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현대적 동양화의 네오팝 이미지를 활용한 아트메이크업 디자인 연구 = A Study on Art Makeup Designs Using Neo-pop Images of Contemporary Oriental Painting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08031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t present, the world very much interested in K-POP and K-BEAUTY is showing initiative in trying Korean makeup, hair-dos, fashion, food, and even culture which have been all experienced on K-DRAMA shows and with K-POP singers. In consequence, foreigne...

      At present, the world very much interested in K-POP and K-BEAUTY is showing initiative in trying Korean makeup, hair-dos, fashion, food, and even culture which have been all experienced on K-DRAMA shows and with K-POP singers. In consequence, foreigners with high relevant expectations have been volunteering to experience Korean traditional customs, and that had been what eventually encouraged the conductor of this study who is also working as a makeup artist to discuss, in pursuit of global communication, art makeup focusing on Korean traditionality. While numerous previous studies have already talked about makeups as dealing with traditional materials, their discussions were only limited to these topics such as 'folk paintings and dancheong patterns', and that is what proves how seldomly art makeup studies mainly on oriental paintings have been carried out. It is believed to be a good material to be used not only when oriental paintings' traditionality needs to be re-discovered but also when makeup needs to be expressed as art makeup with some artistry of contemporary vibes added. In the end, that will help Korean culture to be introduced to the world even more conveniently.

      It is now considered that neo-pop with popularity featured in itself has been affecting the young generation over the world since it started getting involved not only in beauty but also in cultural lives. Since oriental paintings the Korean traditional art began to be distinguished for the neo-pop property, neo-pop oriental artists have been lifting up their heads. Based on that, this study, first, conducts theoretical speculation referring to literature and other existing research articles on contemporary oriental paintings, neo-pop, and art makeup. Second, the study sorts out neo-pop design patterns that would be observed in contemporary oriental paintings Third, the study designs illustrations by re-separating features in terms of the design patterns. Fourth, as looking into the neo-pop specified expressions of contemporary oriental paintings, the study uses art makeup to reinterpret the traditionality of oriental paintings and the contemporary creativity of neo-pop which would, in the end, help this study to become a more free-hearted communication tool both for the beauty culture development and the Korean culture.

      <Work 1> 'Flowers in My Eyes' the first piece that had added simplicity, which was the motif here, to this restrained transformed neo-pop expressed the eyes looking at beauty with these peony's simplified details. <Work 2> ‘Are you happy?’ the second piece that had added simplicity, which was the motif here, to this restrained transformed neo-pop presented simple and deformed figures of modern people who would pretend they are okay as the tar would flow down onto the face where flowers would bloom. <Work 3> ‘Disappear’ the first piece that had added symbolism, which was the motif here, to this restrained transformed neo-pop characterized a dragon the symbolical animal of the Orient as some smoke that would disappear in no time, and <Work 4> ‘Kwanseumbomeong’ the second piece that had added symbolism, which was the motif here, to this restrained transformed neo-pop tried to describe the present times which have been festering with the Asian Hatred in the era of COVID-19 as using this peaceful-looking face on Buddhist murals. <Work 5> ‘Meow’ the first piece that had added playfulness, which was the motif here, to this integrated communicative neo-pop caricatured a tiger that would cry like a cat, and <Work 6> 'So Beautiful' the second piece that had added playfulness, which was the motif here, to this integrated communicative neo-pop presented two different figures of a female and a male to express a sense of ridiculous separation. <Work 7> ‘Hero’ the first piece that had added popularity, which was the motif here, to this integrated communicative neo-pop tried to tell that we had been all heroes in our own lives before the place once surrounded by mountains turned into the woods of skyscrapers, and <Work 8> 'Ilwolmaekbongdo’ the second piece that had added popularity, which was the motif here, to this integrated communicative neo-pop described popularity by mix-matching the Western representative character to the most popular Joseon royal painting.

      What has been shared above led the study to these following results.
      First, while contemplating existing researches on contemporary oriental paintings and neo-pop, the study found the whole process quite intriguing in that it discovered how traditional painting factors and pop factors would come along with these public factors such as anonymity and popular nature.
      Second, regarding the work which had utilized the contemporary oriental paintings' neo-pop images, the study learned how makeup factors would possibly expand creation only infinitely in terms of oriental painting-like materials, neo-pop-like materials, simplified presentation, symbolical presentation, playful presentation, and popular presentation. In addition, the study realized how art makeup work would replace these artistic factors such as drawings and photographs.
      Third, as the work which would utilize the contemporary oriental paintings' neo-pop images, it will be a good chance for people from other cultural backgrounds who have been growing with different cultures and sentiments to feel even closer with greater interest.
      Fourth, as the contemporary oriental neo-pop images are used for work, cultural contents that would contain creative and emotional meanings will be developed, and on top of that, it will encourage people of all ages to participate in fashion shows, makeup shows, beauty competitions, and others which would eventually bring about cultural contents design development and the global introduction of Korean makeup.
      This study anticipates not only how meanings of Korean traditional paintings and the neo-pop images should be used for art makeup presentation which would, in the end, improve the status of Korean makeup but also how the reinterpretation of traditional culture should be another beginning for the art makeup field. The study also expects itself to be a new opportunity for Korean traditional culture to become a new global cultu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현재 세계는 K-POP, K-BEAUTY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K-DRAMA와K-POP 가수들을 통해 한국의 메이크업, 헤어스타일, 패션, 음식, 문화까지도 많은 이슈가 되고있다. 그로 인해 한국의 전통문화 ...

      현재 세계는 K-POP, K-BEAUTY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K-DRAMA와K-POP 가수들을 통해 한국의 메이크업, 헤어스타일, 패션, 음식, 문화까지도 많은 이슈가 되고있다. 그로 인해 한국의 전통문화 체험에 대한 외국인들의 자발적인 참여와 기대가 높아진 시점에 본 연구자는 메이크업을 하는 아티스트로서 세계적인 소통을 위해 한국 전통성을 소재로 한 아트메이크업을 주제로 연구하고자 한다. 전통적인 소재에 관한 메이크업 선행연구 논문들은 많이 있지만 ‘민화, 단청문양’과 같이 한정적인 분야의 연구이며 동양화 자체의 아트메이크업 연구는 여전히 미미한 실정이다. 동양화의 전통성을 재발견하고 현대적인 감각으로 메이크업에 예술성을 더 하여 아트메이크업으로 표현 하였을 때 활용할 수 있는 좋은 소재이며 한국 문화를 세계적으로 한층 더 쉽게 선 보일 수 있을 것이다.
      현재 네오팝은 대중성을 가지고 뷰티와 더불어 문화생활 깊숙한 곳까지 들어와 전 세계 젊은 층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한국 전통의 미술이었던 동양화가 네오팝 성향을 나타내기 시작하면서 네오팝 동양화 작가들이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하였다. 이것을 토대로 하여 본 논문의 연구 문제는 첫째, 현대적 동양화, 네오팝, 아트메이크업에 관한 서적과 선행논문 기사들을 찾고 참고해 이론적 고찰을 한다. 둘째, 현대적 동양화에 나타난 네오팝의 디자인 유형을 분류하여 연구한다. 셋째, 디자인 유형에서 특성을 재분류하여 일러스트를 디자인한다. 넷째, 현대적 동양화의 네오팝 특성의 표현을 통해 동양화의 전통성과 네오팝의 현대적 창의성을 아트메이크업의 재해석으로 인해 미용문화의 발전과 한국 문화에 대한 한층 더 거리낌 없는 소통의 도구가 되어 보고자 한다.
      <작품 1> ‘내 눈에 꽃’은 절제적 변형의 네오팝에 단순성을 모티브로한 첫 번째 작품으로 아름다움을 보는 눈을 모란의 단순화된 디테일로 표현하였고, <작품 2> ‘Are you happy?’ 는 절제적 변형의 네오팝에 단순성을 모티브로한 두 번째 작품으로 꽃을 피우는 얼굴 아래 흘러내리는 타르로 괜찮은 척하는 현대인들의 단순하고 변형된 모습을 표현하였다.
      <작품 3> ‘Disappear’는 절제적 변형의 네오팝에 상징성을 모티브로한 첫 번째 작품으로 동양의 상징적인 동물인 용을 캐릭터화하여 금세 사라질 것 같은 연기처럼 표현하였고, <작품 4> ‘관세음보멍’은 절제적 변형의 네오팝에 상징성을 모티브로한 두 번째 작품으로 불교 벽화의 평온한 얼굴 내면에 코로나 시대 아시안혐오로 인해 곪아 터진 현시대를 표현하였다.
      <작품 5> ‘Meow’는 융합적 소통의 네오팝에 유희성을 모티브로한 첫 번째 작품으로 고양이 울음소리를 내는 호랑이를 희화된 모습으로 표현하였고, <작품 6> ‘So Beautiful’은 융합적 소통의 네오팝에 유희성을 모티브로한 두 번째 작품으로 여성과 남성의 두 가지의 모습으로 우스꽝스러운 괴리감을 표현하였다. <작품 7> ‘Hero’는 융합적 소통의 네오팝에 대중성을 모티브로한 첫 번째 작품으로 산으로 둘러싸여 있던 곳이 빌딩 숲이 되기까지 우리는 각자 인생에서의 히어로 라는 의미로 표현하였고, <작품 8> ‘일월맥봉도’는 융합적 소통의 네오팝에 대중성을 모티브로한 두 번째 작품으로 서양의 대표적인 캐릭터와 조선궁중의 대표적인 회화를 믹스 매치함으로써 대중성을 표현하였다.
      이에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현대적 동양화와 네오팝에 대해 선행논문들을 고찰하면서 전통회화적인 요소와 팝적인 요소가 대중적 측면인 익명성과 통속성을 함께 발견할 수 있어 매우 흥미로웠다.
      둘째, 현대적 동양화의 네오팝 이미지를 활용한 작품에 있어 동양화적인 소재, 네오팝적인 소재, 단순화된 표현, 상직적인 표현, 유희적인 표현, 대중화적인 표현함에 있어 메이크업 요소들로 인한 창작의 무한한 확장의 가능성을 볼 수 있었고 아트메이크업 작품이 그림이나 사진의 예술적인 요소를 대신 할 수 있는 가능성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현대적 동양화의 네오팝 이미지를 활용한 작품으로 우리의 문화와 정서를 다른 문화의 사람들로 하여금 더욱더 쉽게 다가가며 관심과 흥미를 느낄 수 있는 매개체가 될 수 있을 것을 기대할 수 있었다.
      넷째, 현대적 동양화의 네오팝 이미지를 활용한 작품을 통해 창의적이고 정서적인 의미를 담은 문화콘텐츠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패션쇼나 메이크업 쇼, 미용대회 등을 겨냥해 모든 연령층이 참여할 수 있는 기회의 장이 되어 문화콘텐츠 디자인 개발 및 한국 메이크업의 세계진출을 기대할 수 있다.
      이 논문을 통해 한국 전통 회화에 담긴 의미와 네오팝 이미지를 활용하여 아트메이크업으로 표현함으로 한국 메이크업의 위상을 높이고 전통문화의 재해석이 현대적 감각을 통한 아트메이크업 분야의 또 다른 시작이 되길 바라며 우리나라의 전통문화가 세계적인 새로운 문화로 나아갈 수 있는 통로가 되길 기대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 문제 3
      • Ⅱ. 이론적 배경 4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 문제 3
      • Ⅱ. 이론적 배경 4
      • 1. 현대적 동양화 4
      • 1) 동양화의 개념과 표현적 특징 4
      • 2) 현대동양화 트렌드 10
      • 2. 네오팝 17
      • 1) 네오팝의 개념 17
      • 2) 네오팝의 작품경향 19
      • 3. 아트메이크업 27
      • 1) 아트메이크업의 개념 27
      • 2) 아트메이크업의 표현 특성 30
      • Ⅲ. 현대적 동양화에 나타난 네오팝 36
      • 1. 절제적 변형의 네오팝 40
      • 1) 단순성 40
      • 2) 상징성 42
      • 2. 융합적 소통의 네오팝 44
      • 1) 유희성 44
      • 2) 대중성 46
      • Ⅳ. 네오팝 이미지를 활용한 아트메이크업 디자인 연구 48
      • 1. 디자인 의도 및 방법 48
      • 2. 네오팝 이미지를 활용한 아트메이크업 디자인 작품제작 49
      • Ⅴ. 결론 및 제언 83
      • 참고문헌 86
      • ABSTRACT 9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