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 지역 농촌 독거노인의 우울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건강행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The Relationship of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among Rural Solitary Elder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Health Behavio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98479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s of health behavio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among rural solitary elder.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01 rural solitary elder and Main variables in...

      Objectives: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s of health behavio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among rural solitary elder.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01 rural solitary elder and Main variables included depression, quality of life, health behavior.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Descriptives Analysis, t-test, ANOVA, scheffe Post-hoc Analysis, corrlation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
      Results: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majority (42.2%) of rurul solitary elder were identified as depression and 9.0% were classified as high-risk depression. A difference in depression was found in relation to participants’ level of education, receipt, while a difference in quality of life was found to relate to participant’s age and their education, receipt. Second, The more depressed, the lower the quality of life, so depression had on significant relationship to quality of life of rural solitary elder. Third, health behavior worked as partial mediators between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among rural solitary elder.
      Conclusion: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and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also propos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민성길, "한국판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간편형 척도(WHOQOL-BREF)의 개발" 39 : 571-579, 2000

      2 이동호, "한국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09

      3 인완섭, "최근 빈곤 추이의 특성과 정책적함의: 1인 가구를 중심으로"

      4 이은석, "정체형 농촌지역 여성독거노인의 건강체조 참가와 건강증진행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 자아존중감, 우울의 매개효과" 한국사회체육학회 (38) : 683-697, 2009

      5 국가통계포털, "인구·가구"

      6 "우울증, 조울증 노인환자 급증, 노년층 정신건강 빨간불""

      7 정순둘, "우울 영향요인 : 베이비부머, 예비노인, 현재노인의 비교" 한국노인복지학회 (52) : 305-324, 2011

      8 한소현, "우리나라 지역별 건강수명과 관련요인" 한국인구학회 35 (35): 209-232, 2012

      9 이종화, "여성독거노인의 우울과 자아존중감및 건강증진행위" 14 (14): 109-118, 2005

      10 림금란, "여성독거노인의 우울과 삶의 질과의 관계: 사회적 지지, 사회적 활동의 조절효과 및 매개효과" 한국노년학회 31 (31): 33-47, 2011

      1 민성길, "한국판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간편형 척도(WHOQOL-BREF)의 개발" 39 : 571-579, 2000

      2 이동호, "한국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09

      3 인완섭, "최근 빈곤 추이의 특성과 정책적함의: 1인 가구를 중심으로"

      4 이은석, "정체형 농촌지역 여성독거노인의 건강체조 참가와 건강증진행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 자아존중감, 우울의 매개효과" 한국사회체육학회 (38) : 683-697, 2009

      5 국가통계포털, "인구·가구"

      6 "우울증, 조울증 노인환자 급증, 노년층 정신건강 빨간불""

      7 정순둘, "우울 영향요인 : 베이비부머, 예비노인, 현재노인의 비교" 한국노인복지학회 (52) : 305-324, 2011

      8 한소현, "우리나라 지역별 건강수명과 관련요인" 한국인구학회 35 (35): 209-232, 2012

      9 이종화, "여성독거노인의 우울과 자아존중감및 건강증진행위" 14 (14): 109-118, 2005

      10 림금란, "여성독거노인의 우울과 삶의 질과의 관계: 사회적 지지, 사회적 활동의 조절효과 및 매개효과" 한국노년학회 31 (31): 33-47, 2011

      11 김희경, "여성독거노인의 삶의 질 영향요인" 한국노년학회 30 (30): 279-292, 2010

      12 박선미, "여성독거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과 보완대체의학 이용 및 의도와의 관련성" 한국노년학회 34 (34): 691-704, 2014

      13 남기민, "여성독거노인들이 인지한 사회활동과 사회적 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우울과 죽음불안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52) : 325-348, 2011

      14 오현옥, "신체활동 참여노인들의 사회자본과 우울 및 삶의 질" 한국체육학회 53 (53): 535-547, 2014

      15 이화자, "시설노인의 우울, 자아존중감 및 생활만족도간의 관계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2006

      16 이진희, "만성질환 입원 노인 환자의 가족지지, 건강증진행위, 삶의 질에 관한 연구" 한북대학교 2014

      17 김은령, "만성 관절염 노인환자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우울 간의 관계에 미치는 사회적 자본의 상호작용 효과" 한국보건사회학회 (33) : 59-83, 2013

      18 신경인, "독거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요인에 관한 연구" 청주대학교 사회복지·행정대학원 2009

      19 김주희, "독거노인의 건강실태와 삶의 질에 관한 연구" 4 (4): 16-26, 2002

      20 염지혜, "도시노인과 농촌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 궤적에 대한 비교 연구 : 잠재성장모형을 이용하여" 한국농촌사회학회 23 (23): 193-239, 2013

      21 최희정, "농촌지역 독거노인의 우울과 자기효능감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동서간호학연구소 17 (17): 149-155, 2011

      22 최연희, "농촌지역 독거노인의 건강증진행위와 삶의 질"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21 (21): 87-100, 2004

      23 박중신, "농촌지역 독거노인 공동생활홈의 운영실태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농촌건축학회 16 (16): 1-8, 2014

      24 주애란, "농촌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의 관계" 6 (6): 27-37, 2004

      25 이권호, "농촌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따른 건강증진행동과 삶의 질에 대한 탐색" 청주대학교 2015

      26 신혜종, "농촌노인의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사회과학연구원 50 (50): 115-141, 2011

      27 양순미, "농촌노인의 독거ㆍ동거 가구형태가 심리적 고독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 21 (21): 129-139, 2003

      28 은영, "농촌노인과 도시노인의 건강행위 방해요인에 대한 비교 연구" 한국성인간호학회 16 (16): 531-544, 2004

      29 김하정, "농촌 지역 여성독거노인의 건강증진행위와 삶의 만족도"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27 (27): 254-261, 2016

      30 김두명, "농촌 지역 독거노인 말벗 도우미 가정방문의 효과"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44 (44): 35-63, 2016

      31 CPBC 뉴스, "농촌 독거노인, 공동생활홈서 재미난 일상 찾기"

      32 한국농어민신문, "농촌 독거노인 42만 8000호 ‘도시의 2배’"

      33 최정신, "농촌 공동생활홈 이용에 따른 여성 독거노인의 우울 영향 요인 연구"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27 (27): 625-634, 2016

      34 염지혜, "노인의 주관적 건강평가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 남녀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회 32 (32): 1101-1118, 2012

      35 허준수, "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13) : 7-35, 2002

      36 송희승, "노인의 우울, 걷기, 삶의 질의 관계에 대한 연구 - 걷기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4 (14): 515-525, 2016

      37 이후연, "노인의 사회 경제적 수준과 주관적 건강수준과의 관계" 한국보건행정학회 15 (15): 70-83, 2005

      38 이문수, "노인의 건강증진행위와 주관적 건강상태 및 삶의 질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산업경영디자인대학원 2012

      39 서현미, "노인의 건강증진생활양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Pender의 건강증진모형 적용" 한국간호과학회 34 (34): 1288-1297, 2004

      40 정재필, "노인의 건강증진 행위에 따른 건강상태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12

      41 한수정, "노인우울증의 영향요인과 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광운대학교 정보복지대학원 2006

      42 김연경, "노인복지시설 입소노인의 건강상태와 생활만족도 관련요인 : 무료시설과 유료시설을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8

      43 권재일, "노인들의 라이프스타일이 건강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11

      44 손덕순, "노인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 요인에 관한 요구" 강남대학교 대학원 2005

      45 안은영, "노인 우울증과 운동" 한국코칭능력개발원 8 (8): 13-21, 2006

      46 김지숙, "노인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영성을 중심으로"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47 강지선, "노년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 저소득층 노인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02

      48 정경희, "노년기 독거 현황과 정책적 대응전략"

      49 김귀분, "가족동거노인과 독거노인의 건강상태, 우울 및 삶의 질 비교연구" 한국성인간호학회 20 (20): 765-777, 2008

      50 이진숙, "가족대안으로서의 농촌 독거노인 생활공동체에 대한 연구" 한국가족학회 22 (22): 95-119, 2010

      51 Torrance, G., "Utility approach to measuring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40 (40): 593-600, 1987

      52 Dunbar, G. C., "The development of SBQOL-A unique scale for measuring quality of life" 2 : 65-74, 1992

      53 Walker, S. N., "The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ofile Ⅱ. college of Nursing"

      54 Tanner, E. K., "Recognizing late-life depression : why is this important for nurse in the setting" 26 (26): 145-149, 2005

      55 Ferrans, C., "Quality of life index : Development and sychometric properties" 8 (8): 15-24, 1985

      56 Sarvimaki, A., "Quality of life in old age described as sense of well-being, meaning and value" 32 (32): 1025-1033, 2008

      57 Margilvy, J. K., "Quality of life hearing-impaired older women" 34 (34): 140-144, 1985

      58 Boothroyd, R. I., "Peers for progress: Promoting peer support for health around the world" 1 : i62-i68, 2010

      59 The WHOQOL Group, "Development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QOL-BREF Quality of Life Assessment" 28 (28): 551-558, 1998

      60 Choi, N. G., "Depression in older nursing home residents : The influence of nursing home environmental stressors, coping, and acceptance of group and individual therapy" 12 (12): 536-547, 2008

      61 Conner, K. O., "Barriers to treatment and culturally endorsed coping strategies among depressed African-American older adults" 14 (14): 971-983, 2010

      62 이영호, "BDI, SDS, MMPI-D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에 대한 연구" 10 (10): 98-113, 1991

      63 국가통계포털, "2014년 고령자 통계 주요결과"

      64 이여봉, "1인 가구의 현황과 정책과제" (252) : 64-77, 201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7-02-10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알코올과학회 -> 알코올과 건강행동학회
      영문명 : Korean Society Of Alcohol Science -> Korean Society of Alchol Science and Health Behavior
      KCI등재
      2017-01-26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알코올과학회지 -> 알코올과 건강행동연구
      외국어명 : The J. of Korean Alcohol Science -> Alcohol and Health Behavior Research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5 0.55 0.6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4 0.77 1.079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