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시각장애교육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과 조망 - 「시각장애연구」학술지를 중심으로 - = Research Trends Analysis on the Visual Impairment Education -"Visual Impairment Research" Entered in Academic Journa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63409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carried out to figure out the domestic study trends and implications of future study direction from 1985 until 2008. For this, of all the papers presented on ‘Visual Impairment Studies’ which is an academic paper of KRF, 135 papers are selected and analyzed its study subjects and study methodologies. As results of the analysis, first, the study subjects of visual impairment are 25(18.6%) and rehabilitation science & technology 21(15.6%), the cure support related 16(11.8%), program development & its application, occupation 14(10.4%), low-vision 13(9.6%), braille 8(5.9%), young children with visual impairments & visual impairment with multiple disabilities 6(4.4%), family & friendship 5(3.7%), eyesight symptoms 4(3.0%), and the teacher-related 3(2.2%) in this order.
      Second, from the results of study methodology analysis, research study 56, experiment/comparative study 44, documentary study 33 existed. The total, 98.5% was main. Since 2005, case study started.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it is meaningful to identify the direction of visual impairment education studies by presenting future direction of visually-related impairment studies and subjects.
      번역하기

      This study is carried out to figure out the domestic study trends and implications of future study direction from 1985 until 2008. For this, of all the papers presented on ‘Visual Impairment Studies’ which is an academic paper of KRF, 135 papers a...

      This study is carried out to figure out the domestic study trends and implications of future study direction from 1985 until 2008. For this, of all the papers presented on ‘Visual Impairment Studies’ which is an academic paper of KRF, 135 papers are selected and analyzed its study subjects and study methodologies. As results of the analysis, first, the study subjects of visual impairment are 25(18.6%) and rehabilitation science & technology 21(15.6%), the cure support related 16(11.8%), program development & its application, occupation 14(10.4%), low-vision 13(9.6%), braille 8(5.9%), young children with visual impairments & visual impairment with multiple disabilities 6(4.4%), family & friendship 5(3.7%), eyesight symptoms 4(3.0%), and the teacher-related 3(2.2%) in this order.
      Second, from the results of study methodology analysis, research study 56, experiment/comparative study 44, documentary study 33 existed. The total, 98.5% was main. Since 2005, case study started.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it is meaningful to identify the direction of visual impairment education studies by presenting future direction of visually-related impairment studies and subjec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1985년부터 2008년까지 시각장애교육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을 파악하고 향후 연구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학술진흥재단 등재 학술지인 「시각장애연구」에 게재된 논문 중에서 시각장애교육과 관련 있는 135편의 논문을 선정하여 연구주제, 연구방법 두 가지 영역을 대별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주제 관련 분석결과는, 교과교육에 관련된 논문이 25편(18.6%)으로 가장 많았으며, 재활공학 관련 21편(15.6%), 치료지원 관련 16편(11.8%), 프로그램개발 및 적용, 직업․진로 관련 각 14편(10.4%), 저시력 관련 13편(9.6%), 점자 8편(5.9%), 시각유아와 시각중복장애 관련 6편(4.4%), 가족 및 교우관계 5편(3.7%), 시 증상 관련이 4편(3.0%), 교사관련 3편(2.2%)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방법 관련 분석 결과는 조사연구 56편, 실험/비교연구 44편, 문헌연구가 33편으로서 총 98.5%로 3가지 방법이 주류를 이루었으며, 2005년부터 시각장애 관련 학술연구 유형 중에서 사례연구가 대두되기 시작한 점은 타 학술지와의 차이점이라고 할 수 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시각장애 관련 연구 방향 및 과제를 제시를 시사 받을 수 있었으며, 시각장애교육 연구의 방향성을 파악하는데 의의가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1985년부터 2008년까지 시각장애교육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을 파악하고 향후 연구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학술진흥재단 등재 학술지인 「시각장애...

      본 연구는 1985년부터 2008년까지 시각장애교육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을 파악하고 향후 연구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학술진흥재단 등재 학술지인 「시각장애연구」에 게재된 논문 중에서 시각장애교육과 관련 있는 135편의 논문을 선정하여 연구주제, 연구방법 두 가지 영역을 대별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주제 관련 분석결과는, 교과교육에 관련된 논문이 25편(18.6%)으로 가장 많았으며, 재활공학 관련 21편(15.6%), 치료지원 관련 16편(11.8%), 프로그램개발 및 적용, 직업․진로 관련 각 14편(10.4%), 저시력 관련 13편(9.6%), 점자 8편(5.9%), 시각유아와 시각중복장애 관련 6편(4.4%), 가족 및 교우관계 5편(3.7%), 시 증상 관련이 4편(3.0%), 교사관련 3편(2.2%)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방법 관련 분석 결과는 조사연구 56편, 실험/비교연구 44편, 문헌연구가 33편으로서 총 98.5%로 3가지 방법이 주류를 이루었으며, 2005년부터 시각장애 관련 학술연구 유형 중에서 사례연구가 대두되기 시작한 점은 타 학술지와의 차이점이라고 할 수 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시각장애 관련 연구 방향 및 과제를 제시를 시사 받을 수 있었으며, 시각장애교육 연구의 방향성을 파악하는데 의의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오혜정, "한국 장애아동 언어연구의 동향과 과제" 11 (11): 164-188, 2006

      2 이나미, "특수학교 직업교육 효율화 방안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991

      3 김삼섭, "특수교육하연구 게재 논문의 내용과 방법에 관한 고찰" 한국특수교육학회 39 (39): 195-216, 2005

      4 강위영, "특수교육 학술지의 최근 30 년간 연구주제의 분석과 연구동향 조명" 17 (17): 1-18, 2001

      5 곽승철, "특수교육 교사 관련 연구 동향 분석" 한국지체부자유아교육학회 51 (51): 79-99, 2008

      6 박은혜, "지체부자유아 교육의 연구 동향 및 시사점" 9 (9): 65-69, 2002

      7 박은혜, "지체부자유아 교육연구의 최근 동향" 9 (9): 137-155, 2002

      8 박순희, "중도장애아동을 위한 행동중재 동향 분석" 36 (36): 45-63, 2001

      9 한경근, "중도·중복장애의 개념, 진단평가 및 교육지원 관련 연구동향 분석" 한국지체부자유아교육학회 52 (52): 287-316, 2009

      10 박옥희, "장애인복지의 이론과 실제" 학문사 1999

      1 오혜정, "한국 장애아동 언어연구의 동향과 과제" 11 (11): 164-188, 2006

      2 이나미, "특수학교 직업교육 효율화 방안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991

      3 김삼섭, "특수교육하연구 게재 논문의 내용과 방법에 관한 고찰" 한국특수교육학회 39 (39): 195-216, 2005

      4 강위영, "특수교육 학술지의 최근 30 년간 연구주제의 분석과 연구동향 조명" 17 (17): 1-18, 2001

      5 곽승철, "특수교육 교사 관련 연구 동향 분석" 한국지체부자유아교육학회 51 (51): 79-99, 2008

      6 박은혜, "지체부자유아 교육의 연구 동향 및 시사점" 9 (9): 65-69, 2002

      7 박은혜, "지체부자유아 교육연구의 최근 동향" 9 (9): 137-155, 2002

      8 박순희, "중도장애아동을 위한 행동중재 동향 분석" 36 (36): 45-63, 2001

      9 한경근, "중도·중복장애의 개념, 진단평가 및 교육지원 관련 연구동향 분석" 한국지체부자유아교육학회 52 (52): 287-316, 2009

      10 박옥희, "장애인복지의 이론과 실제" 학문사 1999

      11 김은자, "유아특수교육관련 연구논문 동향 분석" 한국특수교육학회 37 (37): 171-194, 2002

      12 오혜정, "우리나라 장애유아 언어 연구의 현황 분석"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3 (23): 163-185, 2007

      13 박은영, "우리나라 단일대상연구의 내용과 방법에 관한 고찰" 한국특수교육학회 40 (40): 65-89, 2005

      14 김관일, "시각장애학생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조사" 40 (40): 41-59, 2001

      15 이계존, "시각장애인 직업재활의 장‧단기 과제"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1999

      16 임안수, "시각장애아 교육" 도서출판 재활공학 1997

      17 이해균, "시각장애아 교사의 표준 수행능력 평가" 19 (19): 57-79, 2003

      18 박순희, "시각장애 중복장애아동을 위한 취학전 교육서비스" 도서출판 특수교육 1995

      19 홍재영, "시각손상 아동의 운동발달에 관한 연구동향"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2 (22): 101-119, 2006

      20 최성욱, "국내 인지-행동 중재전략의 연구 동향 분석: 1996~2006년 발달장애 관련 문헌을 중심으로"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8 (8): 365-387, 2007

      21 정동훈, "국내 보조공학 연구동향 분석 : 1998~2008년 특수교육 및 재활 관련 학술지 중심으로" 한국지체부자유아교육학회 52 (52): 97-124, 2009

      22 성태제, "교육연구방법의 이해" 학지사 2005

      23 Sitlington, Patricia L., "Transition Education and Services for Adolescents with Disabilities" Allyn & Bacon 2000

      24 Stacy M.Kelly, "The Digital Social Interactions of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Findings from Two National Surveys" 102 (102): 528-539, 2008

      25 Hatlen, "The Core Curriculum for Blind and Visually Impaired Students, Including Those with Additional Disabilities" 28 (28): 25-32, 1996

      26 Smith,Audrey J., "Policy to Practice: Teachers' and Administrators' Views on Curricular Access by Students with Low Vision" 98 (98): 612-628, 2004

      27 Lohmeier, "Implementing the Expanded Core Curriculum in Specialized Schools for the Blind" 37 (37): 126-133, 2005

      28 Alan J., "American Foundation for the Blind" NY 2 :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04-24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For Education & Rehabilitation Of Visually Impaired -> Korea Association for Education & Rehabilitation of the Visually Impaired KCI등재후보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5-11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시각장애연구회 ->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8 0.48 0.5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 0.6 0.648 0.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