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현상학적 질적 연구방법으로 Lectio Divina 참여자들이 무엇을 경험하는지 심층적 분석으로 통해 참여의 본질적 경험의 의미와 구조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더 세분화 하여 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4934315
부산 :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학위논문(석사) --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2018.8
2018
한국어
상담심리학 ; 영성훈련 ; 현상학적연구 ; Lectio divina
186.3 판사항(5)
부산
A phenomenological study on experience of spirituality training participants focusing on the Lectio Divina
iii, 118장 : 삽화, 도표 ; 26 cm
지도교수: 김윤희
부록 : 연구참여동의서, 영성훈련 참여자들을 위한 면담지 외
참고문헌(p.100-105) 수록
I804:21020-200000165778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현상학적 질적 연구방법으로 Lectio Divina 참여자들이 무엇을 경험하는지 심층적 분석으로 통해 참여의 본질적 경험의 의미와 구조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더 세분화 하여 참...
본 연구는 현상학적 질적 연구방법으로 Lectio Divina 참여자들이 무엇을 경험하는지 심층적 분석으로 통해 참여의 본질적 경험의 의미와 구조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더 세분화 하여 참여자들이 경험의 의미를 탐색하고, 수행 중 일어나는 자기 변화의 과정에서 일반적인 경험의 구조를 도출하여 분석하므로 Lectio Divina가 참여자 개인의 내적 치유 현상에서 나타나는 심리학적 함의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참여자들은 부산○○대학교 신학대학원에 재학 중인 5명으로, 2018년 1월 26일과 2월2일, 2회의 개별 심층면담을 통해 연구 자료를 녹음하고, 전사 작업을 통해서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Lectio Divina 참여자의 경험을 이해하기 위해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였다. 따라서 참여자들의 면담 내용은 Giorgi가 제시한 연구방법 3단계인 ‘전체 인식하기’, ‘의미단위 구분하기’, ‘학문적 용어로 변환하여 구조적으로 통합하기’를 통해 분석하였고, 그 결과 98개의 구성된 의미와 36개의 주제, 12개의 주제묶음으로 분류되었다. 또한 Lectio Divina 경험의 일반적 구조를 자기변화의 관점에서는 4개의 주제묶음과 9개의 주제로는<정서적 정화: 위로, 평안과 휴식, 물리적 환경이 주는 쉼>, <내면에 집중: 내면의 소리에 집중>, <낯익은 대상을 새롭게 만남: 애써 외면해 왔던 나를 만나다, 하나님을 새롭게 만나다, 타자를 새롭게 만나다>, <수용: 부정에서 긍정으로, 지금-현재를 체험>로 분류하고 상상적 변형을 활용하여 자유롭게 4가지 영역(정화, 집중, 만남, 수용)으로 구분하여 일반적인 경험의 구조를 도출하였다. 4가지 영역에서는 독립적인 부분도 있고 모두 혼재해서 나타나는 부분도 있지만, 지속적, 반복적으로 이루어질 때 하나님을 느끼고 하나님과 함께 하는 관상의 삶으로 자기변화를 이룬다. 이것이 삶에서 적극적 태도가 주어질 때 자기변화는 계속적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다르게 Lectio Divina 과정의 4가지 영역에서 자기변화를 이루었다고 할지라도 이것이 일회성으로 끝나버리면 일상의 삶으로 다시 돌아가게 될 수도 있다. 그렇지만 이 과정에서는 Lectio Divina 경험에서 이미 느꼈던 생각, 마음들은 인지되어 있기 때문에 작은 변화라고 할지라도 참여자들은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변화를 쉽게 경험할 수 있었던 것은 이미 영성훈련 이전의 삶에서 이들만의 강점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우리가 진공상태에서 개인이 가지고 있는 자원이 원천이 되어서 성장을 이끄는 힘이 되고 이러한 자원의 원천은 긍정심리학적인 강점으로 다시 의미를 재구성하여 통합될 수 있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논의와 제언에서는 Lectio Divina 경험의 의미 분석과 효과성에 대하여 심리학적 함의를 논의해보고, 최근 Lectio Divina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반인들이 쉽게 접하지 못하는 이유를 제시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Lectio Divina 참여자의 경험의 의미와 일반적인 경험의 구조를 밝히는 국내 최초의 질적 연구라는 것에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이를 바탕으로 영성훈련의 연구가 더욱 심도 있게 이루어져 Lectio Divina의 대중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aning and structure of the essential experience of participation through an in - depth analysis of what participants in Lectio Divina experience as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he pu...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aning and structure of the essential experience of participation through an in - depth analysis of what participants in Lectio Divina experience as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sychological implications of Lectio Divina's internal healing phenomenon by analyzing the meaning of experience and the general structure of experience in the process of self-chang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five students attending the Graduate School of Theological Seminary in ○○, Busan, Korea, and recorded their research data through two separate in - depth interviews on January 26 and February 2, 2018. This study applied Giorgi's phenomenological study method to understand the experience of Lectio Divina participants. Therefore, participants' interviews were analyzed through three steps of Giorgi's research method : ‘Whole recognition', ‘Identifying semantic units', ‘Converting into academic terms and integrating structural', as a result, they were categorized as 98 constructed meanings, 36 topics, and 12 subject groups. In addition, the general structure of the Lectio Divina experience is divided into four themes in terms of the view of self-change and nine themes: "Eeotional cleansing : consolation, peace, relaxation offered by physical circumstances", "Concentrating on inner side : inner sound", "New meeting of things that are familiar to me : Meet myself who have been ostracizing myself", "Meet God newly, meet other people newly", Acceptance : from negative to positive, experience of the present, and general construction of experience was drawn, using imaginative transformation freely and dividing them into four areas (purification, concentration, meeting, acceptance). In the four areas, althought there are independent parts and blending parts, when they are done continuously and repeatedly, they feel God and make self-change into a contemplative life with God. When this is given an enthusiastic attitude in life, self-change is continuous. Unlike this, even though a person achieves self-change in the four areas of the Lectio Divina course, if it ends in one-off, the person could return to his or her normal life. In this process, however, thoughts and feelings already felt in the Lectio Divina experience are perceived, and participants will have it even though it is a small change. This change was easy to experience because people already had their strength in life before spiritual training. In other words, in the vacuum state, the resources that the individual possesses become the source and the power that leads to the growth, and the source of these resources can be reorganized and integrated with the positive psychological strength again. Finally, in the discussion and proposals, they discuss the psychological implications of the semantic analysis and effectiveness of the Lectio Divina experience, and suggest the reason why the public can not easily access to the Lectio Divina research despite the recent progress of research. In addition, this study has significant significance in that it is the first qualitative study in Korea which reveals the meaning of experiences and experiences of Lectio Divina participants using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s. Based on this, we intend to contribute to the activation among the public of the Lectio divina by conducting the further study of spiritual training.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