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제조업이나 생산자 서비스업과 특성이 다른 코스닥시장 유통기업을 대상으로 무형자산 투자 활동이 기업의 시장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주가대장부가치비율에서 도출한 연구모형...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313560
2021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25-46(22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제조업이나 생산자 서비스업과 특성이 다른 코스닥시장 유통기업을 대상으로 무형자산 투자 활동이 기업의 시장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주가대장부가치비율에서 도출한 연구모형...
본 연구는 제조업이나 생산자 서비스업과 특성이 다른 코스닥시장 유통기업을 대상으로 무형자산 투자 활동이 기업의 시장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주가대장부가치비율에서 도출한 연구모형을 이용하여 투자 활동의 효율성(efficiency)과 집중도(intensity) 측면에서 실증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에 따르면, 유통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무형자산의 투자집중도가 시장가치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무형자산 규모가 기업가치에 반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통기업의 광고선전비 및 연구개발비의 경우, 투자집중도 보다는 투자의 효율성이 시장가치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시장 투자자들은 광고선전비 및 연구개발비의 투자 규모보다 투자 효율성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한편, 유통기업의 인적자원지출과 시장가치와의 관련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학문적으로 기존 선행연구에서 실증적인 연구가 상대적으로 적었던 유통기업의 무형자산 관련 투자 활동과 기업가치 관련성을 실증분석하였고, 실무적으로 듀퐁의 확장식을 통해 투자 효율성과 집중도 차원에서 기업가치와의 관련성을 분석하여 유통기업의 무형자산 투자 활동의 초점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지역 내 편의점 출점의 효과: 2010-2015 경제총조사 자료를 이용한 분석
B2B영업사원의 디지털 문해력과 디지털영업기술 자기효능감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통제욕구의 조절된 매개효과
자기해석과 추천메시지의 일치성이 제품평가에 미치는 영향: 과시적 제품을 중심으로
번들제품 유형이 포만감 지연에 미치는 영향: 제품특성과 소비자특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