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인터페이스 환경변화에 따른 인터페이스 3.0에 관한 연구 : ICT 기기를 중심으로 = (A)Study on interface 3.0: focused on ICT devic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418950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홍익대학교 국제디자인전문대학원, 2014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4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005.437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xⅱ, 162 p. (접지1매) : 채색삽도,도표 ; 26cm

      • 일반주기명

        홍익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나건
        참고문헌 (p.153-158)포함

      • DOI식별코드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홍익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tudy is an attempt to understand the future ICT device market by strategically redefining interface that used to have limited usage to some degree in the changing interface environment, and to add value to products and provide them more durabilit...

      The study is an attempt to understand the future ICT device market by strategically redefining interface that used to have limited usage to some degree in the changing interface environment, and to add value to products and provide them more durability as a mega-trend by presenting improved interface. With rapid technology development,
      progress has been made in a major part of interface. Some of the progress were expected and have been verified with time. Moore’s law saying that the number of transistors on integrated circuits doubles approximately every two years has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systems that have been applied to diverse fields of human life. With high-tech development and decrease in product sizes and prices, various new ICT devices such as smart phone, PDA, digital camera and MP3 player have been produced. Besides, as platforms like internet have been developed and novel networks such as GPS and Bluetooth widely used, a content-based new software market has emerged, and mobile-based applications such as SNS and Cloud service have taken center stage.
      The changes have rapidly permeated all strata of society, transcending place, time and method. As a result,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methods of people have been changed. The interface environment is transforming with technology development and change of multilateral factors in society and economy, which has significant effects on design.
      Socially, population aging and low birth rate issues have come to the fore and the size of households is getting smaller from family-based households to one-person households. Communication methods are also changing in the same direction. Economically, value shifting has taken place from traditional hardware manufacturing industry to new manufacturing and service industries distributing contents based on ICT,
      in other words, to a software market. Technologically, scientific technology has shown innovative development, which resulted in increased functional complexity. Communication between things as well as between human beings started to take place and the system has been embedded in most products. The communication method and functional complexity have brought about a rapid change of the interface environment, which, in turn, is heavily influencing design. The most notable change was made in smart design due to the traits of ICT devices, among four mega trends in design: universality, durability,
      sensibility based on analog, and smart design.
      As mentioned above, ICT devices are closely related to technology development in particular, and the interface is considered to serve as a means adding durability to smart design, one of the mega trends.
      According to Crossing the Chasm by Geoffrey Moore, when the performance, reliability and cost do not satisfy consumer needs, the market is led just by initial adopters who have a tendency of early adopters and are users eager to adopt the technology early. However, most of the general customers belong to late adopters who accept only the technology that has been tested, and want usability, great user experience and value. As a design method to create ICT devices with
      durability that cross the chasm and satisfy the desire of late adopters, namely, general customers, it is necessary that multilateral studies be conducted on the interface that provides usability and great user experience, and the extent of the interface be strategically broadened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interface environment. Therefore, the study strategically expanded the definition of interface to interface 1.0 as place where independent systems meet and interact, interface 2.0 as interaction that takes place in the place, which includes the meaning as a means, and interface 3.0, as Eco-system surrounding the Place and Means. In addition, by organizing terms that used to have narrow meanings, or mixed usage, analyzing the related technology, predicting the future interface environment with scenarios based on persona, and suggesting an interface circumstances of @Home,
      @Work and @3rd Place for ICT devices, this study aims to lay the foundation for understanding and assessing the interface environment for ICT devices of the near futu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인터페이스의 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다소 한정적으로 쓰였던 인터페이스의 정의를 전략적으로 재정의 함으로써 다가오는 미래의 ICT기기를 중심으로 한 Eco-system을 이해하...

      본 연구의 목적은 인터페이스의 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다소 한정적으로 쓰였던 인터페이스의 정의를 전략적으로 재정의 함으로써 다가오는 미래의 ICT기기를 중심으로 한 Eco-system을 이해하고, 인터페이스의 범위를 확대한 인터페이스3.0의 정의를 제안함으로써 향후 인터페이스가 디자인의 메가트렌드로서 더 긴 지속성을 가질 수 있도록 돕기 위함이다.
      인터페이스는 기술의 발전과 함께 그 환경의 급격한 변화로 인해 많은 부분에 변화를 가져왔다. 2년마다 트랜지스터의 집적도가 두 배로 늘어난다는 무어의 법칙은 우리 삶의 다양한 부분에 적용되는 시스템의 발전에 기여했으며, 기술이 고도화 되고 사이즈와 가격이 감소함에 따라 스마트폰과 PDA, 디지털카메라, MP3 Player같은 다양하고 새로운 ICT 기기들이 만들어졌다. 또한 인터넷과 같은 플랫폼이 발전하고 GPS, Bluetooth와 같은 새로운 네트워크가 널리 이용되며, 컨텐츠기반의 새로운 소프트웨어 시장이 부상했고, 공유를 기반으로 하는 소셜 네트워크나, 클라우드 서비스 등 모바일 기반의 애플리케이션들이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장소와 시간과 그 방법을 초월하며 거의 모든 경제계층에 빠르게 스며들어 사람들의 소통 및 상호작용하는 방식을 변화시키고 있다.
      인터페이스 환경은 기술발전과, 사회 및 경제의 다변적 요소 변화로 인해 함께 변화하고 있으며, 그것은 디자인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사회적으로는 고령화와 저출산 문제가 대두되고 있으며, 가족중심 가구에서 개인중심의 1인 가구로 점차 소규모화 되어 가고 있다. 소통방법 또한 가족중심에서 개인중심으로 이동하고 있다. 경제적으로는 전통적인 하드웨어 제조업에서, ICT 기반의 컨텐츠 유통의 신제조업 및 서비스업의 시대, 즉 소프트웨어 마켓으로 가치가 이동하고 있다.
      기술적인 면으로는, 과학기술이 혁신적으로 발전을 이루고 이로 인해 기능의 복잡성이 증가하였다. 인간과 사물 외에도 사물과 사물도 상호소통하기 시작하였고, 대부분의 제품에 시스템이 내장되고 있으며, 제품기능의 복잡성이 높아지게 되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 환경의 변화는 디자인에도 많은 영향을 주고 있으며, 4가지 디자인 메가트렌드인 유니버설 디자인, 지속가능 디자인, 아날로그기반의 감성디자인, 디지털기반의 스마트 디자인 중에서도 ICT기기의 특성상 스마트 디자인에 가장 많은 변화를 초래하였다.
      이처럼, ICT기기는 특히 기술의 발전과 밀접한 관계에 있으며, 디자인 메가트 렌드인 스마트 디자인으로 지속성을 갖기 위한 수단으로서, 인터페이스가 그 방법이 될 수 있다고 보았다. 제프리 무어(Geoffrey A. Moore)의 “Crossing the Chasm”에 따르면, 기술의 성능, 신뢰도, 비용이 소비자들의 욕구에 못 미칠 때에는, 시장은 초기수용자들에 의해서만 주도되는데, 이들 초기수용자들은 얼리어답터의 성향을 갖고 있으며, 그 기술을 빨리 받아들이고 싶어 하는 사용자들이다.
      그러나 대다수의 일반소비자들은 후기 수용자들로서, 이들은 검증된 기술만을 받아들이며, 사용에 있어서의 편의성과 함께 좋은 사용자 경험과 가치를 원한다. 이러한 일반소비자인 후기 수용자들의 욕구에 충족하는 캐즘(Chasm)을 극복하고 긴 수명을 갖는 ICT기기 디자인의 방법으로서 편의성과 좋은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를 다각적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으며, 인터페이스 환경의 변화에 따라 전략적으로 인터페이스의 범위를 확대해야 한다고 보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독립된 시스템이 만나고 상호작용하는 장소성의 의미로서의 인터페이스가 ‘인터페이스 1.0’이었다면, 이러한 장소에서 이루어지는 상호작용 즉, 수단적인 의미까지를 인터페이스를 ‘인터페이스 2.0’ 그리고 장소와 수단을 둘러싼 환경인 에코시스템(Eco-system)까지의 인터페이스를 ‘인터페이스 3.0’으로 그 정의의 범위를 전략적으로 확대하였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그동안 다소 협소한 의미로 쓰이거나, 의미가 혼재되었던 용어를 정리하고, 관련 기술들을 분석하여 인터페이스환경의 미래를 퍼소나 기반의 시나리오로 예측해봄으로써, 미래 ICT기기의 인터페이스 환경을 Home(집), Work(직장), 그리고 집과 직장 이외의 장소를 의미하는 3rd Place에서 예측해 봄으로써 근 미래 ICT기기의 인터페이스 환경을 이해하고 가늠할 수 있는 초석이 되고자 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 1장 서론 1
      • 1-1 연구의 배경 1
      • 1-2 연구의 목적 1
      • 1-3 연구의 필요성 3
      • 1-4 연구의 방법 4
      • 제 1장 서론 1
      • 1-1 연구의 배경 1
      • 1-2 연구의 목적 1
      • 1-3 연구의 필요성 3
      • 1-4 연구의 방법 4
      • 1-5 연구의 구성 5
      • 제 2장 트렌드에 관한 이론적 연구 7
      • 2-1 트렌드 7
      • 2-2 미래 예측 기법 9
      • 2-2-1 시나리오 12
      • 2-2-2 퍼소나기반 시나리오 14
      • 2-2-3 퍼소나기반 시나리오 23
      • 2-3 미래 예측 사례 25
      • 2-3-1 국내외 주요 기관에서 발표한 미래 트렌드 26
      • 2-3-2 국내외 주요 기관에서 발표한 미래 유망기술 현황 31
      • 2-3-3 그 밖에 미래예측 35
      • 2-4 SET에 의한 트렌드 50
      • 2-4-1 Social Trend 51
      • 2-4-2 Economic Trend 54
      • 2-4-3 Technology Trend 55
      • 제 3장 디자인과 트렌드 57
      • 3-1 디자인 메가트렌드 57
      • 3-1-1 모두를 위한 Universal Design 58
      • 3-1-2 지속가능 사회를 위한 Sustainable Design 60
      • 3-1-3 아날로그 감성의 Retro Design 61
      • 3-1-4 디지털 기반의 Smart Design 63
      • 3-2 ICT 기기와 트렌드 65
      • 제 4장 ICT 기기와 인터페이스의 관계 및 중요성 68
      • 4-1 제품의 가치를 더하는 인터페이스 68
      • 4-1-1 인터페이스 ICT 기기와의 관계 69
      • 4-1-2 인터페이스가 주는 경제적 영향 73
      • 4-1-3 메가트렌드가 되기 위한 인터페이스의 역할 74
      • 제 5장 인터페이스 3.0 78
      • 5-1 인터페이스의 역사적 고찰 78
      • 5-1-1 인간-컴퓨터 78
      • 5-1-2 인간-기계 81
      • 5-1-3 인간-기계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인터페이스 발달 과정 84
      • 5-2 인터페이스 정의 89
      • 5-2-1 인터페이스의 정의 89
      • 5-2-2 인터페이스의 재정의 92
      • 5-2-3 인터페이스 3.0의 요소 93
      • 5-2-4 Eco-system의 중요성 98
      • 제 6장 인터페이스 3.0의 기술 발전 102
      • 6-1 제어(Controlling) 102
      • 6-2 감지(Sensing) 107
      • 6-3 처리(Processing) 110
      • 6-3-1 빅데이터 (Big Data) 110
      • 6-3-2 클라우드 서비스 (Cloud Service) 119
      • 6-3-3 인공지능 (Artificial Intelligence) 121
      • 6-4 Eco-system 129
      • 6-4-1 Eco-system의 활용사례 130
      • 제 7장 인터페이스 관점의 트렌드 예측 141
      • 7-1 미래 트렌드 예측 시나리오 142
      • 7-1-1 Home 환경의 시나리오 142
      • 7-1-2 Work 환경의 시나리오 144
      • 7-1-3 3rd Place 환경의 시나리오 145
      • 제 8장 결론 146
      • 8-1 결론1 146
      • 8-2 결론2 148
      • 8-3 결론3 149
      • 참 고 문 헌 151
      • Abstract 15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