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행은 가장 권장되어야 하는 중요한 교통수단임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구체적인 연구가 미미한 실정이다. 특히, 지동차 위주의 교통계획으로 인하여, 도로시설의 용량분석 및 서비스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76575535
2006
Korean
531
KCI등재
학술저널
241-250(10쪽)
1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보행은 가장 권장되어야 하는 중요한 교통수단임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구체적인 연구가 미미한 실정이다. 특히, 지동차 위주의 교통계획으로 인하여, 도로시설의 용량분석 및 서비스수...
보행은 가장 권장되어야 하는 중요한 교통수단임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구체적인 연구가 미미한 실정이다. 특히, 지동차 위주의 교통계획으로 인하여, 도로시설의 용량분석 및 서비스수준 평가를 위해 제정된 「도로용량편람(HCM)」에서 조차 보행 및 보행공간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방법이 제시되어 있지 않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현재의 보행 서비스수준의 분석기준인 보행유율에 소음수준과 주변밝기 정도를 추가로 고려하는 보행자가 직접 느끼는 서비스수준을 산정하기 위하여 퍼지근사추론을 사용하였다. 입력변수는 보행유율, 소음수준, 밝기정도를 사용하였으며 주간과 야간으로 나누어 퍼지근사추론 모형을 구축하였다. 구축된 모형의 예측력 분석은 R²와 MAE 그리고 MSE를 사용하였으며 그 값은 주간모형의 경우 각각 0.803, 0.729, 0.735이고 야간모형의 경우 0.893, 0.878, 0.860으로 모형의 설명력이 높음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과정에서 야간의 경우 보행유율이 높을수록 밝기정도보다는 소음수준이 보행만족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lthough walking is an important transport mode which should be promoted, realistic studies about walking is not sufficient. Especially, due to the transportation planning oriented toward automobile, there is not realistic analysis method for walking ...
Although walking is an important transport mode which should be promoted, realistic studies about walking is not sufficient. Especially, due to the transportation planning oriented toward automobile, there is not realistic analysis method for walking in the Highway Capacity Manual. Therefore, in this study the fuzzy approximate reasoning was employed to build a model for the analysis of walkways service level. For the input variable the noise level and brightness as well as the pedestrian flow rate were employed and the output variable was the walking satisfaction degree. The fuzzy models were constructed for daytime and nighttime separately. The forecastability analysis for the models were conducted using R², MAE and MSE. The values of them for the daytime model are 0.802, 0.729 and 0.735 respectively and the values for nighttime are 0.893, 0.878 and 0.860 respectively, so it can be said that the models explain the real situation well.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noise level has stronger effects to walking satisfaction then the brightness in night.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퍼지이론 및 응용 I" 홍릉과학 출판사 1997
2 "유형별 보행자도로의 서비스수준 평가기준 선정" 경원대학교 2004
3 "보행자공간 : 이론과 디자인" 태림문화사 1997
4 "보행자 시설 서비스수준 산정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 2002
5 "도로용량편람" 사단법인 대한교통학회 2001
6 "국내보행 서비스수준의 평가기준" 대한교통학회 통 (통): 1999
7 "Traffic Control and Transport Planning : A Fuzzy Sets and Neural Networds Approach" Kluwer Academy Publishers 1998
8 "Highway Capacity Maual." 2000
9 "Highway Capacity Maual." 2000
10 "Fuzzy Logic Toolbox for Use with Matlab User's Guide Version 4" The Mathworks, Inc. 2000
1 "퍼지이론 및 응용 I" 홍릉과학 출판사 1997
2 "유형별 보행자도로의 서비스수준 평가기준 선정" 경원대학교 2004
3 "보행자공간 : 이론과 디자인" 태림문화사 1997
4 "보행자 시설 서비스수준 산정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 2002
5 "도로용량편람" 사단법인 대한교통학회 2001
6 "국내보행 서비스수준의 평가기준" 대한교통학회 통 (통): 1999
7 "Traffic Control and Transport Planning : A Fuzzy Sets and Neural Networds Approach" Kluwer Academy Publishers 1998
8 "Highway Capacity Maual." 2000
9 "Highway Capacity Maual." 2000
10 "Fuzzy Logic Toolbox for Use with Matlab User's Guide Version 4" The Mathworks, Inc. 2000
VMS의 시인성 향상을 위한 시인성 성능평가 항목 및 평가기준 설정과 물리적 평가시스템 구축
포장가속시험을 통한 개질아스팔트 혼합물의 소성변형 저항성 평가 연구
열차주행안전을 고려한 궤도패드의 최소 수직 스프링계수 결정에 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