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패션 플래그쉽 스토어의 토탈 인테리어 방안제시 = Suggested Guideline for Total Interior Design of Fashion Flagship Stor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60403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or a long time, flagship stores in Korea were mostly famous western brands. However, since 2000, flagship stores of Korean fashion brands have been spread. Consequently, proper total interior design for Korean fashion flagship stores need to be suggested. In order to find proper total interior design, researchers first have extracted interior specification for space composition elements and interior decorative elements and evaluated Korean fashion flagship stores with various purposes such as SPA brand, general brand, multi shop with this checklist. And then, with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evaluation, researchers have created detailed criteria for the checklist which could be used as a reference for shop planning or remodeling.
      The scope of this study is limited to five fashion flagship stores located in Myeongdo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For space composition elements of the Korean brand fashion flagship stores, floor interior is good, however, the interior deigns for height and display space of walls need to be improved.
      2) For interior decorative elements of the Korean brand fashion flagship stores, lightening is good, however, logos and symbols and furnitures were not properly functioning.
      3) The space composition elements for evaluating interior design of flagship stores are i) whether there is enough space on walls and ceiling for display of merchandises, facilities, and decorations, ii) whether the floor and facade are without visual uncomfortableness and harmonious with entire shop. The interior decorative elements for evaluating interior design of flagship stores are i) visual function of lightening and color, ii) arrangement of furniture and display considering moving flow, iii) number and size of logos, symbols, patterns and graphic as point decorations.
      번역하기

      For a long time, flagship stores in Korea were mostly famous western brands. However, since 2000, flagship stores of Korean fashion brands have been spread. Consequently, proper total interior design for Korean fashion flagship stores need to be sugge...

      For a long time, flagship stores in Korea were mostly famous western brands. However, since 2000, flagship stores of Korean fashion brands have been spread. Consequently, proper total interior design for Korean fashion flagship stores need to be suggested. In order to find proper total interior design, researchers first have extracted interior specification for space composition elements and interior decorative elements and evaluated Korean fashion flagship stores with various purposes such as SPA brand, general brand, multi shop with this checklist. And then, with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evaluation, researchers have created detailed criteria for the checklist which could be used as a reference for shop planning or remodeling.
      The scope of this study is limited to five fashion flagship stores located in Myeongdo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For space composition elements of the Korean brand fashion flagship stores, floor interior is good, however, the interior deigns for height and display space of walls need to be improved.
      2) For interior decorative elements of the Korean brand fashion flagship stores, lightening is good, however, logos and symbols and furnitures were not properly functioning.
      3) The space composition elements for evaluating interior design of flagship stores are i) whether there is enough space on walls and ceiling for display of merchandises, facilities, and decorations, ii) whether the floor and facade are without visual uncomfortableness and harmonious with entire shop. The interior decorative elements for evaluating interior design of flagship stores are i) visual function of lightening and color, ii) arrangement of furniture and display considering moving flow, iii) number and size of logos, symbols, patterns and graphic as point decoration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어판 wikipedia"

      2 김정우, "플래그십 스토어의 VMD와 매장 내 체험요소가 브랜드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패션디자인학회 11 (11): 25-39, 2011

      3 최상헌, "패션전문점의 실내공간 디자인 이미지 유형과구성요소분석연구-자체 브랜드 복합패션전문점을 중심으로-" 15 : 1998

      4 박경애, "패션 플래그십 스토어 분석: 특성, 유형, 소비자 반응" 한국생활과학회 23 (23): 343-355, 2014

      5 김정은, "패션 플래그쉽 스토어의 공간디자인에 관한 연구 -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중심으로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5 (5): 95-106, 2010

      6 신옥수, "패션 플래그쉽 스토어의 감성 공간 디자인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7 (7): 59-69, 2012

      7 조연주, "패션 플래그쉽 스토어 인테리어디자인의 브랜드 개성과 브랜드 충성도의 영향관계에 관한 연구 - 루이뷔통의 플래그쉽 스토어를 중심으로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 (20): 62-70, 2011

      8 김지혜, "인터렉션 디자인을 적용한 플래그십스토어 실내 공간분석에 관한 연구"

      9 김지선, "의류 선도매장(Flagship Store)에서의 브랜드 체험유형이 소비자-브랜드 관계와 브랜드 자산에 미치는 영향"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10 (10): 209-227, 2009

      10 "영문판 wikipedia"

      1 "한국어판 wikipedia"

      2 김정우, "플래그십 스토어의 VMD와 매장 내 체험요소가 브랜드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패션디자인학회 11 (11): 25-39, 2011

      3 최상헌, "패션전문점의 실내공간 디자인 이미지 유형과구성요소분석연구-자체 브랜드 복합패션전문점을 중심으로-" 15 : 1998

      4 박경애, "패션 플래그십 스토어 분석: 특성, 유형, 소비자 반응" 한국생활과학회 23 (23): 343-355, 2014

      5 김정은, "패션 플래그쉽 스토어의 공간디자인에 관한 연구 -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중심으로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5 (5): 95-106, 2010

      6 신옥수, "패션 플래그쉽 스토어의 감성 공간 디자인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7 (7): 59-69, 2012

      7 조연주, "패션 플래그쉽 스토어 인테리어디자인의 브랜드 개성과 브랜드 충성도의 영향관계에 관한 연구 - 루이뷔통의 플래그쉽 스토어를 중심으로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 (20): 62-70, 2011

      8 김지혜, "인터렉션 디자인을 적용한 플래그십스토어 실내 공간분석에 관한 연구"

      9 김지선, "의류 선도매장(Flagship Store)에서의 브랜드 체험유형이 소비자-브랜드 관계와 브랜드 자산에 미치는 영향"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10 (10): 209-227, 2009

      10 "영문판 wikipedia"

      11 권혜진, "여성의류 리테일 샵의 매장계획을 위한 기초연구" 11 (11): 2000

      12 박홍, "아키와 테리어" 기문당 1999

      13 한국실내디자인학회, "실내디자인총설" 기문당 2011

      14 손유찬, "실내디자인의 이해" 기문당 2004

      15 이종석, "실내디자인론" 성안당 2005

      16 오인욱, "실내디자인개론" 기문당 2009

      17 이미혜, "실내디자인" 기문당 2006

      18 오인욱, "실내계획론" 기문당 2004

      19 오인욱, "실내계획" 기문당 2005

      20 장정제, "실내건축 디자인" 구미서관 2007

      21 황규원, "식 공간 색채이미지 선호도에 관한 연구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라이프스타일을 중심으로-" 한국색채학회 23 (23): 67-79, 2009

      22 안현정, "소비자 행동 경향에 따른 플래그십스토어 계획 요소에 관한 연구 - 코오롱스포츠 플래그십스토어를 중심으로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 (20): 72-84, 2011

      23 한효정, "브랜드 체험수단으로서 플래그 쉽 스토어 공간디자인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15 (15): 184-192, 2006

      24 신광순, "브랜드 아이덴티티 확립을 위한 국내 패션브랜드 플래그쉽 스토어 공간환경디자인 지침에 관한 연구" 12 (12): 2010

      25 최형욱, "브랜드 스케이핑을 적용한 플래그쉽 스토어 공간디자인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8 (8): 27-37, 2013

      26 유진형, "리테일샵의 공간구조와 고객행동의 정량적 분석을 통한 상관성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3 (3): 59-67, 2008

      27 "네이버 용어사전"

      28 한영호, "空間디자인" 기문당 2007

      29 정승아, "SPA매장의 VMD가 제품평가 및 구매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패션디자인학회 11 (11): 75-95,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2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8 0.28 0.2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3 0.23 0.406 0.2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