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목적은 의사소통 능력의 구성 요소를 설정하고, 그에 맞추어 고등학생의 의사소통 능력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는 데 있다. 의사소통의 네 가지 요소 중 메시지를 제외한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602823
2012
-
700
KCI등재
학술저널
212-256(45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목적은 의사소통 능력의 구성 요소를 설정하고, 그에 맞추어 고등학생의 의사소통 능력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는 데 있다. 의사소통의 네 가지 요소 중 메시지를 제외한 ...
이 연구는 목적은 의사소통 능력의 구성 요소를 설정하고, 그에 맞추어 고등학생의 의사소통 능력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는 데 있다. 의사소통의 네 가지 요소 중 메시지를 제외한 화자, 청자, 맥락을 변인으로 두고 의사소통 능력의 하위 범주를 설정하였다. 화자 변인에 의해서는 말하기 능력, 청자 변인은 듣기 능력, 그리고 화자와 청자 변인에 공통적으로 해당하는 태도와 사회적 관계, 맥락에 해당하는 공통 능력으로 구성하였다. `말하기 능력`의 세부 요소로는 유창성, 발화의 논리적 구성, 언어적 표현, 비언어적 표현, 자기표현의 5요소로 구분하였고, `듣기 능력`으로는 사실적 듣기, 추론적 듣기, 비판적 듣기, 공감적 듣기의 4요소로, `공통 능력`으로는 맥락, 사회적 관계, 태도의 세 가지로 구성하여 총 12개의 하위 요소로 구분하였다. 의사소통 능력을 구성하는 하위 영역별로 그것을 측정할 수 있는 문항을 개발하고, 전문가의 검토를 거쳐 문항을 1차로 확정한 후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결과에 대해 통계 분석을 통해 문항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여 적절하지 않은 문항을 제거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고등학생의 의사소통 능력을 진단할 수 있는 도구를 도출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t components of communicative ability and to develop of inventory to measure communicative ability for high school students. The subcategories of communicative ability have been set based on speaker, listener, and c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t components of communicative ability and to develop of inventory to measure communicative ability for high school students. The subcategories of communicative ability have been set based on speaker, listener, and context except message among four factors of communication. speaker-speaking ability, listener-listening ability and context-common ability. Speaking ability involves fluency, logical construction, verbal expression, nonverbal expression and self-expression. Listening ability contains explicit listening, inferential listening, critical listening and emphatic listening. Common ability involves communicative context, social relation, and attitude. The inventory has been set through several steps: 1) Developing initial inventories to measure communicative ability classified by subcategories 2) reviewing from 3 experts of communication area 3) surveying 479 high school students 4) verifying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5) eliminating inappropriate inventories 6) setting inventory classified by subcategories to measure communicative ability.
특집 : 제1차 국제학술대회 ; 한국에서의 국어교육 연구와 실제 -학술지 수록 논문을 중심으로
제1차 국제학술대회 ; 한국어교육 제3의 중흥기에 돌아본 교육 현황과 해결 과제
제1차 국제학술대회 ; 다문화 배경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
제1차 국제학술대회 ; 희곡교육에서의 극 능력과 성취기준 설정 -희곡문학의 연극성과 공연성 교육을 위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