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장서각에 소장된 왕실 고문서인 ‘궁중발기’의 자료적 가치에 주목하고, 순종 출산관련 발기의 내용을 분석하여 조선시대 왕실의 출산문화에 관한 몇 가지 실마리를 제시하고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82321249
2010
Korean
궁중발기 ; 왕실 ; 출산문화 ; 출산체계 ; 산후속 ; 산실청 ; Gungjungbalgi ; royal family ; childbirth culture ; childbirth system
151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3-34(32쪽)
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장서각에 소장된 왕실 고문서인 ‘궁중발기’의 자료적 가치에 주목하고, 순종 출산관련 발기의 내용을 분석하여 조선시대 왕실의 출산문화에 관한 몇 가지 실마리를 제시하고자...
이 논문은 장서각에 소장된 왕실 고문서인 ‘궁중발기’의 자료적 가치에 주목하고, 순종 출산관련 발기의 내용을 분석하여 조선시대 왕실의 출산문화에 관한 몇 가지 실마리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선 궁중발기를 이용한 기존 연구들의 성과와 경향을 살폈다. 그리고 장서각에 소장된 왕실 출산관련 궁중발기 자료를 정리하고, 자료적 특징과 의의를 밝혔다. 또한 순종 출산관련 발기를 하나의 분석사례로 삼아, 19세기 중반 왕실 출산문화의 일면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궁중발기는 왕실사람들의 일상생활을 실질적으로 도왔던 궁녀들이 직접 작성한 왕실의 생활문서이다. 지금까지 복식사, 음식사, 민속학 분야를 중심으로 왕실의 식생활, 의생활, 신앙생활의 일면을 밝혀주는 자료로 이용되었다. 궁중발기는 주로 19세기에 왕실의 여성이 한글로 작성한 왕실고문서라는 사료적 지위 때문에, 역사학자들이 상대적으로 소홀히 다루었던 자료이기도 하다.
본 논문에서는 조선시대 왕실의 출산과 관련하여 새로이 주목해야 할 자료로 19건의 왕실 출산관련 궁중발기를 정리하였다. 이를 인물별로 살펴보면, 헌종 출산관련 발기가 1건, 순종 출산관련 발기가 15건, 영친왕 출산관련 발기가 3건이다. 내용별로 살펴보면, 헌종과 영친왕 출산관련 발기는 모두 신생아의 의복과 관련된 것이다. 순종 출산관련 발기 15건은 산실청관련 발기가 2건, 출산 후 삼일부터 돌까지 왕실의 産後俗에 관한 발기가 13건이다. 그리고 왕실의 출산과 양육을 직, 간접적으로 도왔던 사람들에게 하사한 음식과 물건, 돈에 관한 것들을 기록하고 있다.
순종 출산관련 발기는 왕실 출산에 직접적으로 수고하여, 음식, 물건, 돈을 하사받은 사람들과 순종의 탄생을 축하하며 축하금이나 물건을 준 왕실 가족과 친인척들, 그리고 왕실에서 만든 미역국이나 백일병을 나눠먹은 사람들을 기록하고 있다. 이를 통해 왕실 출산을 실질적으로 도왔던 사람들 사이의 역할과 위계관계를 밝히고, 19세기 왕실의 가족구성과 친족관계, 사회적 관계망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tries to provide some clues to the childbirth culture of the Joseon royal family. For this, it notices the historical value of the old documents ‘Gungjungbalgi’ and analyses the documents of them that are related with the birth of the k...
This study tries to provide some clues to the childbirth culture of the Joseon royal family. For this, it notices the historical value of the old documents ‘Gungjungbalgi’ and analyses the documents of them that are related with the birth of the king Sunjong(純宗). I expect it to help reconstruct the childbirth culture of Joseon royal family in the mid-19th century. The ‘Gungjungbalgi’ are the kind of lists written in Hangul(Korean alphabet) by court ladies who are the attendants to the royal family members. We can get a sense of everyday life of the royal family through them. Up to now, Gungjungbalgi have been used as historical materials that show the royal family’s daily life about foods (食), costumes(衣) and beliefs(信仰) etc. But as they are the old documents written in Hangul, most of Historian have somewhat neglected them.
This study have sorted out nineteen documents of Gungjungbalgi from the Jangseo-gak library which are related with the births of the royal family. There is one of them that contains the birth of the king Heonjong(憲宗), fifteen the birth of the king Sunjong and three the birth of crown prince Yeong wang(英王). It is through the documents which deal with the birth of the king Sunjong that we can clearly see all the process from his pre-birth to his first birthday.
The documents refer to the people who received foods, money and stuffs for the works that they had done to help the birth of the king Sunjong. And the foods, money and stuffs given to those people are from the royal family members and its relatives. The documents also get a list of the people who received seaweed soup and a cake given to the one hundredth day.
We can concretely understand the roles of and the hierarchy system among the people who are related with the birth and child care in the royal family. We can also see the family structure, the kinship system and the social networks in the royal family in the mid-19th century.
I want this study to help us understand the fact that the birth as human behavior is the cultural construction in specific community and so, in order to concretely interpret the behavior, we should be able to go beyond each separate knowledge and thin descriptions into the childbirth system that is whole and integral.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驪興閔氏族譜"
2 최길성, "한말의 궁중무속" 3 : 1970
3 한양명, "한국 산속의 체계적 이해를 위한 시론" 비교민속학회 16 : 1999
4 황문환, "출산에 앞서 미리 알아두어야 할 여러 방법 : 임산예지법, In 조선왕실의 출산문화" 이회 2005
5 김호, "조선후기 왕실의 출산지침서: 림산예지법" 대한의사학회 13 (13): 10-10, 2004
6 김호, "조선후기 왕실의 出産 풍경, In 조선의 정치와 사회" 집문당 2002
7 김용숙, "조선조궁중풍속연구" 일지사 1987
8 "조선왕실의 안태와 태실관련의궤"
9 신명호, "조선시대 宮中의 出産風俗과 宮中醫學" 한국고문서학회 21 : 199-226, 2002
10 김호, "조선 왕실의 장태의식과 관련 의궤" 일지사 (29-2) : 2003
1 "驪興閔氏族譜"
2 최길성, "한말의 궁중무속" 3 : 1970
3 한양명, "한국 산속의 체계적 이해를 위한 시론" 비교민속학회 16 : 1999
4 황문환, "출산에 앞서 미리 알아두어야 할 여러 방법 : 임산예지법, In 조선왕실의 출산문화" 이회 2005
5 김호, "조선후기 왕실의 출산지침서: 림산예지법" 대한의사학회 13 (13): 10-10, 2004
6 김호, "조선후기 왕실의 出産 풍경, In 조선의 정치와 사회" 집문당 2002
7 김용숙, "조선조궁중풍속연구" 일지사 1987
8 "조선왕실의 안태와 태실관련의궤"
9 신명호, "조선시대 宮中의 出産風俗과 宮中醫學" 한국고문서학회 21 : 199-226, 2002
10 김호, "조선 왕실의 장태의식과 관련 의궤" 일지사 (29-2) : 2003
11 김지영, "장서각 소장『大君公主御誕生의 制』에 관한 일고찰" 한국학중앙연구원 (18) : 189-199, 2007
12 "임산예지법"
13 김용숙, "의 硏究-資料 提示를 主로 하여-" (18) : 1963
14 "육전조례"
15 "산실청총규"
16 "만기요람"
17 "대군공주어탄생의 제"
18 "내의원식례"
19 이명은, "궁중발기에 나타난 행사 및 복식연구-장서각소장품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2003
20 최길성, "궁중무속자료" 한국민속학회 2 : 1970
21 "궁궐지Ⅰ-경복궁·창덕궁"
22 "국역 호산청일기"
23 "국역 태봉등록"
24 "국역 안태등록"
25 이성우, "朝鮮朝의 宮中飮食件記에 관한 考察" 3 (3): 1988
26 한복진, "朝鮮朝 宮中 誕日床 발기의 分析的 硏究" 4 (4): 1989
27 최호림, "朝鮮時代 胎室에 관한 一硏究" 한양대학교 7 : 1985
28 "古文書集成 十二-藏書閣篇Ⅲ"
29 "古文書集成 十三-藏書閣篇 Ⅳ"
30 안애영, "1882(임오)년 왕세자 가례 연구-가례도감의궤와"궁중발기"중심으로- 제22집" 장서각 2009
德壽宮 贊侍室 편찬의 『日記』 자료를 통해본 식민지시대 고종의 일상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4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20-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 ![]() |
2017-03-07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Academy of Korean ->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등재후보1차)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7-05-15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angseogak -> JANGSEOGAK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6 | 0.86 | 0.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6 | 0.67 | 1.505 | 0.4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