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을 중심으로 근교농업으로 발달한 낙농업이 점차 지역의 도시화 됨에 따라 경기도 축산 농가들의 환경을 더욱 어렵게 하고 있다. 특히나 수도권 지역의 낙농가들은 도시화로 인해 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357516
2010
Korean
학술저널
102-105(4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수도권을 중심으로 근교농업으로 발달한 낙농업이 점차 지역의 도시화 됨에 따라 경기도 축산 농가들의 환경을 더욱 어렵게 하고 있다. 특히나 수도권 지역의 낙농가들은 도시화로 인해 후...
수도권을 중심으로 근교농업으로 발달한 낙농업이 점차 지역의 도시화 됨에 따라 경기도 축산 농가들의 환경을 더욱 어렵게 하고 있다. 특히나 수도권 지역의 낙농가들은 도시화로 인해 후보목장부지 물색에 실패하거나 후계자를 세우지 못한 목장 등이 농장폐업에 나서면서 2006년부터 2009년까지 매년 600여 농가가 자신의 쿼터를 매각하고 목장을 정리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도 낙농업을 3대째 이어오면 기업승계로 고군분투하고 있는 목장이 있다.
기획특집: 목장 입지난 해소를 전화위복의 기회로 삼기 위한 정책적 고찰
기획특집: 도시화의 확대에 따른 낙농경영의 입지난 해소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