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인터랙티브 디자인을 적용한 도심 가로공간 환경개선에 관한 연구 : 중앙분리 공간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712243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 2018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8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729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environment of the street spaces in the downtowns by applying the interactive designs : Focused on the central separation spaces

      • 형태사항

        xiv, 237 p. : 천연색삽화, 도표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장정제
        참고문헌: p. 227-233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숙명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도시와 이를 구성하는 가로에는 유·무형의 자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는 사람과 가장 밀접하게 연계된 곳이다. 그러나 도시 및 가로의 개발 또는 정비를 하는 과정에 장소가 보유한 자산에 대한 의미를 간과하는 경향이 발생한다. 지역의 상황과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물리적 환경 개선과 가로 재생은 결과적으로 지역의 고유한 장소성을 상실하게 한다. 같은 맥락에서 진행되었던 가로 활성화 시도들이 천편일률적으로 동일한 양상을 보임에 따라 새로운 관점 및 방향의 연구들이 요구되지만 노력들은 부족한 실정이다.
      그 동안의 선행연구들을 통해, 보행은 가로위계와 공간구조를 통해 결정되어진다고 알려져 왔다. 그러나 연구의 전제조건이 되는 가로를 구성하는 사람 및 구성요소들의 특성이 다변화됨에 따라 기존의 이론으로는 다 설명할 수 없는 새로운 의미들이 부여되었다. 또 가로위에서 단순히 걷는 행위만 발생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역시 설명되지 않는 부분이 많다. 따라서 넓은 관점에서 다양한 접근이 요구되어 진다.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심 가로공간 환경개선과 관련하여 새로운 방향제시를 위해 고유한 장소의 자산을 활용하는 방법을 연구하고, 실제 대상지에 접목하는 실증연구를 진행함으로써 새로운 가로환경개선, 가로활성화의 기반을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크게 3가지로 세분화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금까지 보행자만을 위한 가로환경개선사업들이 진행되었다고 한다면 보행자 및 차량 탑승자로 대상을 확장하고 장소성과 연계된 주변 건축물의 특성을 가로환경에 부여하여 가로구성요소의 폭을 넓혀 이들의 상호작용을 살펴보았다는 점이다. 두 번째는 가로시설물 중 보도에 면한 부분만을 한정하여 설계되어온 것에서 탈피하여 보행자와 차량 탑승자의 참여를 동시 일으킬 수 있는 도로시설 중 중앙가로공간으로 영역을 확장하여 설계하였다는 점이다. 마지막으로 보행자, 차량 탑승자, 건축물, 중앙가로 시설물들이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며 상호작용을 유발하는 새로운 방향의 디자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론적 고찰을 통해 파악된 가로환경개선 및 관련 개념들 간의 관계 속에서 장소자산의 활용은 지속 가능한 가로를 제공하는데 중요한 수단이라는 것을 도출하였다. 이를 전제로 테헤란로의 가로공간 환경개선 적용 모형을 정립하였다.

      둘째, 실증연구 대상지인 강남 테헤란로의 장소성을 통해 이해되어진 장소의 고유한 특성을 중심으로 설계에 활용 가능한 요소들을 도출하고 이를 적용하였다. 이는 사람들로 하여금 인터랙티브 디자인을 형성하기 위한 체험적 요소를 제공하는 선행적 작업이라 할 수 있다.

      셋째, ‘중앙분리 가로공간’을 대상으로 시설물간의 혹은 사람과 시설, 건축물 간의 상호작용을 유도하고 나아가 참여가 가능한 공공 예술을 접목하여 설계에 접목하였다. 이는 현재까지 이루어진 단순히 보행자를 위한 보도의 가로환경개선에서 탈피하고자 새로운 시도를 접목시킨 것이다.

      넷째, 인터랙티브 디자인을 통해 이용자(보행자 및 차량 탑승자)에게 경험 전달요소를 제공하게 되며 이를 통해 가로활성화가 가능하며 도심 가로에 생명력을 부여할 수 있는 수단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간과되어 왔던 중앙분리 가로공간의 특성에 적합한 설계방안을 제시함으로써 활력 있는 가로환경을 제공하고 다양한 행위가 유발되도록 시사점을 도출한 점, 이에 영향을 미치는 가로환경 요소들에 인터랙티브 디자인을 접목하여 디자인 적용에 대한 이해를 넓힌 점 등에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결과가 가로공간 환경개선사업에 대한 범위를 확장시키고 설계에 새로운 지침을 도출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쓰이길 기대한다.
      번역하기

      도시와 이를 구성하는 가로에는 유·무형의 자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는 사람과 가장 밀접하게 연계된 곳이다. 그러나 도시 및 가로의 개발 또는 정비를 하는 과정에 장소가 보유한 자산에 ...

      도시와 이를 구성하는 가로에는 유·무형의 자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는 사람과 가장 밀접하게 연계된 곳이다. 그러나 도시 및 가로의 개발 또는 정비를 하는 과정에 장소가 보유한 자산에 대한 의미를 간과하는 경향이 발생한다. 지역의 상황과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물리적 환경 개선과 가로 재생은 결과적으로 지역의 고유한 장소성을 상실하게 한다. 같은 맥락에서 진행되었던 가로 활성화 시도들이 천편일률적으로 동일한 양상을 보임에 따라 새로운 관점 및 방향의 연구들이 요구되지만 노력들은 부족한 실정이다.
      그 동안의 선행연구들을 통해, 보행은 가로위계와 공간구조를 통해 결정되어진다고 알려져 왔다. 그러나 연구의 전제조건이 되는 가로를 구성하는 사람 및 구성요소들의 특성이 다변화됨에 따라 기존의 이론으로는 다 설명할 수 없는 새로운 의미들이 부여되었다. 또 가로위에서 단순히 걷는 행위만 발생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역시 설명되지 않는 부분이 많다. 따라서 넓은 관점에서 다양한 접근이 요구되어 진다.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심 가로공간 환경개선과 관련하여 새로운 방향제시를 위해 고유한 장소의 자산을 활용하는 방법을 연구하고, 실제 대상지에 접목하는 실증연구를 진행함으로써 새로운 가로환경개선, 가로활성화의 기반을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크게 3가지로 세분화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금까지 보행자만을 위한 가로환경개선사업들이 진행되었다고 한다면 보행자 및 차량 탑승자로 대상을 확장하고 장소성과 연계된 주변 건축물의 특성을 가로환경에 부여하여 가로구성요소의 폭을 넓혀 이들의 상호작용을 살펴보았다는 점이다. 두 번째는 가로시설물 중 보도에 면한 부분만을 한정하여 설계되어온 것에서 탈피하여 보행자와 차량 탑승자의 참여를 동시 일으킬 수 있는 도로시설 중 중앙가로공간으로 영역을 확장하여 설계하였다는 점이다. 마지막으로 보행자, 차량 탑승자, 건축물, 중앙가로 시설물들이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며 상호작용을 유발하는 새로운 방향의 디자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론적 고찰을 통해 파악된 가로환경개선 및 관련 개념들 간의 관계 속에서 장소자산의 활용은 지속 가능한 가로를 제공하는데 중요한 수단이라는 것을 도출하였다. 이를 전제로 테헤란로의 가로공간 환경개선 적용 모형을 정립하였다.

      둘째, 실증연구 대상지인 강남 테헤란로의 장소성을 통해 이해되어진 장소의 고유한 특성을 중심으로 설계에 활용 가능한 요소들을 도출하고 이를 적용하였다. 이는 사람들로 하여금 인터랙티브 디자인을 형성하기 위한 체험적 요소를 제공하는 선행적 작업이라 할 수 있다.

      셋째, ‘중앙분리 가로공간’을 대상으로 시설물간의 혹은 사람과 시설, 건축물 간의 상호작용을 유도하고 나아가 참여가 가능한 공공 예술을 접목하여 설계에 접목하였다. 이는 현재까지 이루어진 단순히 보행자를 위한 보도의 가로환경개선에서 탈피하고자 새로운 시도를 접목시킨 것이다.

      넷째, 인터랙티브 디자인을 통해 이용자(보행자 및 차량 탑승자)에게 경험 전달요소를 제공하게 되며 이를 통해 가로활성화가 가능하며 도심 가로에 생명력을 부여할 수 있는 수단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간과되어 왔던 중앙분리 가로공간의 특성에 적합한 설계방안을 제시함으로써 활력 있는 가로환경을 제공하고 다양한 행위가 유발되도록 시사점을 도출한 점, 이에 영향을 미치는 가로환경 요소들에 인터랙티브 디자인을 접목하여 디자인 적용에 대한 이해를 넓힌 점 등에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결과가 가로공간 환경개선사업에 대한 범위를 확장시키고 설계에 새로운 지침을 도출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쓰이길 기대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 1
      • 1.2. 연구의 범위와 방법 = 3
      • 1.2.1. 연구의 범위 = 3
      • 1.2.2. 연구의 방법 = 5
      • Ⅰ. 서론 = 1
      •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 1
      • 1.2. 연구의 범위와 방법 = 3
      • 1.2.1. 연구의 범위 = 3
      • 1.2.2. 연구의 방법 = 5
      • 1.3. 선행연구 = 7
      • 1.4. 연구 흐름도 = 12
      • Ⅱ. 도심 가로와 인터랙티브 디자인에 대한 고찰 = 13
      • 2.1. 도심 가로의 정의 및 기능 = 13
      • 2.1.1. 도심 가로의 정의 = 13
      • 2.1.2. 도심 가로의 변천과 발달 = 22
      • 2.1.3. 도심 가로의 구성요소 = 28
      • 2.1.4. 가로 시설물의 개념 및 특성 = 36
      • 2.2. 가로와 인터랙티브 디자인 = 54
      • 2.2.1. 인터랙티브 디자인의 개념과 구조 = 54
      • 2.2.2. 가로공간의 인터랙티브 디자인 요소 = 66
      • 2.2.3. 중앙분리 공간과 인터랙티브 디자인 = 77
      • 2.2.4. 인터랙티브 디자인의 유형과 특성 사례 분석 = 96
      • Ⅲ. 도심 가로 공공 디자인 현황 및 대상지 분석 = 115
      • 3.1. 도심 가로 공공 디자인 변천사 = 115
      • 3.1.1. 도심 가로에서의 공공 디자인의 의미 = 115
      • 3.1.2. 도심 가로 공공 디자인 변천사 = 120
      • 3.2. 대상지 분석 = 128
      • 3.2.1. 대상지 선정 = 128
      • 3.2.2. 대상지의 변천사 = 139
      • 3.2.3. 대상지의 현황 = 155
      • 3.3. 스토리텔링을 통한 디자인 요소 추출 = 166
      • 3.3.1. 대상지(테헤란로 삼성역~선릉역)의 가로 스토리텔링 = 166
      • 3.3.2. 디자인 요소 추출과 계획 구역 설정 = 170
      • Ⅳ. 도심 가로의 인터랙티브 디자인 적용 = 178
      • 4.1. 디자인 배경 및 프로그램 방향설정 = 178
      • 4.1.1. A Zone(A, a): Greeting Event = 178
      • 4.1.2. B Zone(B): New Future of Korea = 181
      • 4.1.3. C Zone(C, c): Landmark = 183
      • 4.1.4. D Zone(d, D, d’): Korean History and Culture = 186
      • 4.1.5. E Zone(e, E): A Symbol of Korea Finance = 187
      • 4.2. 디자인 콘셉트 = 188
      • 4.2.1. 구간(Zone) 별 개념정리 = 188
      • 4.2.2. 인터랙티브 디자인 콘셉트 이미지 = 192
      • 4.2.3. 구간(Zone) 별 인터랙티브 디자인 프로세스 = 193
      • 4.2.4. 구간(Zone) 별 인터랙티브 관계와 디자인 구성요소
      • = 196
      • 4.3. 인터랙티브 디자인을 적용한 도심 가로 설계 = 197
      • 4.3.1. A Zone(A, a) = 198
      • 4.3.2. B Zone(B) = 204
      • 4.3.3. C Zone(C, c) = 207
      • 4.3.4. D Zone(d, D, d’) = 211
      • 4.3.5. E Zone(e, E) = 217
      • V. 결론 = 22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