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16세기에 편년되는 울산지역 주거의 구조와 특징을 분석하고, 분석된 구조를 바탕으로 문헌에 기록된 기사와 민속자료를 검토하여 주거형식별 기능과 성격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15~16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60148713
2012
Korean
380
KCI등재
학술저널
49-80(32쪽)
학회 요청에 의해 무료로 제공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15~16세기에 편년되는 울산지역 주거의 구조와 특징을 분석하고, 분석된 구조를 바탕으로 문헌에 기록된 기사와 민속자료를 검토하여 주거형식별 기능과 성격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15~16세...
15~16세기에 편년되는 울산지역 주거의 구조와 특징을 분석하고, 분석된 구조를 바탕으로 문헌에 기록된 기사와 민속자료를 검토하여 주거형식별 기능과 성격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15~16세기의 울산지역 주거형식은 수혈식주거지(土室)와 지상식건물지(草家, 瓦家)로 분류할 수 있다. 주거형식별 내부구조 분석을 통해 15~16세기 울산지역 수혈식주거지의 전형적인 모습은 평면형태 방형이며, 난방·취사시설은 벽로, 기둥배치는 무주식의 특징을 가진 형태로 볼 수 있다. 지상식건물지는 평면형태 '一'자형이며, 정면 2~3칸×측면 1~2칸의 규모로 기둥자리 축조형태는 굴립주식의 특징을 가진 형태로 볼 수 있다.
수혈식주거지의 성격은 3가지로 추론할 수 있다. 첫째, 하층민의 취락으로 瓦家, 草家 보다는 상대적으로 신분이 낮은 하층민이 거주한 주거이며, 집단의 마을이 확인된다. 둘째, 주거와 분묘의 상관관계를 통한 묘막지이다. 셋째, 임시거주지로 생산유구와 함께 확인되는 취락과 어망추, 철촉 등의 출토유물을 통하여 어로행위나 사냥을 위한 임시적인 거주지이다.
지상식건물지의 기능과 성격은 4가지로 추론할 수 있다. 첫째, 일반적인 주거를 목적으로 축조된 주거용이다. 둘째, 특수목적의 용도 즉, 소마구에 딸린 방이나 헛간 등의 용도로 사용된 창고이다. 셋째, 자기가마 등의 생산유구와 관련된 공방지 또는 생산된 물건의 건조 등의 임시저장소의 기능이다. 넷째, 취락 내에서 건물의 배치와 규모, 구조, 입지에 있어서 주거용이나 창고의 건물과는 차별성이 보이며, 공공의 목적으로 축조된 공공집회소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tructure and character of living in Ulsan that assessed the date from 15th to 16th century were analyzed, it is search all over character and function by dwelling style on examination written description in records and folk material on the foundation...
Structure and character of living in Ulsan that assessed the date from 15th to 16th century were analyzed, it is search all over character and function by dwelling style on examination written description in records and folk material on the foundation of structure.
It might be classified the dwelling style in Ulsan from 15th to 16th century into site of pit-dwelling(mud-wall hut) and ground buildings(grass-roofed, tile-roofed house). As analyzing inside structure by dwelling style, typical style of pit-dwellings in Ulsan from 15th to 16th century was square in flat. It seemed that arrangement for heating and cooking was fireplace. It is characterized pillar placement as non-column. ground building '一' shape in flat. The constructing form for pillar location seemed to be characterize pole-stand type on scale of 2 or 3 partition in front view, 1 or 2 partition in side view.
Character of pit-dwelling site might be come in three varieties. The first, residence as group village for the people of the relative lower classes than who lived in grass-roofed, tile-roofed house. The second, site of hut built near a grave by correlation living and grave. The third, inferred temporary residence for hunting and fishing from settlement that was known with producing ruin, excavated remains including of iron arrowhead, fishing net sinker, etc..
It could be come in four varieties that ground building site of character and function. The first residence where was construct for general living. The second, storehouse for use of special purpose that bedroom or storeroom etc. which connected with cattle stable. The third, function of temporary storing place that took dryness etc. for a product or linked site of workshop with producing ruin of porcelain kiln etc. The fourth, site of assembly hall which was constructed for public purpose, there were differences from building of residence, storehouse on arrangement, volume, structure, location to building in village.
목차 (Table of Contents)
[서평] 영혼이 깃든 섬; 경계인이 본 제주학을 읽는 세 개의 시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