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신라·가야 취락의 분화와 전개 = Differentiation and Development of the Settlement of Silla and Gaya reg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2076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Yeongnam region, residence began to differentiate around the third century, resulting in different residential patterns between the eastern and the western part of the region. Although it is possible to distinguish between residence of Silla and th...

      In Yeongnam region, residence began to differentiate around the third century, resulting in different residential patterns between the eastern and the western part of the region. Although it is possible to distinguish between residence of Silla and that of Gaya, it is not easy to learn the trends of political system through them.
      Hence, this study focused on the patterns of a settlement according to the region in the third and the fourth century. Above all, it tried to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a settlement by the operational subject of warehouses directly and indirectly related with the development of political power. In accordance with functions, settlement with large warehouses are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 a settlement with central-place function, which is the subject of the exchanges and trades (type 1); a settlement near a good transportation (type 2); and a settlement of production (type 3). Silla region seemed to have established a good transportation, with which it could reach large areas through various routes to see the settlement distribution of its own type. Gyeongju, in the third and fourth century, had an equal level of prosperity with that of centers of neighboring regions. By the late fourth century, it is believed to have intensified the central-place functions through the main exchange network, which helped it get to the society of large mounded tombs. On the other hand, Geumgwangaya region is seen to have its settlement mainly in the central-place, because it had been integrated within a small scale, which relatively led to the reinforcement of the central-place functions. Distinction of a settlement such as type 1 and type 2 between the western inland of Yeongnam region and the southern coast is not clear, because its settlement system differed from that of other region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영남지방은 대체로 3세기 후반 무렵, 주거의 구조적 분화가 진행되어 영남 동부와 서부지역, 서부지역은 낙동강 하류역과 서부내륙·남해안 일대의 광역 단위별로 다른 형식의 주거지가 확...

      영남지방은 대체로 3세기 후반 무렵, 주거의 구조적 분화가 진행되어 영남 동부와 서부지역, 서부지역은 낙동강 하류역과 서부내륙·남해안 일대의 광역 단위별로 다른 형식의 주거지가 확인된다. 이를 통해 대략적인 신라와 가야의 구분은 가능하였으나, 누대에 걸쳐 자연스럽게 형성된 거주의 방식이라는 측면에서 볼 때 그것이 당시 정치체의 동향을 적극적으로반영한다고는 볼 수 없었다. 이에 3~4세기대 권역별 취락 양상에 주목하였는데, 특히 정치 권력의 성장과 직·간접적으로관련 있는 창고의 운영 주체를 통해 취락을 분석하였다. 대규모 창고군이 갖춰진 취락을 기능에 따라, 중심취락(1유형)· 교통의 요지에 위치한 취락(2유형)·생산취락(3유형)으로 구분하였다. 1-3 유형의 취락 분포를 통해 볼 때, 신라권역은 다양한 루트를 이용하여 넓은 범위를 포괄하는 교환망을 일찍부터 구축하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이때의 경주는 타 지역 중심지와 대등한 수준이었다면 4세기 후반으로 갈수록 주요 교환망을 매개로 점차 중심지의 기능이 강화되면서 고총사회로진입하였던 것으로 이해된다. 반면 금관가야권역은 제 유형의 취락이 김해에 집중되는 현상을 보이는데, 이는 공간적으로좁은 범위에서 통합이 이루지다 보니 상대적으로 중심지의 기능이 강화되었던 것으로 풀이된다. 그리고 영남 서부내륙 및남해안 일대에서 1·2유형 취락이 뚜렷하게 구분되지 않는 것은 취락의 체계가 타 권역과 달랐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유병록, "嶺南地方 原三國·三國時代 住居와 聚落" 嶺南考古學會 2009

      2 김창억, "嶺南地方 原三國·三國時代 住居와 聚落" 嶺南考古學會 2009

      3 김나영, "嶺南地方 原三國·三國時代 住居와 聚落" 嶺南考古學會 2009

      4 金羅英, "嶺南地域 三韓時代 住居址의 變遷과 地域性" 釜山大學校 大學院 2007

      5 부경문물연구원, "梁山 椧洞 遺蹟"

      6 권귀향, "洛東江 以西地域 三國時代 住居址의 展開樣相"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2

      7 공봉석, "영남지방 원삼국·삼국시대 주거" 韓國考古學會 2013

      8 李熙濬, "신라의 성립과 성장 과정에 대한 고찰-고고·역사·지리적 접근-" 韓國考古學會 1996

      9 공봉석, "신라고고학 개론上" 진인진 2014

      10 김진철, "삼국시대 타원형 수혈주거지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2009

      1 유병록, "嶺南地方 原三國·三國時代 住居와 聚落" 嶺南考古學會 2009

      2 김창억, "嶺南地方 原三國·三國時代 住居와 聚落" 嶺南考古學會 2009

      3 김나영, "嶺南地方 原三國·三國時代 住居와 聚落" 嶺南考古學會 2009

      4 金羅英, "嶺南地域 三韓時代 住居址의 變遷과 地域性" 釜山大學校 大學院 2007

      5 부경문물연구원, "梁山 椧洞 遺蹟"

      6 권귀향, "洛東江 以西地域 三國時代 住居址의 展開樣相"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2

      7 공봉석, "영남지방 원삼국·삼국시대 주거" 韓國考古學會 2013

      8 李熙濬, "신라의 성립과 성장 과정에 대한 고찰-고고·역사·지리적 접근-" 韓國考古學會 1996

      9 공봉석, "신라고고학 개론上" 진인진 2014

      10 김진철, "삼국시대 타원형 수혈주거지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2009

      11 부경문물연구원, "기장 임기 마을회관 및 경로당 건립부지 내 유적 발굴(정밀)조사 결과 약보고서" 2014

      12 강정미, "기장 가동 취락의 고고학적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1

      13 전옥연, "고고자료로 본 봉황동유적의 성격" 김해시·인제대학교 가야문화연구소 2013

      14 정우현, "경남지역 삼국시대 방형계 수혈주거지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3

      15 공봉석, "경남 서부지역 삼국시대 수혈건물지의 구들연구" 한국고고학회 (66) : 90-121, 2008

      16 兪炳琭, "韓日聚落硏究" 서경문화사 2013

      17 李東熙, "韓日聚落硏究" 서경문화사 2013

      18 金昌億, "韓日聚落硏究" 서경문화사 2013

      19 釜山大學校博物館, "金海 鳳凰臺遺蹟"

      20 國立昌原文化財硏究所, "金海 鳳凰洞 單獨住宅敷地 試掘調査報告書-240번지, 260번지, 284번지, 177번지, 442-5번지-"

      21 慶南發展硏究院 歷史文化센터, "金海 加耶人 生活體驗村 造成敷地內 遺蹟Ⅰ"

      22 蔚山文化財硏究院, "蔚山 校洞里遺蹟Ⅰ~Ⅳ"

      23 國立慶州文化財硏究所, "月城垓字"

      24 李盛周, "新羅·伽耶社會 分立과 成長에 대한 考古學的 檢討" 13 : 1993

      25 權太龍, "慶山 林堂遺蹟 聚落硏究 -F地區를 中心으로" 釜山大學校 大學院 2010

      26 釜山大學校博物館, "傳金官加耶宮墟址"

      27 權五榮, "三韓의 「國」에 대한 硏究"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6

      28 李賢惠, "三國時代의 농업기술과 사회발전-4~5세기 新羅社會를 중심으로" 8 : 199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 1 0.7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9 0.82 1.798 0.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