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국립공원관리공단 자연자원 조사사업의 의의와 성과 - 2015 치악산국립공원 지형·지질분야를 중심으로 - = Significance and Achievement of Natural Resources Survey of the Institute of Korea National Park Service - focused on the results of geomorphological and geological field of 2015 Chiak National Park survey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57530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importance of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natural resources has arisen with the exhaustion of natural resources, global climate change and popularity of nature among the public. Natural resources survey by Korea National Park Service has been c...

      The importance of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natural resources has arisen with the exhaustion of natural resources, global climate change and popularity of nature among the public. Natural resources survey by Korea National Park Service has been conducted since 1991 to manage national parks effectively.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achievement of natural resources survey by using the results of geomorphological and geological field of 2015 Chiak National Park survey as an example and to propose improvement plans of natural resources survey. It has advantages of spot-oriented survey corresponding to its demands and being able to be compared to the results of other national parks and nationwide survey which is researched by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Nevertheless, it desperately needs further improvements in four different ways; securement of budget and skilled labors, enlargement of study area including buffer areas near national park’s boundary, establishment of classification map of land’s surface and implementing the survey focused on ecosphere and catchmen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자연자원의 고갈과 전 지구적 기후변화, 삶의 질 향상에 따른 자연자원의 대중적인 선호는 자연자원의 체계적인 보전과 관리의 중요성을 부각시켰다. 국립공원관리공단에서는 자연 생태계...

      자연자원의 고갈과 전 지구적 기후변화, 삶의 질 향상에 따른 자연자원의 대중적인 선호는 자연자원의 체계적인 보전과 관리의 중요성을 부각시켰다. 국립공원관리공단에서는 자연 생태계가 잘 보전되어 있고 여가활동의 장인 국립공원을 보다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1991년부터 자연자원 조사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2015 치악산국립공원 지형·지질분야를 중점으로 자연자원 조사사업의 성과를 분석하고 향후 자연자원 조사사업이 나아가야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국립생태원의 자연환경조사와 비교하여 국립공원관리공단 자연자원 조사사업은 현장 수요에 맞춘 현장 중심의 조사가 진행되며 조사결과는 국립공원 내의 결과나 전국적 범위의 조사결과와 객관적으로 상호 비교할 수 있다는 의미를 가진다. 그럼에도 기관의 관련 예산 및 인력 확충, 국립공원 경계 주변으로 조사지역 확장, 국립공원 지형면 분류도 구축, 생태계 및 권역 중심의 연구사업 등이 보완된다면 보다 효율적인 국립공원 관리가 이루어 질 것으로 생각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철성, "한국의 자연지리"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2

      2 박수진, "한국의 산사태취약지역과 사방지의 환경요인 분석" 국토지리학회 49 (49): 267-285, 2015

      3 국립공원관리공단, "치악산국립공원 자연자원조사" 2006

      4 국립공원관리공단, "치악산국립공원 자연자원조사" 1996

      5 국립공원연구원, "치악산국립공원 자연자원 조사" 2015

      6 강지현, "제4차 전국자연환경조사 지형자원의 평가: 현황과 쟁점" 191-, 2015

      7 윤광성, "제3차 전국자연환경조사 지형분야의 성과와 제4차 조사의 특징 및 발전방향 제시" 한국지형학회 21 (21): 105-117, 2014

      8 윤광성, "제3차 전국자연환경조사 지형분야 등급부여체계의 적정성과 개선방안" 한국지형학회 22 (22): 89-107, 2015

      9 강지현, "전국자연환경조사 지형보전등급 세부평가항목 설정 및 가중치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지형학회 22 (22): 51-62, 2015

      10 구본현, "자연환경시설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연구" 국토지리학회 44 (44): 257-266, 2010

      1 강철성, "한국의 자연지리"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2

      2 박수진, "한국의 산사태취약지역과 사방지의 환경요인 분석" 국토지리학회 49 (49): 267-285, 2015

      3 국립공원관리공단, "치악산국립공원 자연자원조사" 2006

      4 국립공원관리공단, "치악산국립공원 자연자원조사" 1996

      5 국립공원연구원, "치악산국립공원 자연자원 조사" 2015

      6 강지현, "제4차 전국자연환경조사 지형자원의 평가: 현황과 쟁점" 191-, 2015

      7 윤광성, "제3차 전국자연환경조사 지형분야의 성과와 제4차 조사의 특징 및 발전방향 제시" 한국지형학회 21 (21): 105-117, 2014

      8 윤광성, "제3차 전국자연환경조사 지형분야 등급부여체계의 적정성과 개선방안" 한국지형학회 22 (22): 89-107, 2015

      9 강지현, "전국자연환경조사 지형보전등급 세부평가항목 설정 및 가중치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지형학회 22 (22): 51-62, 2015

      10 구본현, "자연환경시설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연구" 국토지리학회 44 (44): 257-266, 2010

      11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안흥리 도폭 지질조사보고서" 2011

      12 노백호, "생물다양성 증진을 위한 전국자연환경조사의 발전방안 : 선진외국의 사례검토를 중심으로"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5 (5): 25-56, 2006

      13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14 "국립생태원"

      15 "국립공원관리공단 자료실 통계자료 2015 탐방지원"

      16 국립공원연구원, "국립공원 자연자원조사 분야별 매뉴얼: 29-5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3-0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지리학연구 -> 국토지리학회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3-28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지리교육학회 -> 국토지리학회
      영문명 : The Korean Association Of Professional Geographers -> The Korean Association of Professional Geographers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9 1.19 1.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9 1.02 1.53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