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양익환의 “生命이 잇나냐?”(1921)를 중심으로 일제 문화 정치 초기 그의 ‘인간 생명관’을 고찰하려는 데 있다. 양익환의 인간 생명관에 관한 중요한 논점은 그의 진귀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879193
2021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7-39(33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양익환의 “生命이 잇나냐?”(1921)를 중심으로 일제 문화 정치 초기 그의 ‘인간 생명관’을 고찰하려는 데 있다. 양익환의 인간 생명관에 관한 중요한 논점은 그의 진귀본...
이 연구의 목적은 양익환의 “生命이 잇나냐?”(1921)를 중심으로 일제 문화 정치 초기 그의 ‘인간 생명관’을 고찰하려는 데 있다. 양익환의 인간 생명관에 관한 중요한 논점은 그의 진귀본 옥고 “生命이 잇나냐?”를 통해 살펴볼 수 있으며 이 글은 1921년에 출판된 『百牧講演(第一集)』에 수록되어 있다. 본 연구자는 양익환의 설교문 “生命이 잇나냐?”에 나타난 의미심장한 논점들을 다음과 같이 숙고했다. 첫째, 그의 인간의 원초적 생명 논증과 관련하여 생명과 활력(活力)의 유기적 일체성, 인간 생명의 탁월성(‘하나님의 형상-영생’ & ‘영혼-영생’) 등을 분석했다. 둘째, 그의 고백을 바탕으로 원초적 생명의 상실, 영적 파멸로서의 재물에 대한 인간의 탐심, 원초적 생명을 회복하는 방법과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 등의 논리적 패러다임을 설정하고 이 사안들에 주안점을 두어 살펴보았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Rev. Ik-Hwan Yang’s ‘view of human life’ in the early years of Japanese cultural policy, focusing on his sermon “Are You Alive?”(1921). Yang’s important view of human life is based on his rare a...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Rev. Ik-Hwan Yang’s ‘view of human life’ in the early years of Japanese cultural policy, focusing on his sermon “Are You Alive?”(1921). Yang’s important view of human life is based on his rare and precious work “Are You Alive?” published in Sermons by One Hundred Pastors & Teachers Vol. 1 (1921). I considered the important points revealed in Yang’s sermon “Are You Alive?” as follows. Firstly, I analysed Lee’s arguments of original human life such as the organic unity of life and vitality, the excellence of human life(‘imago Dei-eternal life’ & ‘human spirit-eternal life’). Secondly, on the basis of Yang’s confession, I concentrated on logical paradigms for the loss of original human life, human greed of property as the spiritual ruin, the means of re-establishing original human life and the gospel of Jesus Christ.
목차 (Table of Contents)
성결의 두 날개 - 동성애 현상을 바라보는 나사렛 교단의 입장 연구
칼뱅과 자연과학 - 자연과학은 하나님의 창조 비밀을 더 깊게 들여다보게 한다
뉴노멀 시대의 ‘소수적인 신학’(Minority theology)에 관한 소고 - 질 들뢰즈의 소수성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