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安軸(1282~1348)이 1330년경에 創作한 景幾體歌 〈關東別曲〉을 중심으로, 거기에 사용된 借字表記 7개 항목을 選定히여 解讀을 시도하고, 그 결과를 國語史的 觀點에서 分析ㆍ檢討함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158429
2007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251-288(38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安軸(1282~1348)이 1330년경에 創作한 景幾體歌 〈關東別曲〉을 중심으로, 거기에 사용된 借字表記 7개 항목을 選定히여 解讀을 시도하고, 그 결과를 國語史的 觀點에서 分析ㆍ檢討함을...
이 글은 安軸(1282~1348)이 1330년경에 創作한 景幾體歌 〈關東別曲〉을 중심으로, 거기에 사용된 借字表記 7개 항목을 選定히여 解讀을 시도하고, 그 결과를 國語史的 觀點에서 分析ㆍ檢討함을 目的으로 한다. 특히 [麗ㆍ美]의 意味인 ‘古溫’[고온] 표기의 새로운 발견을 계기로 國語史에서 존재했다고 알려진 ‘脣輕音’에 대한 여러 見解를 약술하고, 이 자료가 國 語史의 爭點 解決에 어떤 기여를 할 수 있는지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景幾體歌는 韓國語를 漢字의 音ㆍ訓을 빌려 國語 語順으로 表記한 자료라는 점에서 國語學의 硏究對象이 된다. 그러나 우리 國語學界에서 이 자료는 거의 연구된 바 없으며, 소개된 지 70년간 주로 古典文學의 관점에서만 다루어져 왔다.
제2장에서는 硏究對象인 〈關東別曲〉의 作者와 創作年代, 그리고 『謹齊集』의 異本 검토를 통해 國語史 資料로서의 信賴性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이 작품은 安軸이 1329년 9월 이후 대체로 1330년경에 창작하여 1348년 이전까지 文字로 기록한 것이 분명하며, 후대에 故意的인 改作이나 原典의 ?損이 없는 신뢰할 만한 자료임을 확인하였다.
제3장에서는 〈關東別曲)(전9장) 중에서 7개 항목의 借字表記를 선별하여 高麗時代 및 朝鮮前期 文獻資料를 근거로 삼아 國語史的 觀點에서 자료를 분석하고 解讀하였다. 이를 통해 文學硏究者들의 解讀에 여러 군데 誤謬가 있음을 발견하였고, 이들을 새로운 근거로써 修正하였다. 文法史的으로 아직 조명받지 못한 ‘無豆舍叱多’[업두샷다]와 ‘藩甲豆斜羅’[반갑두샤라] 등의 形態分析과 形態素의 序列의 문제는 앞으로의 과제로 남겨 놓았다. 3.4 “爲 古溫貌 我隱伊西爲乎伊多”에서 ‘古溫’은 高麗語 [고온]으로 解讀되는데, 이는 1461년 『楞嚴經諺解』에서 脣輕音(ㅸ)이 소멸되는 것보다 130년 전에 나타난 異例的인 語形이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제4장에서는 ‘古溫’[고온]에 대한 解讀 결과를 바탕으로, 國語音韻史硏究의 爭點 主題인 脣輕音(ㅸ)에 대한 기존의 견해를 요약하고, 각 견해가 해결해야 할 課題 및 새로운 解釋의 가능성은 없는지를 검토하였다. 學界의 通說인 ‘音素說’뿐만이 아니라 모든 견해가 이 자료를 對象에 넣지 않고 硏究하였으므로, 앞으로 이 새로운 자료를 포함하여 再檢討할 필요가 있다. 특히 脣輕音(ㅸ)이 ‘ㅂ’ 維持語와 ‘오/우’ 維持語의 ‘折衷的表記’라는 견해는 이 실증적 자료의 발견으로 새로운 假說을 제기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였다.
이 글을 통해 그간 논의가 부족하였던 景幾體歌도 國語史 硏究에 기여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 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앞으로 기존의 借字表記 자료에 대한 精密한 再分析과 새로운 자료의 積極的인 發掘을 통해 國語史가 올바르고 균형 있게 立體的으로 記述되기를 희망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
18世紀 朝鮮朝 蒙譯官들의 文法意識水準과 蒙語類解 語錄解의 形成過程에 대한 考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