으로, 유방암 치료와 관련된 성지식 부족과 교육요구, 해결책을 찾지 못한 성적 어려움 등의 주제가 포함되었다.
      본 연구는 여성 유방암환자의 성생활 경험의 다양한 의미와 구조를 발견함으로써 본질적 실체를 규명하였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의료진의 관심밖에 있었던 여성 유방암 환자의 성생활 경험에서 도출된 위의 내용들은 간호 문제를 발견하고, 적절한 간호중재 개발에 도움이 되는 지식체 제공에 기여하였다는 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i
      • I.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문제 4
      • II. 연구 방법 및 절차 5
      • 국문초록 i
      • I.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문제 4
      • II. 연구 방법 및 절차 5
      • 1. 해석학적 현상학 5
      • 2. van Manen의 연구 방법 6
      • 3. 여성 유방암 환자 성생활의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 8
      • 1) 체험의 본질로 돌아가기 8
      • (1) 현상지향 8
      • (2) 현상학적 질문형성 9
      • (3) 현상에 대한 가정과 선이해 10
      • 2) 실존적 탐구 11
      • (1) 있는 그대로의 경험 탐구 11
      • ① 개인의 경험을 출발점으로 사용 11
      • ② 어원의 추적 13
      • ③ 문학과 예술로부터의 경험적 묘사 15
      • ④ 다른 사람으로부터의 경험적 기술 20
      • (2) 현상학적 문헌고찰 21
      • (3) 연구 참여자의 경험적 진술 27
      • ① 연구 참여자의 선정 27
      • ② 자료수집과정 33
      • ③ 연구 참여자에 대한 윤리적 고려 34
      • (4) 질적 연구의 평가과정 35
      • Ⅲ. 연구 결과 37
      • 1. 해석학적 현상학 반성 37
      • (1) 주제 분석 37
      • (2) 본질적 주제 38
      • ① 성생활의 파랑주의보 38
      • ② 이혼 위기의 풍전등화 44
      • ③ 고진감래로 성숙함 49
      • ④ 미결로 덮어둠 56
      • 2. 해석학적 현상학 글쓰기 60
      • Ⅳ. 논의 65
      • Ⅴ. 결론 및 제언 73
      • 1. 결론 73
      • 2. 제언 74
      • 참고문헌 75
      • 부록 83
      • 영문초록 8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